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은 책상이다
페터 빅셀 지음, 이용숙 옮김 / 예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도데체 왜 그렇게 불러야 하는 거지??˝
모든 익숙한 것들을 낯설 게 만들어 놓은 작은 책,
<책상은 책상이다>
아메리카는 가본 적도 없지만 당연히 있는 거고, 지구를 돌아 본 적도 없지만 둥글다는 말에 ˝진짜?˝라는 의문을 품어 본 적도 없으며, 책상은 책상으로 다른 어떤 말로 부르려는 생각조차 못했다.
아무것도 모르고 싶다며 모든 것을 회피하는 남자, 모든 것들을 기억하는 남자,,, 등장하는 7명 모두가 독특하다 못해, 기이하기까지 하다,, 그런데,, 그런데,,
시작은 유쾌하게 음악크게 틀고 다 때려부수는 듯한 춤사위인 듯하나,, 읽다보면 뭔가 잘못되고 있다는, 다 망가진 폐허속에 우두커니 내던져진 채 처량히 앉아 있는 모습으로 끝에 남겨지는 것 같다.
모든 익숙한 것들로 부터의 일탈을 꿈꾸지만,
그리하여 일탈을 즐겁게 시작하지만,
그 일탈로 인해 외롭고, 갇혀진,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오롯히 ˝혼자˝인 사람만 남게 된다.

일탈을, 의문을, 가지지 말라는 말을 하고 싶었던 건지,
일탈을, 의문을 ˝제발 좀 가지자˝라는 외침을 외로이 외치고 있는 건지,,,,,
언뜻 쥐스킨트의 비둘기나 깊이에의 강요, 콘드라베이스, 좀머씨이야기와 닮은 구석도 있다.

책상은 책상이 아닐 수도 있지만 책상이 아닌 다른 무언가로 부르는 순간, 다른 이들과의 소통은 깨어지고 만다. 그 일탈이 시작은 재미있게 창대하나, 그 뒤는 씁쓸하게 혼자로 내버려진다.(책상은 책상이다)
지구는 본 적 없이 둥글어도 실제 걷기엔 평평하다. (지구는 둥글다)
아무것도 알고 싶지 않아도 알 게 되고, (아무것도 더 알고 싶지 않았던 남자
기억하게 되고, (기억력이 좋은 남자)
내가 힘들게 해 놓은 일들은 이미 누군가가 다 해놓아서 하찮게 된 것들 뿐이다.(발명가)
아메리카는 있다. 그러나 나는 본 적없이 믿는다.(아메리카는 없다)

그리고, 요도크 아저씨의 안부 인사

진심 일탈을 꿈꾸지 마라고 말하는 건지,
일탈을, 의심을, 끊임없이, 제발 좀 가지라고!!!
˝당연한 것들, 익숙한 것들이, 왜 도데체 왜 그래야 하냐고˝ 혼자 외롭게 외치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

언어는 사회성 맞다,, 그리고 그 약속이 깨지는 순간, 소통은 사라지고 사람끼리의 의미전달은 할 수없는 것도 맞다.
그러나 모든 언어의 시작은,,, ˝자의적˝이고 "임의적"이다.
당연하지,,, 않다.

나는 늘 반란을 꿈 꾼다.
나는 아주 시간이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이 작가처럼,,,,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10-01 11: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진이론에 보면 당연한 것을 낯설게 보라는 격언이 있죠.끊임없이 회의하고 의구심을 품어 보는 것...이것이 진보이고 나아가는 길이라야 되거든요...낯선 것은 살피고 익숙한 것은 의심하자...사진 그렇게 찍고 있습니다.ㅎ

2016-10-12 04: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오거서 2016-10-11 2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는 현실에서 일상이 지겨움을 한탄하고 더욱이 벗어나고자 애를 쓰죠. 다시 말해서 매일 책상이 책상인 상황을 지겨워한다는 거죠. 그러나 어느 날 책상이 책상이 아닌 다른 뭔가로 바뀌면 우리는 낯설음 때문에 혼쭐이 나지 않을까요. 일상에서 익숙함은 공기 같다고 생각합니다.

2016-10-12 04:2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