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소설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이동진.김중혁 지음 / 예담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두 남자의 독서토론(?)을 수다라고 표현해도 좋다면, 나는 이 남자들의 수다가 즐겁다. 아주 섬세하면서도 웃음 나는 수다. 자주는 아니어도 생각날 때마다, 관심 있던 책이 주제가 될 때마다 지난 방송을 찾아서 듣곤 한다. 요즘엔 팟캐스트가 많기도 하고 진행자에 따라 그 분위기가 다 달라서 취향에 맞게 골라 들을 수도 있겠지만, <빨간 책방>을 굳이 선택해서 듣는 이유는 두 남자가 주고받는 대화가 유쾌해서다. 물론 이 중심에는 책이 있고 제법 진지하다. 책에 관한 많은 것을 얘기하면서도 두 사람이 적당하게 밀고 당기는 듯한 분위기가 두 시간을 지루하지 않게 이끌어가고 있다. 그동안 다양한 장르의 책을 소개하고 감상평을 나누었을 텐데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에서는 그들이 엄선한 외국소설 7편의 방송을 다시 글로 옮겨놓았다. 부분적으로 다듬고 보충한 부분이 있다는데, 사실 거기까지는 어느 정도 변화를 주었는지 잘 모르겠다. 그들의 방송을 글로 읽는 만족으로 충분했으니까. 뭐랄까, 드라마를 재밌게 본 후 대본을 읽는 다시 만나는 여운 같다고 하면 어울리려나. 글로 만나는 그들의 책 이야기가 방송으로 들었던 것을 다시 듣는 것으로, 목소리와 말투까지 그대로 전해져온다. ^^

 

이언 매큐언의 『속죄』,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줄리언 반스의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 무라카미 하루키의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모두 소장하고 있는 책이면서도 아직 다 읽지 못한 책이기도 하다. 그건 읽지 않은 사람도 이 책들의 제목을 다 알고 있을 만큼 유명하거나 입소문이 익숙한 책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책의 리스트가 왜 이런 목록으로 설정되었는지 알만하다. 누구나 한번은 읽어봤을, 읽어봐도 좋을 책이라는 말을 대신 표현한 목록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이 목록은 나에게도 구석에 꽂아놓은 책을 다시 꺼내어 눈앞에 놓게 한다. 김중혁은 뒤늦게 읽은 『속죄』에 대해 "내 친구들은 이렇게 좋은 소설이 있으면 진작 얘기해줄 것이지 나만 빼놓고 다 읽었더라구요."라고 얘기하면서, '왜 이제까지 이걸 안 읽고 있었는지 마구 자책하고 후회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나도 가끔 오래전 출간된 어떤 책을 나중에서야 읽고 이런 느낌 받은 적이 있는 걸 보면, 이 대화의 장 안에서 누구나 똑같은 자리에 서게 된다는 걸 새삼 알게 됐다. '소설가도 그럴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영화평론가도, 소설가도 아닌 독자의 입장에서 책 이야기를 하게 되는구나, 하는 공감을 끌어낸다. 물론 그 독자의 지식이 넘쳐 책의 스토리와 감상평 외에 다른 이야기까지 뻗어나가게 하는 재주가 이 책들에 관심 갖게 하는데 큰 몫을 한다.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가 왜 『호밀밭의 파수꾼』의 출간 후 은둔 작가가 되었는지 상황과 배경을 유추해서 말하는 것도 상상력을 자극한다. 영화화된 책은 원작과 어떤 부분을 비교해서 보는 재미가 있는지, 또 한 번 원작을 펼쳐보고 싶게 한다. 그럴 때마다 아무리 영화가 아름답게 만들어졌다고 해도 원작을 뛰어 넘는 영화가 존재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을 거듭 하게 한다. 두 사람이 나누는 대화가 지극히 독자의 입장에서 말하고 있음을 계속 상기시키는 듯하다. 나도 이 책을 읽었는데 이렇더라, 하는 식의 말투. 재미있지만 지루한 부분도 있고, 등등

 

얘를 들면 이런 식의 대화들.

ㄱ - 이렇게 읽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워낙 강렬한 사랑 이야기니까 그것에 집중해서 보시고 재미없어 보이는 부분은 그냥 건너뛰세요. 그렇게 쭉 한 번 읽은 다음에 다시 한 번 그 밑바닥을 들여다보면서 사고의 편린들,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다 연결된 그 구조들을 살펴보는 거죠. 그러면 아마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거예요. 사랑과 연애를 다룬 소설 중에서 이 정도로 통찰력 있는 소설도 드물 것 같습니다. - 100페이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김중혁이 이렇게 말할 때, '재미없으면 그냥 덮어.'라는 말로 끝맺을 줄 알았는데, 결국은 이러이러하게 읽으면 잘 읽을 수 있다, 즐길 수 있는 책이다, 라는 말로 멀어져가는 독자를 회유한다. 그러니 웃음이 날 수밖에. 좋은 책이니 읽어보라고 끝까지 권하고 싶은 소심한 어필이라고 해야 할까. ^^

 

ㅇ - 샐린저는 두 손가락으로, 그러니까 독수리 타법으로 모든 작품을 다 썼다면서요?

ㄱ - 그렇다더군요. 특별히 좋아하는 타자기들이 있었는데 평생 딱 그 세 대의 타자기로 작품을 썼다고 해요. 그것도 독수리 타법으로.

ㅇ - 그 타자기들 경매장에 나오면 엄청나게 비싸게 팔리겠네요.(웃음) - 197페이지 호밀밭의 파수꾼

일담 같은 이야기로 분위기를 가볍게 만들기도 하는데, 어쩜 이렇게 생각하는 게 비슷한지 모르겠다. 이 작가는 이런 도구로 글을 썼다더라, 하는 사실을 전하면서 지극히 세속적인 언급을 덧붙인다. 나라도 충분히 할 법한, 만일 내가 샐린저의 타자기를 가지고 있다면 돈이 궁할 때 경매에 내놓아야지 하는 생각을 이렇게 직접적으로 표현해주니 시원할 수밖에. 재밌잖아. 이런 생각을 나만 하는 게 아니라는 거, 책을 주제로 하는 얘기에서도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얘기라는 거. ^^

 

1년여의 시간을 함께 한 많은 책 중에서, 그들이 고른 소설 7편을 얘기하는 내용에서 상당히 정독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특히 두 사람은 책의 어떤 부분을 언급하면서, '그때 00이 이런 말을 했잖아요.' 라는 식으로 장면을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럴 때마다 나는 '그런 구절이 있었나?' 하면서 갸우뚱했다. 오래 전에 읽어서 까마득하기도 하고, 겉핥기식으로 읽어서 세세하게 기억해내지 못하는 것이기도 했다. (아, 부끄럽다.) 포스트잇으로 군데군데 붙여놓고 일부러 찾아보지 않으면 모를 구절들을 언급한다. 그냥 흐르는 하나의 장면으로 볼 수 있는, 큰 스토리의 작은 부속품 같은 이야기로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을 세세하게 짚어낸다. 결국은 이들과 함께 이 책을 다시 읽을 수밖에 없다. 손이 저절로 뻗어가는... ^^ 문학을 진지하면서 유쾌하게 풀어가는 그들의 놀이 같은 감상평을 듣는 재미가 여기서 기인한다. 사사로운 언급 같지만, 결과적으로 그 부분들이 없었다면 그 소설을 알아가는 어떤 과정이 빠진듯한 느낌. 쓸데없는 잡식 같지만 그 책을 풀어가는 그들의 지식을 쉽게 풀이하는 그들만의 방식이다. 단순히 '이 책은 명작이다. 그러니 읽어야 한다.'는 강요나 틀에 박힌 칭찬이 아니라, 왜 좋은 책인지 그들이 직접 읽고 말하는, 같은 독자의 입장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 책들의 내용, 세세한 장면들, 조금은 다르게 보는 시선들을 구석구석 언급하며 다양한 해석을 내놓는다. 결국, 이들의 책 이야기는 같은 공감을 풀어내고, 서로 다른 시선을 공유하는 과정이다. 책을 읽는 재미를 이렇게 표현한다.

 

책을 소개하는 방식이, 분위기가 이럴 수도 있다는 게 재밌다. 인터넷서점의 책 소개글이나, 홍보문구나, 누군가의 리뷰를 통해서 알고 공유하는 책도 많다. 책을 만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만남도 꽤 즐겁다. 두 남자가 가끔은 티격태격하듯이,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기도 하듯이, 행간의 숨은 의미를 진지하게 찾아내듯이, 너무 좋아 어쩔 줄 모르며 '꼭 읽어봐야 한다'고 강하게 어필하는 것마저 귀엽다. 그래서 <빨간책방>이 한회씩 방송할 때마다 저절로 그 책들을 찾아보게 된다. 가능하면 이 방송을 듣기 전에 내가 먼저 읽고 그들의 독서 후기에 동참하는 게 좋다. 아직 읽지 않은 책 이야기를 먼저 만나는 것도 나쁠 것 없지만, 다 읽은 후에 계속되는 그 독서의 여운에 함께 빠져들어 많은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게 더 좋은 후기로 남아있을 것 같아서다. 이건 어떤 경험에 의한 생각이다. 온전히 나만의 사고로 그 책을 다 읽은 후에 다른 이의 느낌도 들어보는 게, 그 책을 가장 잘 즐길 수 있는 방법인 듯하다.

 

다방면에 그 매력을 발산하는 이동진과 조금 엉뚱해 보이는 사고의 소설가 김중혁의 만남이 이렇게 조화로울 줄 몰랐다. 이동진의 조용한 말투나 목소리가 좋아서 그의 라디오를 듣기도 했다. 그 매력이 팟캐스트까지 이어지게 한다. 그와 함께하는 남자 김중혁. 김중혁 작가에게 미안한 말이지만 나는 왜 그의 소설보다, 그의 산문이나 이런 수다(?)가 좋은지 모르겠다. ^^ 김중혁 때문에라도 이 방송을 쉽게 끊지는 못할 듯하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