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 유동하는 근대 세계에 띄우는 편지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조은평.강지은 옮김 / 동녘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근대를 사유하고 성찰하는 사회학자인 바우만은 근대의 특이성을 '유동하는 근대'라는 이름으로 호명하였다. 유동하는 곳에서는 자신의 힘으로 혼자 서있기 조차 힘들 정도로 많은 것은 빠르게 변화하고 관계 맺기를 한다.(혹은 강요받는다)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은 인터넷이나 트위터 등에서 즉각적으로 가십이나 일상사나 소식 등을 주고 받으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도 하고 의견을 피력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 속에서 혹은 세계적으로 서로 조밀하게 연결된 통신망 만큼 인간의 관계 또한 그러하다고 착각하고 있다는 것을 바우만은 정확히 지적하고 있다. 빛좋은 개살구마냥 우리의 삶은 정작 알맹이가 없는 허허롭기 짝이 없는 모양이 되었음에도 그것에 대해 성찰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자신을 포장해서 드러내고 인정받는 것에 존재감을 가지는 아주 얄팍한 삶의 표층은 가볍게 부는 바람에도 꺼져버릴 만큼 빈약해보인다. 유동하는 근대 세계에 띄우는 44편의 편지를 읽는 동안 정작 우리가 삶에서 잃어버린 것이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한다. 이적지 한번도 그러한 삶을 살아보지 못한 지금의 10대들과 바우만이 살아냈던 10대 혹은 20.30대 시절하고는 비교불가인 것은 당연하나 자신이 누구인지를 성찰하고 말할 수 있어야 하는 근본적인 문제앞에서는 당혹감을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나는 욕망한다. 타인이 욕망하는 것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내가 욕망하는 것은 사실 내 욕망이 아닐 수 있다. 보여주기 위한 것, 사회적 관계 속에서 외톨이가 되지 않기 위해서 항상 가벼운 외투를 쓰고 있다가 언제든지 벗고 다른 것을 바꿔 입을 수 있는 민첩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음을 자랑스러워 한다. 바우만은 44편의 편지를 통해 얄팍하고 빈약한 삶의 표층을 걷어내 보여준다. 혼자 있는 것을 견디기 힘들어 하면서 무수히 맺는 온라인의 관계 속에서 위로와 안도감을 느끼는 이유에 대해, 고독을 잃어 버린 조건들을 열거해 들려준다.
고독이란 무엇인가? '생각을 집중하게 해서' 신중하게 하고 반성하게 하며 창조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최종적으로는 인간끼리의 의사소통에 의미와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숭고한 조건이다(p.31)라고 밝혀놓고 있다. 고독할 시간이 없는 인간들의 삶에 경고등이 켜짐을 본 바우만은 아날로그 시대의 사람임에 틀림없다. 지식기반의 사회와 디지털로 명명되는 시대로의 자리이동으로 인해 아날로그 세대가 겪는 부적응과 불협화음을 차치하더라도 바우만은 꾸준하게 오랜 시간동안 근대에서 발명되거나 드러난 특이성을 연구한 학자이다. 유동하는 근대 서 인간의 삶의 위치와 조건들을 성찰한다. '지금여기'의 즉각적이고 표면적인 이유들로 넘쳐나는 삶인데도 우리는 그게 실질적인 현실로 착각하며 살고 있음을 바우만은 지적한다. 불확실성에서 오는 불안과 공포, 고독이 극도로 매우 불편하고 위협적이며 무서운 조건이라고(26) 여기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존재함을 편지의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44편의 편지들은 고독을 잃어버린 인간의 삶을 추적하고 보여주는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것은 혼자있는 시간을 잘 견뎌내며 심지어 즐기기까지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혼자 있기가 배제와 축출, 쫓겨남 등의 악몽으로 둔갑되어서는 곤란한 일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44편의 편지를 읽으면서 인간에게 고독이 왜 필요한지를 역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