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름길은 가짜다. 최후의 심판도 가짜고 대혁명도 가짜다. 성급한 독서는 모두 가짜다. 니체는 정직한 혁명만을 믿었다. 30년 동안 병이 들었다면 30년을 치료에 쓸 생각을 하라. 초조해서 발을 구르는 자는 죄를 짓는다. 조급해하는 이로부터 눈을 빼앗고 영혼을 빼앗는 것은 얼마나 쉬운가. 때는 꼭 와야만 하는 때에 오지 않는다. 그것은 언제 와도 좋은 때에 온다. 다만 당신이 천천히 걷기를, 혁명이란 빠른 걸음이 아니라 대담하고 단호한 걸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덕의 ‘역사적 기원을 파헤치면서도 니체는 그것을 시 관점에서 다시 조명해본다. 우리는 여기서 ‘역사적‘ 이라는 말을 ‘인간적‘ 이라는 말로, ‘선사적‘ 이라는 말을 ‘동물적‘ 이라는말로 바꾸어도 좋을 것이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동물‘ 이란 생물 분류상의 식물과 대비되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타자‘로서의 ‘동물‘이다. 말하자면 ‘동물‘은 인간의 ‘선사적 존재를 가리킨다.

하지만 주의할 것이 있다. 여기서 역사 이전, 즉 ‘선사적‘ 이라고 말하는 것은 연대기적 시간과는 상관이 없다. 그것은 ‘인간적인 것‘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존재했으며, 또 그것이 만들어지기위해 은폐되어야 했던 요소들과 관련이 있다. 달리 말하면 역사‘가 만들어지면서 우리 인식에서 사라진 ‘비역사‘와 관련이 있다. ‘선사’란 달력의 어느 시점이 아니기에 모든 역사에 출현할수가 있다. 니체가 "선사시대란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고 있거나 다시 존재할 수 있다"고 말했던 것은 그 때문일 것이다.
-60~6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재란 어쩌면 그렇게 드문 것은 아니리라: 그러나 드문 것은 ‘올바른 때—를 마음대로 하기 위해, 우연의 앞 머리털을 잡기 위해, 필요한 500개의 손이다!"
-274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예의 도덕은 타자의 덕에 대한 증오에서 시작한다. 노예, 약자들은 무엇보다 귀족의 도덕, 주인의 도덕을 비난하는 것에서 시작하고 그 반대로서 자신의 도덕을 정립한다. 말하자면 그들은 ‘악’을 먼저 규정한다. 누가 악한가? 고귀한 자가 자신에서 시작하는 것과 달리 이들은 "‘밖에 있는 것’, ‘다른 것’, ‘자기가 아닌 것’을 부정"하는 데서 시작한다. 자기처럼 느끼지 않은 이들, 자기처럼 행동하지 않는 이들, 즉 고귀한 자, 강한 자, 위험한 자(혹은 위험을 사랑하는 자) 등이 악하다고 규정하는 데서 시자하는 것이다. 그러고는 부정한 이들과 대립하는 자신을 ‘선하다‘라고 말한다. ‘부정의 부정‘을 통해 ‘선’을 정립하는 것이다.
노예의 도덕은 적대와 원한, 즉 부정적 감정을 가치날조의 동력으로 삼는다. 니체가 《도덕의 계보》에서 쓴 표현을 빌리자면, 이것이 노예가 "이상을 제조하는 방식 wie man Ideale fabrizirt" 이다. 여기서 가치는 완전히 전도된다. 귀족의 도덕에서 ‘좋은 사람‘이 노예의 도덕에서 ‘악인‘이 되고, 주인의 도덕에서 ‘경멸할 만한 사람이 노예의 도덕에서 ‘선한’ 사람이 된다. 즉 노예의 도덕에서는 ‘위험하지 않은 인간‘, "착하고 속기 쉽고 아마도 약간은 어리석은" 사람,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말하는 ‘좋은 사람un bonhomme’이 선한 사람이다.
-336-33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르타는 미간을 찌푸리고 사비나 쪽을 바라보며, 참 고귀하지를 않구나 이 사람들은, 하고 생각했다. 분명 자신도 고귀하다고 할 순 없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람들은 고귀하지를, 전혀 고귀하지를 않다고 베르타는 다람쥐 쳇바퀴 돌리듯 같은 생각을 반복했다. 이제 베르타를 괴롭히는 의문은 자신이 왜 이들과 계속 만남을 이어가고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도대체 이들은 이렇게 해서뭐가 만족스러운 건가, 베르타는 신음하듯 생각했다. 아무도 귀담아듣지 않는 말을 떠들어대면서 도대체 어떤 기쁨을 느끼는 걸까. 듣는 것보다 말하는 게 그래도 뭔가 하는 것 같아서? 그나마 그게 더 살아 있는 것 같아서?
-4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