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땅에 홀리다>, <전50>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전 50 - 은근한 불로 노릇하게 부쳐 먹는 한국의 슬로푸드
손성희 지음 / 시드페이퍼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전’하면 명절이나 제사 때 엄마가 부쳐주시던 생선전이 제일 먼저 생각납니다. 꼬치에 파, 고기, 맛살, 햄, 파프리카 같은 걸 꿰어서 부친 것도 맛있었지요. 어릴 때는 엄마가 전을 부치시면 옆에서 몇 개씩 집어먹곤 했지요. 막 구워낸 전을 뜨거울 때 먹는 그 맛이란......
나이가 좀 들고부터는 동생이랑 나란히 앉아서 전을 부쳤습니다. 동생이 전 거리에 밀가루를 묻혀서 계란물에 넣어주면 노릇노릇 예쁘게 굽는 건 제가 담당했지요. 요즘은 남편 술안주로, 명절 준비로, 그냥 간식거리로 가끔 전을 부치지만 매번 비슷비슷합니다. 고구마튀김, 동태전 혹은 대구전, 굴전, 호박전, 파전, 부추부침개, 그리고 아이가 좋아하는 감자전......
지은이는 이 책에서 50가지의 전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너무 어려운 것만 아니라면 ‘몽땅’ 따라해 보겠다고 마음먹고 차려부터 살펴봤습니다. 남편이 옆에서 ‘쇠고기전이 맛있을 것 같다.’하더니 ‘육포전도 있네!’하며 반가워하더군요. 50가지 다 해달라고 할까봐 은근 걱정이 됩니다. 한동안 책을 숨겨놓아야 겠습니다. 제가 제일 관심있게 본 전은 녹두빈대떡입니다.
녹두빈대떡
『빈대떡은 조선시대에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이 부족할 때, 가난한 유랑민에게 나눠주던 빈자(貧者)떡, 즉 가난한 이들을 위한 떡에서 유래됐다』고 하는군요. 그래서 옛날 노랫말에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지……”하는 부분이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녹두빈대떡에는 녹두와 숙주, 쪽파, 찹쌀가루, 베이컨, 당근이 들어가네요. 김치, 고사리를 넣어도 잘 어울린다는 군요. 따라 해보고 싶은 전 1순위입니다.
쇠고기전
핏물을 제거한 홍두깨나 설도에 찹쌀가루를 묻혀서 센불에 재빨리 구워냅니다. 채소와 겨자소스를 곁들여 먹으면 좋다는 군요. 냉동실에 찹쌀가루가 남아있는지 확인해봐야겠습니다.
고추전
고추전 완전 좋아합니다. 그런데 손이 많이 가서 잘 안 만들게 되지요. 책을 보니 한 번 해보고 싶어지네요.
육원전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반반씩 섞어서 만듭니다. 두부가 들어가서 더 부드러울 것 같네요. 손이 많이 가서 잘 안 만들게 되는, 그런데 한 번 하면 아이와 남편 모두에게 인기있는 전이죠.
깻잎전
어릴 때는 깻잎에 밀가루반죽만 입혀서 구워도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깻잎 사이에 양념한 돼지고기와 두부, 양파 등을 넣어서 잘 지지네요. 한 번 만들 때 쇠고기를 넣어서 만드는 고추전이랑,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반반씩 섞어서 만드는 동그랑땡(육원전)이랑, 돼지고기를 이용하는 깻잎전을 조금씩 같이 만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육포전
쇠고기전이랑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겠거니 했는데 아니군요. 육포를 불려서 밀가루와 달걀물을 입혀서 만드네요. 명태전 만드는 방법이랑 비슷해서 쉽게 따라할 수 있겠습니다.
우엉전
책을 보기 전에는 ‘우엉으로 어떻게 전을 만들까?’싶었습니다. 익을 때까지 지지는 데 시간이 꽤 걸릴 것 같아서 말입니다. 비밀은 적당한 두께로 썰어서 방망이로 두드려주는 것이군요. 유장으로 밑간도 하고... 맛있을 것 같습니다.
조갯살달래전
바지락과 파, 혹은 부추를 섞어서 지진 부침개는 막걸리 안주로 종종 상에 오릅니다. 양파를 넣기도 하고 때론 방아잎을 몇 장 넣어서 향을 추가하기도 하지요. 저는 모든 재료를 한 번에 몽땅 섞었는데 책에서는 좀 다른 방법으로 굽네요. 반죽을 프라이팬에 떠 놓은 다음에 조갯살과 달걀물을 올리는군요. 이 방법이 보기에 더 이쁠 것 같습니다.
냉이우렁이전과 단호박전, 파래전, 마늘종홍새우전, 삶은 고구마를 으깬 다음 찹쌀가루를 넣고 반죽해서 굽는 고구마전도 재밌겠습니다.
명절 때 전이 조금씩 남곤 하는 데 이때 ‘남은 전 활용법’이 유용할 것 같습니다. 소개된 다섯 가지 중에서 전골이 특히 마음에 듭니다. 여러 가지 전과 함께 가래떡이랑 채소를 전골냄비에 담고 육수를 부어서 끓이는 방법입니다. 모둠전 탕수도 재밌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