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의 스포일러) 

아마도 2003년 전후였던 것 같은데 단편영화제에 참석한 적이 있습니다. 장소는 정독도서관 앞에 있는 아트선재센터 였던거 같습니다.(영화관 이름이 맞나 모르겠네요, 좋은 영화관이었는데 폐관했습니다. 지금 재개관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기억나는 영화제목은 <맥도날드 보이>(감독이 눈이 예쁜 여성이셨습니다.) 나무들이 봤어(제목이 이거일겁니다. 아마 노동석 감독이 마이 제너레이션을 감독했죠),<여기가 끝이다>(제목이 이거일 겁니다. 혹시 이곳이 끝이다?) 등등 이었습니다. <무산일기>를 보면서 <여기가 끝이다>가 생각났습니다.둘다 탈북자가 모델입니다. 영화제목이 <무산일기>인 이유.주인공에게는 살기 위해 탈출한 무산이나 현재의 남한이나 똑같이 <무산>이기 때문입니다. 주인공은 살기 위해 돌을 들고 친구를 배신합니다.(배반의 모티프는 트레인스포팅? 그 영화도 결국 렌튼이 새출발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배신으로 인한 한탕입니다) 주인공은 여전히 무산에서 살고 있는 것이죠. <여기가 끝이다>에 이런 대사가 나옵니다. "여기나 북한이나 똑같아요.하긴 여기는 먹을 건 많죠" (원문과는 약간 차이날 것임) 후에 감독과의 대화에서 관객이 이 부분에 있어서 질문을 했습니다. 감독은 이 애기를 친구인 탈북자에게서 직접 들었다고 합니다. 그런 면에서는 <무산일기>와 묘하게 통하는 부분이 있군요. 그 때 그영화를 만들었던 감독은 좀 안타깝겠어요. 소재 발굴은 이미 자신이 오래전에 했는데 장편은 딴 사람이 완성했으니까요.  

 

p.s. 미카엘 하네커의 <히든> - 결국 자미드는 여전히 겁먹은 아이였을 것이다. 주인공은 끝까지 폭력을 행사한 것이다. 아마 미스틱 리버처럼 자미드는 여전히 겁먹은 아이인채로 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자미드를 끝까지  쫓아온 폭력이란.주연은 분명 다니엘 오테이유와 줄리엣 비노쉬인데 정작 '히든'히어로는 자미드같다. 알제리 애기도 나오는데 혹시 역사적인 사건에 대한 은유가 아닐까.  씨지비 압구정에서 화양연화란 이름으로 상연중이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