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 - 음악과 함께 떠나는 유럽 문화 여행 일생에 한번은 시리즈
정태남 지음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장바구니담기


나름 이것 저것 장르 가리지 않고 다양한 음악을 좋아한다고 생각하는데 유독 쥐약인 것이 바로 클래식이다. 주로 조용한 곡들이 많다 보니 왠지 태교에나 잘 어울릴 법하고, 가사도 없으니 공감할 만한 거리가 없다는 게 핑계라면 핑계다. 어렸을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웠던 남동생 덕에 협주곡 같은 걸 스쳐 지나가면서 듣긴 했지만 그마저도 동생이 바이올린을 놓아버린 후로는 듣지 못했다. 친숙해지려면 많이 들어야 한다는데 관심이 없으니 접할 기회도 많지 않고, 학창시절 수행 평가 과제 때문에 억지로 음악회에 가서 졸린 눈으로 앉아 있던 후로는 근처에 가본 적도 없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짜잔! 하고 클래식이 내가 좋아하는 음악이 될 거라는 큰 기대는 애초부터 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렇게 쉽게 바뀔 수 있다면 진작에 찾아 듣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고. 학창시절에 선생님들께서 많이 해주신 말씀 중에 암기 할 때 이야기를 만들어 외우면 도움이 된다는 얘기가 기억난다. 그 만큼 기억하기 쉽고 재밌게 공부할 수 있다는 뜻일텐데 (실제로 효과도 있었다.)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가 바로 귀로만 듣던 클래식을 이야기로 만들어 흥미를 갖게 해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조금 특이하게 유럽의 궁전, 성, 다리, 집, 길, 성전을 테마로 클래식을 엮어낸다. 아무래도 작가의 직업이 건축가라서 그런걸지도 모르겠다.

음악 자체가 좋아서 듣는 경우도 있지만 그 노래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음악가의 성향이 어떤지 이해하고 나면 더 좋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건 꼭 클래식에 한정된 경우는 아닌 것 같은데,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를 읽으면서 흥미가 생기는 이야기들이 몇 가지 있었다.

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 선생이 스페인 사람과 결혼했다는 사실도, 그리고 그곳에 안익태 선생의 거리가 있다는 것도, 곡에 대한 배경지식까지 몰랐던 사실들을 알고 애국가를 다시 떠올려 보니 괜스레 뭔가 특별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예쁜 풍경이나 좋은 곳을 보면 언젠가는 꼭 가봐야지 다짐하기도 하고, 흥미로운 음악 이야기가 재밌기도 했다. 하지만 나처럼 클래식을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면 책에서는 음악가와 제목을 언급해 주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데 음악가는 얼핏 아는 사람이라고 해도 제목만 듣고 클래식을 함께 떠올리는 일은 결코 쉽지 않았다. 인터넷에 검색해서 음악을 직접 들어본다거나 하는 성의를 보일 수도 있겠지만 과연 책을 읽으면서 그런 수고를 들일 사람이 많을까 하는 의문... 지나친 욕심일 수도 있으나 책에서 소개했던 음악들을 씨디로 구성했다거나 아니면 친숙하게 떠올릴 수 있는 연결고리를 더 만들어줬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클래식에 대한 배경지식이 하나도 없는 사람들 보다는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 적합할 것 같은 책이었다. 제목 때문에 클래식으로만 한정짓기 보단 책 설명 처럼 음악과 함께 떠나는 유럽 "문화 여행" 으로 생각하는 게 좋을 듯! 그나저나 <반짝 반짝 작은 별>의 원조 가사가 이렇게 성숙한 느낌이었다니..ㅋ 마지막 줄이 그나마 아이 답다. 사탕이 이성보다 더 값지다!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