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연대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시간 연대기 - 현대 물리학이 말하는 시간의 모든 것
애덤 프랭크 지음, 고은주 옮김 / 에이도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우리는 늘 그랬듯 찾아낼 것이다, 어떤 시간을.

 -애덤 프랭크의 '시간 연대기'를 읽고-

 

 

 

 

 

시간에 관한 어떤 이론

  

  인류가 시간을 인지하기 시작한 것은 깜깜한 밤을 맞이한 이후부터였다. 낮에는 선명하고 또렷하게 보이는 세상과 따스한 햇볕이 있었다면, 밤에는 매섭고 추운 바람과 소리만 들릴 뿐 보이지 않는 위협들이 가득했다. 그러나 밤은 영원하지 않았다. 밤을 견디다 보면 낮이 왔다. 참는다는 것, 그것은 괴로운 일이었다. 사람들은 미치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서 시간을 인지하고 발명했다. 수메르인들은 물질과 시간의 관계를 통해 그들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했다. 날짜와 실제 계절의 변화를 맞추면서 농사와 세금 징수 시기를 추정했고, 사회와 왕국을 조성했다. 물론 윤달의 존재, 달의 주기와 태양의 주기를 맞추기 위해 달력에 13번째 달을 삽입한 것은 그들의 한계를 드러낸다.

  변화하는 것을 예민하게 인지하고, 앞일을 예상해서, 최대한 빠르게 적응해서 생존하기 위한 것, 시간은 심지어 종교적 숭배 대상, 혹은 종교의 수단으로 사용되기까지 한다. 시간은 권위적인 것이었고 시간을 알리는 종탑은 늘 도시 한가운데 높이 솟아 있었다. 중세의 암흑기에 시간은 하나의 통치 수단으로서 또다른 시간의 가능성을 억압하고 단죄했다. 당시의 과학자들은 새로운 시간의 가능성을 제기하다가도 이내 엉뚱한 종교적 교훈으로 슬그머니 자리를 피하곤 했다. 반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그러한 억압에 대해 수긍하면서도, 이내 그 한계를 분명히 인지하고 있는 자신을 부정할 수 없었다. 지구는 돌며, 시간은 절대적이지 않다. 이는 망원경의 발명과 더불어 설명될 수 있다. 망원경은 멀리 있는 것을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여주며, 이는 그 멀리 있는 것까지 다다르기 위한 시간을 손쉽게 접어버린다.

  이러한 시간의 압축과 분배는 산업 혁명에 다다라 하나의 물질이 되어버린다.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잠만 자거나 집에 틀어박혀 있어야 한다고 여겼던 밤은 가스등의 발명을 통해 또다른 사용 가능한 물질적 시간이 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밤의 자유를 얻었는가? 복속당할 뿐이다. 우리가 늘 그래왔듯이. 자유의 가능성은 부정된다.

  반면 이러한 억압의 역사를 통해 얻어진 자유의 가능성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바로 시간의 공간화일 것이다. 시간은 물질이 되고, 공간이 되었다. 이 곳의 시간과 필라델피아의 시간은 다르듯이, 사람들은 이제 시간의 절대성을 의심하게 된다. 또다른 시간의 탐구는 우주 공간까지 이어진다. 이 곳에서의 세시간은 우주에서의 삼년, 그 이상으로 늘어난다.

  인간은 살아남기 위해 시간을 발명했지만, 그 생존은 단순히 생명을 이어나가기 위함이 아니었다. 그들은 인간으로서 살아남고자 했다. 동물들도 늙어 죽지만, 동물들은 왜 자신이 죽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그들의 순진무구한 눈빛이 우리에게 던지는 묘한 부담감, 슬픔은 바로 그러한 점에서 비롯된다. 그들은 묻는다. 왜 우리는 죽어야 하죠? 우리는 죽음, 전원이 꺼지듯이 더 이상 들어오지 못하는 죽음에 대해 우리가 수긍할 수 있는 답을 만들어 놓았다. 우리는 억울함을 표출하지 못한다. 우리는 늙어 죽는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그동안 보내온 시간들로 평가되기까지 한다. 우리가 발명했고 우리가 믿었으며 우리가 종속당한 시간에 의해서. 몇분 몇초를 아끼거나 혹은 마구잡이로 흘려 보냈고, 혹은 도중에 시간의 수레바퀴에서 무작정 이탈했던 시간에 의해서. 시간은 모든 비극의 당위이자 비겁한 변명이 된다.

 

 

 

과거가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인터스텔라

  

  전세계적으로 시간은 서랍 속에 있는 엽서처럼 차곡차곡 분류되고 정리되어 수납된다. 라디오를 통해 사람들은 어떤 세계에서 벌어지는 소식을 마치 제 베란다 앞에서 벌어진 일마냥 실감나게 들을 수 있다. 이는 거리의 극복과 함께 어떤 현장의 실재성이 일정한 정보로 압축되는 왜곡을 유도한다. 가령 책에서 언급된 1930년대 초 라디오 방송국 NBC에서 방송된 밸리의 <플라이시만의 이스트 아워> 쇼는 미국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소리가 된다. 그들에게 밸리 쇼는, 그들이 혼자가 아니라고 말해주는 위안이자, 동시에 혼자이기 때문에 더더욱 이 쇼를 중요한 것으로 갈망하게 하는 자극이었다. 중서부에 사는 한 남편이 밸리 쇼에 푹 빠진 아내에게 라디오 듣는 일 말고는 할 일이 없는거야?”라고 질책하자 아내가 그 자리에서 남편을 총으로 바로 쏴죽이고는 계속 라디오를 들었다는 에피소드만 봐도 그렇다. 이 에피소드에서 부각되어야 할 점은 아내들의 라디오 중독이 아니고, 남편들의 현실에 대한 재촉도 아니다. 사람들은 밸리 쇼를 직접 가서 보는 대신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는 것을 들었다. 그들은 그 중계를 통해 사람들이 서로 이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가상의 연결은 실제 현실의 색을 바래게 했다.

   지나간 시간들은 그들이 전해 들은 모든 것들로 이루어졌으며, 이내 한 권의 책이 되었다. 그러나 다중 우주와 수많은 시간들이 있다는 과학자들의 이론은 그동안 시간을 숭배하고 신봉했던 사람들의 행동을 한낱 어리석은 것으로 치부하게 한다. 그들은 어려운 기호와 개념들을 들먹이며, 다른 이의 반박을 듣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의 허점이 르메르트에 의해 보완될 수 있었으나 묵살당했던 것처럼. 인간은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한다. 세기의 우주 영화로 일컬어졌던 인터스텔라는 단순히 다중 우주와 과학적 가능성에 대한 이론을 충실하게 잘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게 아니다. ‘인터스텔라에서 쿠퍼는 브랜드와 함께 지구를 구하기 위해 우주로 나아가지만, 실제로 그들이 마주하는 현실은 그들만이 살아남아 새로운 지구를 만들라는 추방령이었다. 과거는 끝없이 타오르는 옥수수밭이며, 파멸만이 예정되어 있다. 생존을 위해서는 과거를 버려야 한다. 순서대로 꼼꼼하게 묶였던 책들의 페이지들은 흩어지고, 페이지 수는 단순한 숫자의 나열이 될 뿐이다. 순서란 존중받지 못한다. 브랜드 교수는 폐기된 과거에 비관하며, 과거의 산물이 되어버린 공식에서 어떠한 진전도 하지 못한다. 이 진전을 이루는 건 바로 쿠퍼의 딸 머피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머피는 우연에 의해 쿠퍼의 신호를 감지하고, 그 모든 우연을 필연으로 바꾸어 공식을 풀어낸다. 그 우연은 그녀가 과거부터 겪어왔던 모든 기억들에서 찾아낸 것들로 인해 필연이 된다. 다중 우주에 대한 이론은 과거를 무시하고 폐기하는 데 의의가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쌓아온 과거들-문화적 시간으로 치부되며 비과학적으로 명명되는-에 대한 응답을 요청한다. 우리는 생존하기 위해 시간을 사용해 온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미완의 연대기

  

  우리는 자유를 얻기 위해 시간을 따라왔다. 우리는 미래가 더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시간이 지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몇몇은 시간의 존재를 부정하며, 다중 세계 이론은 곧 회의적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는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재확인할 뿐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시간은 없는 것이라는 말은 사실상 시간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에 대해 우리가 잊어왔던 모든 가능성을 다시금 재확인하게 하는 것이다. 바버는 점프하는 고양이는 착지하는 고양이와 같은 고양이가 아닙니다라고 말한다. 실제에 대한 물리학은 전체적으로 하나로 합쳐진 지금을 말한다. 어떤 권력이나 강압에 의한 질서가 아닌, 자체적으로 짜여진 시간을 통해 고양이는 고양이가 된다. 영원성에 대한 갈망은 사실상 늙어가거나 이대로 멈추는 파우스트의 억지가 아니라, 그들 자신이 주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순간이다. 순간에서 우리는 영원해질 수 있다. 바버는 지금에 대해서 묻는다. 이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편견의 과학에 머무르지 않는다. 과학은 수많은 문화와 철학들과 연계된다.

   때문에 이 시간의 연대기라는 책은 아직 미완의 어떤 것이다. 문화사에서 갑작스럽게 과학으로 넘겨 뛴 듯한 흔적이 보이지만, 이는 하나의 단계이지 간극이 아니다. 험프티 덤프티가 담장에서 떨어진 후, 담장 밑에 남은 그 흔적은 순식간에 벌어진 사고로서 간극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험프티 덤프티가 떨어지게 된 원인과 그 과정은 개연적인 것이 된다. 우주라는 것은 시간의 공간화에 이어 새로운 시간적 공간을 발견하고자 한 인간의 시선에 의해 발명되었다. 연대기라는 것은 서랍 속에 정리된 카드들이다. 반면 이 연대기는 바버의 말처럼 언뜻 보면 산만해 보이는 펼쳐진 것을 의미한다. 우주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 이어진 것이며, 우리는 그 시간을 통해 우리의 영원을 찾고 싶어 한다. 때문에 이 연대기는 아직 완성되지 못했다. 책 뒷면 표지에 쓰인 추천사에서 언급되듯 거의 모든 시간의 역사지만, 아직 다 쓰여지지는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