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침묵의 봄 - 개정판 레이첼 카슨 전집 5
레이첼 카슨 지음, 김은령 옮김, 홍욱희 감수 / 에코리브르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 달에는 좋은 책이 많이 온 것 같다. 고등학교 선생님께서 그렇게 꼭 읽어보라고 추천하곤 했었던 <침묵의 봄>을 이번 기회에 읽게 된 것이다.

 

침묵의 봄이 뜻하는 바는 이 책의 맨 처음에 있는 '내일은 위한 우화'와 가장 큰 관련이 있을 것이다. 저자가 우화에서 실감나게 묘사한 것처럼, 지금처럼 경각심 없이 환경을 파괴한다면 생명이 피어나지 않는 황량한 봄, 즉 '침묵의 봄'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지금 관점에서 본다면 이 책이 다른 생태학 저서보다 월등하게 뛰어나다는 느낌을 받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지니고 있는 명성에 비해, 이 책은 우리에게 지금 너무나도 당연한 것들을 이야기해서 몰입도도 떨어질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책이 주목받을 수밖에 없고, 우리가 이 책을 기억해야만 하고 읽어야만 하는 것은, 바로 이 책이 지니고 있는 시대의 맥락context 때문이 아닐까 싶다.

 

우리가 지금 보기에는 너무 당연한 과학적 진실이지만, 그 시대에는 산업 자본(DDT에 한정한다면 특히 화학 산업)의 힘에 눌려 그 누구도 말하기 꺼려했던 진실을 카슨이 용감하게 대중을 향해 고발한 것이다. 카슨이 이 책을 통해 이뤄낸 것은 마치 '달걀을 세우기 위해 달걀 밑을 깨는 발상(콜럼버스의 일화)'과 같은 일이었던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비로소 인류는 환경 보호를 위한 돌파구breakthrough를 만들 수 있었다. 마치 조곤조곤 옆에서 과학적 지식을 쉽게 설명해 주는 것과 같은 이 책은 그래서 특별한 게 아닐까.

 

이 책이 50주년을 맞았다고 해서 생각하는 것인데, 우리는 이 책의 메세지를 잠깐 잊고 살아가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분명 이전보다 환경 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단지 그것이 충분하다고 안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누군가는 어쨌든 환경 운동을 하고 있으니, 괜찮겠지 하는 그런 막연한 안도감. 요즘은 그런 불감증이 파다해져 있는 것만 같다.

 

50년 전에 비해 현재 달라진 것은, 몇몇 과학 기술이 지닌 파괴력이 단순히 특정 지역의 봄을 침묵시키는 정도가 아니라 전 세계를 침묵시킬 수 있을 정도로 거대화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 책은 '침묵의 세계'를 막기 위해서 다시 한번 정독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는 분야인 과학기술학STS가 강조하는 '과학이 사회를 향하는 파괴적인 무기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과학과 사회는 상호작용 해야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통감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