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9월 14일 레바논의 대통령으로 취임하게 될 팔랑헤당 민명대의 지도자인 바시르 제마엘이 폭탄 테러로 살해 당한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팔랑헤당 민병대는 팔레스타인 난민촌의 무장 세력을 제거 한다는 명목으로 사브라와 샤틸라라는 지역으로 들어가 사흘(16~18)동안 노인, 여자, 아이들 3000여명을 학살하게 되는데, 이 사건이 바로 ’사브라·샤틸라 팔레스타인 난민 학살 사건’이다. 그런데 이 대량학살에 간접적이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연관이 있는 나라가 있었으니 바로 이스라엘이다. 이 사건 당시 이스라엘 군대는 이 난민촌을 둘러 싸고 있었다고 한다. 그럼 왜 이스라엘은 막을 수도 있었던 이 사건을 묵인했을까? 살해 당한 바시르 제마엘은 친이스라엘 세력이었고, 이스라엘 정부의 지지를 받았던 인물이라는것이 그 답이 될 것 같다. 이 책은 이 당시 난민촌을 둘러싸고 있던 이스라엘 군대에 복무한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제작한 애니메이션을 지면으로 옮겨 놓은 작품이다.




▲ 이스라엘의 괴뢰정부 수장 바시르 제마엘의 현수막 아래서 이스라엘 병사가 기관총을 휘두르고 있다.


이 책을 보면서 느낀 것은 전쟁에 있어서 전쟁을 직접 일으키는 사람들은 전쟁과 관련해 아무런 피해를 받지 않는 반면, 정작 전쟁이 일어나는데 있어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했던 사람들은 그 피해를 온 몸으로 받는다는 것이다. 전쟁에서 패배한 사람은 살해 당함으로써 피해자고 되고, 전쟁에서 승리한 사람은 살아남음과 동시에 그 당시 기억으로 고통받음으로써 또 다른 피해자가 된다. 정작 전쟁을 일으킨 정부나 정치인, 고위 관료는 전쟁에 직접 참여한 국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이들이 전쟁의 가해자가 아닐까 싶다. 진주만이라는 영화에서 ’전쟁에서 진 놈은 죽고, 전쟁에서 이긴 놈은 병신이 된다’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이 책을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이 대사가 적절하지 않을까 싶다.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하마스가 전쟁중에 있다. 그런데 그 피해액과 사상자수가 PLO측이 이스라엘보다 100배정도 된다는 기사를 보았다. 이 정도면 이는 양국간의 전쟁이라기 보다는 한쪽의 일방적인 공격이라고 밖에 볼수 없다. PLO측의 사상자수만도 6000~7000명에 달한다는데, 이는 30년전 사브라·샤틸라 학살사건과 다를바 없는 제2의 대량학살 사건이다. 그런데 더 기가 찬 것은 이 전쟁이 일어난 계기이다. 30년전과 같이 표면적인 이유는 무장단체의 제거이다. 그러나 실질적은 요인은 정치이다.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나는 정치라고 생각한다. 

이스라엘은 올해 2월 10일이 총선 예정일이였다. 그런데 전쟁전 야당의 지지율이 높았다고 한다. 그런데 PLO측과의 전쟁으로 집권 여당의 지지율이 높아졌다고 한다. 이는 집권 여당이 총선의 승리를 위해 전쟁을 활용하고 있다고 밖에 볼수 없다. 미국측 역시 이스라엘에 반미적인 정권보다는 친미적인 정권이 계속 집권하는 것이 자국에 이익이기 때문에 현재의 학살을 묵인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찌보면 30년전과 똑같다. 전쟁을 일으키는 놈은 따로 있고, 전쟁에 참가하는 사람이 따로 있고, 전쟁으로 희생당하는 국민이 따로 있다. 예나 지금이나 열심히 살아가려는 국민만 희생당하는 현실이 암울하다.

이 책은 애니메이션을 지면으로 옮겨 놓은 작품이다. 영화와 이 책을 비교해 본다면 영화는 조금 지루한 반면 전쟁의 암울한 상황과 주인공의 심적 상황을 잘 알수 있고, 책은 영화에서 다루지 못한 사건의 배경이라든지 작품 해설이 있어 ’사브라·샤틸라 팔레스타인 난민 학살 사건’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책을 보신분이라면 영화도 한번 보시라고 권해드리고 싶고, 영화를 보신분이라면 이 책으로 좀더 깊게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POSTED BY 호의은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