[미칠 수 있겠니]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칠 수 있겠니
김인숙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소현
」을 접했었다. 얄팍한 지식만을 가지고 있었기에 약간 버겁게 읽었고, 또 그렇게 읽혔지만 (그래서 내가 이해할 수 없는 부분 또한 몇 페이지 건너 몇 페이지식으로 있었지만) 꽤 좋은 작품이었기에 다음에 소현세자에 대한 지식이 배부른 배를 둥둥 두들기는 것처럼 부풀어 오를 때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며 다시 한번 그 자리에서 번복하여 읽는 것을 잠시 미뤘었다. 여기서 꽤 좋은 작품이라는 것이, 비단 누구나 한번쯤 의구심을 품어보았을 법한 사건의 역사물인 까닭은 아니었다. 내가 그곳에서 만난 것은 ‘고독’이었다. 아비 인조의 고독과 자식 소현의 고독. 저자의 응어리졌을 펜촉을 따라 읽어내려가며 그들이 느꼈을 고독이 얼마만큼의 깊이를 가늠해보려다 그것은 내가 상상할 수 없겠구나, 싶더란 것. 그래서 그것은 내게 ‘고독’이라는 한 단어로만 각인되어 있다. 습한 곳에 묵혀둔 그 책을 지금에 와서야 들먹이는 까닭은, 그것에는 내가 무엇을 느껴야 하는지에 대한 key point가 있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그것을 자신만의 문체로 다듬었다. 역사하면 단번에 뇌리를 스치는 여성작가, 내가 사랑할 수밖에 없는 김별아가 있었으나, 그와는 또 다른 문체에 감탄했더랬다. 그래서, 그렇기에, 그 까닭에, 이번 작품을 읽기 전부터 애정이 갔는지도 모를 일이다.

 

 

 

진과 진, 유진과 유진. 이름이 같은 사람끼리 사랑에 빠질 확률은 얼마나 될까,하며 혼자 가늠해보다가 모르긴 몰라도 확률이라는 것에 덜미를 잡히진 않을까, 생각한다. 남자는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에게 기꺼이 이름을 내어준다. 그래서 그들은 유진과 진이 된다. 둘은 함께 여행을 갔던 섬을 잊지 못하고, 쉬러 간다던 유진은 그대로 섬에 장착하고, 진은 그를 찾아간다. 진은 유진이 자신에게 반지를 주며 ”우리 같이 살까?”라고 말한 것을 두고 아내 행세를 한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그 집에, 그의 침대에, 한 여자아이가 잠들어있다. 그의 서번트. 그리고 그가 서번트에게 남겨놓은 봉곳한 배. 진은 저 꽃같은 아이를 죽일 수 있을까, 생각했고, 곧, 그렇게 할 수 있을 거라고 대답한다.

 

 

 


지금, 이렇게 살고 싶잖아요. 무슨 짓을 해서든, 움켜쥘 것이 여자의 손밖에는 없다고 하더라도, 그렇게 해서라도, 이 어둠과 물속을 벗어나고 싶은 거잖아요. 살고 싶은 거잖아요, 나…… 미치게, 미치게 살고 싶은 거잖아요……. 아, 어찌 할까. 솔직히 말하자면 이 책, 참 마음에 안 든다. 장르는 스릴러인지, 재난인지, 로맨스인지 도통 그 어떤 것에도 놓을 수 없게 만들고, 진과 이야나, 그 누구에게도 내 부풀어 오른 감정을 이입할 수 없다. 하물며, 난 이 책을 읽으며 처음 접하는 작가의 글을 읽는 것만 같아 저자의 이름을 몇 번이나 확인하고, 또 확인해야 했는데, 「소현」을 읽었을 그때의 기억에 지진을 낳아, 그것이 흔들거리게 만들며, 결국 희미해버리게 만들어 버렸다. 저자의 문장들이 바람에 휘날리듯 허공을 유영했고, 나는 손을 뻗어 그것들을 잡았으나, 끝내 조합할 수 없었다. 어쩌면, 장르를 오가는 장편 소설에 지쳐 조합하던 것을 슬그머니 내려놓고 아무렇게나 꿰맞췄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서 작품을 읽고 후 끄적거리는 내 서평에는 신빙성이 전혀 없다.

 

 

 

저자는 <>을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살고 있는 것>을 이야기하고, <사는>을 이야기하며, 결국은 <살아야 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그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까지 가미되었다면, 그 부분만은 약간, 아니 실은 아주 많이 이해할 수 없다. 책에서 상처를 치유함에 있어서 가장 첫번 째로 우선시 되어야 할 것 중 하나가 인물(혹은 대상)에 대한 나의 감정이입인데 책에서 어느 대상에게도 내 마음이 전달되지 못한 까닭이다. 혹여, 그들이 (사랑의) 상처를 치유했다고 가정한다면, 그저 사랑에 실패한 인물끼리 다독여 안아주는 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족하지 않나, 싶다.) 사는 것은 어떤 것에 미치는 것과 직결되어 있어서, 그것은 생에 대한 오기를 야기시키지만 동시에 좌절도 동반하기도 한다. 당신은 당신의 삶에 미칠 수 있습니까. (여기서 당신이 읽은 미치다의 의미는 ‘crazy’입니까, ‘reach’입니까.) - 진과 이야나는, 미쳐야 할, 그래도 됐을 타이밍에 미치지 않았지만, (혹은 못했지만) 이제 그들은 미치려고 한다. 그들의 삶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