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닦고 스피노자]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눈물 닦고 스피노자 - 마음을 위로하는 에티카 새로 읽기
신승철 지음 / 동녘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왜 늘 불안하고 우울할까

 

 

 

현대인은 늘 우울하고 불안하다. 현재도 미래도 불안정하고 친구나 동료와는 신뢰가 아니라 경쟁심만 쌓여간다. 신이 곧 자연이라 해서 동시대에는 환영받지 못했던 씽커, 스피노자. 그에게 조언을 좀 구해볼까. 그는 현대인의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질병에 대해 뭐라고 말할까. 그가 살던 중세에도 이런 질병이 있었을까.

 

매일 밤 주인공은 고시원 화장실에서 스피노자를 만난다. 주인공은 스피노자 전공자인 모양이다. 암튼, 그는 스피노자를 만나 신세타령을 한다. 요즘 청년들이 얼마나 불안한지 아느냐고. 스피노자는 그의 불평불만에 이렇게 말한다. 당신 자신이 너무 단단한 갑옷을 입고 외부와 자연스럽게 접촉하고 자신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라고 말이다. 그래 어쩌면 우리는 성공, 부, 행복을 위해 자신을 채찍질하고 그 과정이 녹록치 않자 세상을 원망하고 자신을 비하해왔는지 모른다. 모든 것은 불안정하기 때문에 마음도 잡지 못하고 점점 나약해져만 갔다. 행복하기 위해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야 한다면 그것은 이미 행복한 삶이 아닐 것이다. 또 고통을 감수해도 성공은 보장되어 있지 않고 설사 성공했다 해도 영원한 행복이 우릴 기다리고 있을지도 미지수다. 의사와 판검사는 자살도 하면 안 된다. 그들은 성공했으니 행복할테니 말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스피노자는 굳건한 자신의 목적 앞에서 옴짝달싹 못하는 주인공에게 조언한다. 좀 유연해질 수는 없겠냐고. ‘자신에 대한 너무나 확고한 상이 있어서 외부의 변화에 원활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것’ 아니냐고 말이다.

 

우리는 공부를 왜하냐고 물으면 대학에 가기 위해서라고 대답한다. 대학에는 왜 가냐고 물으면 성공하기 위해서라고, 다시, 성공은 왜 해야하냐고 물으면, 우리는 사실 말문이 막힌다. 그저 다른 사람들이 성공이 실패보다 좋은 것이라고 말하니까 성공해야 한다고 생각했을 뿐이다. 내 몸이 원하는대로 나를 좀 쉬게 할 수는 없을까. 우리는 사회를 탓하고 사회를 바궈야 한다고 말하기 전에 나 자신을 변혁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내가 바뀌어야 사회도 바뀔 수 있을테니까.

 

스피노자는 우리가 유연한 마음과 신체를 가질 때 불안은 사라질거라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자아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변화’한다. 그래서 불안이나 우울증을 치유하려면 ‘자아를 강건하고 굳세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랑과 욕망을 자연스럽게 순환’시켜야 한다.

 

자신을 변화시킨다는 것은 생각보다 쉬울 수 있다. 부엌 근처에도 안 가던 남자가 부엌에 가서 설거지를 하는 것도 자기를 변혁시키는 것이다. 평생 노동만 했던 사람이 그림도 그리고, 시를 쓰고 피아노를 치고 노래를 부르는 것도 자기를 바구는 것이고 세상과 관계 맺는 새로운 방식이다. 자기를 고집하지 않고 세상을 향해 열려있기, 타자와 사랑할 준비가 되어 있기. 자기의 지평을 이렇게 열어두고 유연해질수록 하나의 목적에 얽매인 삶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우리 인간은 예속을 영예로 아는 희한한 존재이다. 1등을 해야 한다는 것은 1등에 예속되어 있는 것이다. 우리는 반에서 1등 하는 아이를 보면서 그 아이를 선망하고 동경한다. 그리고 나도 저렇게 1등을 해서 반에서 권력을 누려보고 싶기도 하다. 우리는 이렇게 초월적인 권력을 갖고 싶어하지(예외자가 되고 싶어하지) 권력에 기대지 않고 자기 스스로의 힘을 키우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갖고 있는 사랑과 욕망의 힘은 초월적인 곳에 있지 않고 우리 자신에게 내재적으로 있다. 이 힘은 ‘권력의 논리를 따르지 않고 보이지 않는 영역에 있으며 뭐라고 단정할 수 없는 영역’에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것의 존재를 의심한다. 하지만 스피노자는 이 힘이 바로 진정한 힘이고 세상을 바꾸는 힘이 라고 말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의미 있다고 여겨왔던 것들은 대부분 권력과 관계있는 것들이었다. 성공이나 부나 행복과 같은 것들 말이다. 하지만 우리가 그런 것들로부터 자유로워질 때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새로운 세상과 만날 수 있다.

 

그런 세상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변혁하고 새롭게 사유할 때 우리에게 펼쳐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세상에서 우리는 비로소 자유로워질 수 있다. 자유인은 아이와 동물을 만나고 노인과 광인, 여성과 장애인을 만나면서 무한히 결합된다. 그들에겐 불안도 두려움도 없다.

아무런 세균이 없는 곳에서 생명체는 살아갈 수 없다고 한다. 적절한 세균이 있어야 우리 몸도 더 단단해지고 외부와 접촉하며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요즘 사람들은 지나치게 깨끗한 것을 좋아하는 것 같다. 길에 노숙인을 만나면 더럽다고 도망가기 바쁜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그렇게 안전하고 깨끗한 공간에서 살기 위해 외부와 접촉을 끊을 때 우리는 역설적으로 더욱 고립되고 소외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런 우리에게 찾아오는 것은 우울과 고립감이다.

 

우리는 자신을 유연하게 해서 자전거를 탈 때는 자전거가 ‘되어야’ 하고 운전을 하려면 자동차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우리 외부와 소통하지 않고서는 우리 자신도 생존 할 수가 없다. 이렇게 자기이기를 버리고 ‘상대방 되기’를 통해서 우리는 더욱 다채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자신을 넘어서 타자와 소통하고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다. 이런 삶을 거부하고 혼자 자기의 삶을 꾸리려 한다면 현대인에게는 언제나 불안과 우울이 지배하게 마련이다. 스피노자는 이렇게 외부와 소통하는 신체, 유연한 정신과 신체를 가지고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현대인의 질병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한다.

 

나를 돌아보게 되는 시간이었다. 나 또한 내 이익과 목적만을 추구하느라 외부와 소통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내 목적에만 예속된 채 자유로운 삶을 살지도 못했다. 그 안에서 때론 괴로웠고 또 외로웠다. 친구도 없었다. 주위의 모두가 그저 경쟁 상대에 불과했다. 내가 먼저 누군가에게 친구가 되고, 성공을 향한 기차에서 내려 목적도, 나도, 버리고 유연해져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