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샌델 지음, 함규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통해 나는 우리 사회에 깊이 뿌리박혀있는 능력주의에 대해 다시한번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특히 저자가 책을 통해 지적하는 능력주의 사회에서 나타나는 폐해들에 대해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예를 들어 대졸자들이 고졸학력인 사람들을 은연중에 혹은 대놓고 무시한다든가 깔보는 풍토 같은 것들 혹은 돈이 많은 사람이 돈이 없는 사람에 대해 막 대하는 분위기 같은 것들이 있다. 저자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인간 대 인간으로 상호존중이 필요하고 소위 말하는 있는 사람일 수록 더욱더 겸손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또한 사회적 약자들의 마음에 더 이상 상처를 줘서는 안된다는 저자의 주장에 공감할 수 있었다. 자세한 사례나 예시들은 책을 통해 읽어 보시면 좋을것 같다.
난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소위 갑질이라 불리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갑질이라는 것은 소위 갑이라고 불리는 사람이 을이나 병인 사람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다고 생각하여 하는 행동이라고 본다. 그런데 저자의 주장에 의하면 갑이라는 사람이 갖고 있는 어떤 우월한 지위라는 것이 자기 자신의 능력이 아니라 그저 주어진 어떤 운 내지는 우연의 산물이기 때문에 갑질같은 것은 일어나서는 안되며 갑, 을, 병 모두가 인간 대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갑질이 만연해 있는 현 시대에 이런 주장이 현실성이 있을지는 약간 의문이 들기는 하나 절대자도 아닌 한 인간이 다른 인간을 하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저자는 말한다. 책의 말미에 번역을 맡으신 분도 저자의 주장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 완전히 적용되기는 쉽지 않다고 말씀하고 계시지만, 적어도 인간 상호간에 존중이 없는 것은 옳지 않고 상호간에 존중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공감한다.
이 책에는 미국의 교육, 종교, 정치, 사회와 관련된 다양한내용들이 나오고 관련된 통계나 설문조사 자료들이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내가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건 위에서 말한 인간 상호간의 존중이지만, 다른 부분에 포커스를 맞추고 책을 보신분들도 많으실 거라 생각한다. 예를 들어 불공정한 입시제도 같은 것들이 대표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상호간의 존중을 가장 중요하다고 본것은 어떤 사회의 시스템도 완전할 수 없고 완전한 시스템을 만들기가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우리 한사람한사람이 서로를 존중하는 마음을 갖고 살면 이 사회가 좀더 좋아지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컸기 때문이다. 사회적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어보고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