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 - 영화로 보는 인문학 여행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이라는 책을 보는 순간 내가 봤던 영화들의 명장면이 떠 오를거란 생각으로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표지부터 은근 시네마극장 이미지가 떠 오르는 디자인이 이 책과 참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갖게되었다.

1000편의 영화의 1000개의 명언이라니 이 책을 집필한 저자가 더 더욱 대단해보인다. 완전 멋짐 뿜뿜^^


그래서 찾아봤다.

저자는 인문학자 지식큐레이터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는데 낮선 인문학자지식큐레이터?

요즘은 이렇게 멋지고 자신만을 표현하는 이름들이 많아 좋은것 같다. 만약 내가 글을 쓴다면 난 나를 뭐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저자에 대한 소개를 보니 음~~ 인문학자 지식큐레이터라는 타이틀이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ㅋㅋ













1000편의 영화를 8 PART로 나눠서 정리해놨는데

PART1 꿈과 자유를 찾아주는 명대사

PART2사랑이 싹트는 로맨틱 명대사

PART3 인문학적 통찰력을 길러주는 명대사

PART4 사람의 심리를 파고드는 명대사

PART5 지친 마음을 힐링해 주는 명대사

PART6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명대사

PART7 불굴의 의지를 보여주는 명대사

PART8 내 안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명대사


책에 내가 봤던 영화들을 색연필로 체크해봤다. 1000편의 영화중에 50여편 밖에 보지 못한걸 보니 조금 황당?하다고해야하나 그래도 영화를 많이 봤다고 생각했는데 인문학적인 접근은 좀 아니였나보다 ㅋㅋ

PART2, 8의 영화가 10편씩 제일 많이 봤다. 그래 난 사랑을 아직 믿고, 내 안에 상상력을 자극하는 영화를 좋아하는 취향인것 같다.

많은 영화의 명대사들이 다 맘에 와 닿고 좋긴했지만 나름 몇 영화를 뽑아봤다.


https://tv.naver.com/v/4575215


맨 처음 내 마음을 사로잡은 영화는 브로크백 마운틴이다.이 영화는 지금도 맘이 심쿵심쿵한다. 정말이지 동성애로 가득한 사랑이지만 서로를 향한 애틋함이 영화에 가득 녹아있는 작품이며, 특히 영화의 배경이 너무 아름다운 영화다.영화를 본 사람들이라면 만년설로 뒤덮인 자연풍경에 반하지 않을 수 없다.


외계인과의 접촉을 그린 영화로 두번째로 난 컨택트를 뽑았다.

이 영화는 "당신 인생의 이야기"라는 테드 창의 소설과 함께 볼 만한 영화이다.

영화가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지만 만약 미래를 알고 있는데 넌 어떻게 살아가겠니?라고 물어보는 듯한 영화이다. 나에게 내 미래를 알려주면서 넌 어떻게 살래? 한다면 나는 뭐라고 대답할까하는 의문을 만드는 영화이다.






당신의 인생을 전부, 처음부터 끝까지 알 수 있다면, 그걸 바꾸겠어요?

If you could see your whole life from start to finish, would you change things?

네 삶 너머에도 너의 이야기는 존재해.

Your story exists beyound your life.

결과를 알고 있음에도, 어떻게 흘러갈지 알면서도, 나느 모든걸 껴안을 거야.

Despite konwing the joureney and where it leads, I embrace it.



마지막으로 겨울왕국~~

이건 말하면 입 아플 영화죠^^

디지니가 만든 최고의 걸작이라고 생각해요. 아이 키우는 엄마들이라면 수십번은 볼 만한 영화라고 생각하며 저또한 수십번?은 봤다 생각하네요 ㅋㅋ 이 영화는 안데르센의 작품 '눈의 여왕'을 모티브로 한 영화로 유명하죠~~ 두 자매가 시련을 극복하고 사랑을 찾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랍니다.



https://youtu.be/L0MK7qz13bU


진정한 사랑은 누군가를 너 스스로보다 먼저 두는 것이야.

True love is putting someone else before yourself.

해가 뜨는 것처럼 나는 일어설 거야.

I'll sise like the break of dawn.

사랑은 너 자신보다 상대의 필요한 것을 채워주는 거야.

Love is putting someone else's needs before yours.

누군가를 위해서 기꺼이 녹아줄 수 있어.

som people are worth melting for.

진실한 사랑의 행동만이 얼어붙은 심장을 녹일 수 있단다.

Only an act of ture love can thaw a rozen heart.


마지막으로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영화중 한편인 영화 노트북이 빠진게 좀 아쉽긴하다. 평생 한 사람만을 사랑할 수 있다면 그또한 축복이라 생각한다. 영화 노트북은 노아가 앨리를 얼마나 지극히 사랑했는지 느껴지는 영화이다. 이 생에는 안되겠지만 그래도 남은 순간 사람만을 사랑하며 살아가고 싶은데...


난 비록 죽으면 쉽게 잊힐 평범한 사람일지라도 영혼을 바쳐 평생

한 여자를 사랑했으니 내 인생은 성공한 인생입니다.

I've suceeded as gloriously as annone who's ever lived.

I've loved another with all my heart and soul and for me that las

alwasys been enough.


외에도 너무 너무 좋은 영화가 가득한 영화 백과사전 같은 느낌인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은

잊었던 감동을 회상하게하면서 다시금 그 영화에 빠져들게 만드는 묘한 매력이 있는 책이다.

한국영화도 좋은 영화가 많으니 한국영화 명대사를 가득 담은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한국영화편이 나왔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은 뒤로 하며 기분 좋아지는 책을 접했다.

내가 알고 있는 영화보다 더 많은 영화가 궁금하고 그 영화의 명대사가 궁금하다면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명언 1000을 읽어보면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속의 자본주의자 - 자본주의의 변두리에서 발견한 단순하고 완전한 삶
박혜윤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접하면서 자꾸만 헬리 데이빗 소로의 「월든」이 생각이 났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인 박혜윤 작가도 책 속에 월든이야기를 많이한다. 소로의 월든을 읽어본 분들이라면 월든과는 다른 생각을 가진 「숲속의 자본주의자」를 읽어보면 좋을것 같아 추천한다.

 



숲속의 자본주의자는 전체 5장으로 이뤄져있어요.

1장. 제철에 블랙베리를 따는 삶

2장. 어쩔 수 없이 살지 않기 위해 버렸던 것들

3장. 돈 벌지 않는 나와 살아가는 법

4장. 숲속에서 내 이야기 찾기

5장. 투명해질 때만 보이는 것들


 숲속의 자본주의자는 박혜윤작가가 온 가족이 서울생활을 정리하고 미국 시골로 가서 직접 생활하면서 느끼고, 체험한 내용들을 책으로 만든것인데 누구나 시골 작은마을에 가서 살고 싶은 생각을 가지고 있으나 현실에서 쉽지 않음에 동경만 하는것 같다. 나 또한 그렇고 ㅋㅋ


소로의 월든은 책이 워낙에 두껍고 읽으면서 이건 내가 사는 것과 다르네 생각했는데, 이 책은 그래 그래 진짜 모든걸 놓고 시골생활이 가능하구나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작가의 생각과 나의 생각이 일치했던 부분이였던 소로의 월든은 너무 현실에 동떨어진~~ 하지만 동경하는 삶이라면 이 책은 그래 이 정도면 나도 가능할까? 생각해본다.

항상 노년에 시골생활을 상상했는데, 꼭 나이들어서 아니라 지금 현상태에서도 시골생활 가능하겠다는 생각을 해봤다. 나도 나름 많은걸 갖는것보다 나눔하는걸 좋아하는편이고 많은 걸 놓고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음과 현실은 다를 수 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나다움'에 대해 계속 생각해보게 한다.

작가가 전하려는 진정한 숲속의 자본주의자는 누구일까?

무엇을 내려놔야하는걸까? 아니면 무엇을 채워야하는걸가?

 

" 나다움..

삶의 독특성, 의미, 재미를 주목하고 찾아낼 사람은 우주에 나 한 사람밖에 없다.

섬세하고 주의깊게, 너그럽게 천천히 들어다봐야만 보인다.

내게 시골은 이런 생각에 마음껏 빠져 있을 만한 넉넉한 공간과 시간, 그리고 적은 생활비를 의미했다. "


 

   

진정한 나다움이란 나만이 알 수 있고 다른 누구도 나를 위해서 살아갈 수 없다.


내가 나를 사랑해야하는 이유이다. 그 누구도 나를 위해 대신할 수 없는 삶이있다.


그걸 작가는 시골 작은 마을에서 직접 체험하고 느끼는것 같다.


작가는 이 책에 시골의 삶은 어떻게 살아야하는지를 담아낸 책이 아니다. 혹시나 그런 전원생활에 대한 로망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면 노~~


세상의 속도에 맞추기 버거워진 순간에 아무런 계획, 준비도 없이 모든 걸 내려놓고 들어간 시골생활이 무려 7년이나 된다고 한다. 직장, 도시의 화려함과 편리함 모든걸 다 내려놓고, 계절마다 나오는 제철 음식으로 자본주의 삶을 버리고 필요한 만큼만 자급자족하는 가족을 보면 부럽기도하고 대단함을 느낀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최고의 권력인데 그런 모든걸 내려놓고 자연속으로 가는 모습이 아름다워 보였다.



P. 204 자기의 글에서 자기의 생각이 가장 빛나야 합니다. 그게 세상을 위하는 길입니다. 천재의 글을 사소하게 만들 만큼 당당하게 학생의 생각을 쓰세요. 무지가 창피한게 아니라, 생각하지 않는 게으름이 창피한 겁니다.


이 구절을 읽으면서 많이 반성하게 되었다.

난? 나도 열심히 책을 읽고는 있지만, 그냥 읽는 바보가 된 것은 아닌지...

언젠가부터 글을 쓰는것이 참 어렵고 생각처럼 잘 되지 않은데 이 책을 읽으면서 하루 하나씩의 글이라도 써봐야할 것 같다. 매일 조금씩 글을 쓰다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 천재의 글을 사소하게 만들만큼 당당해지지 않을까?

이 책은 힐링책이면서 철학책인것 같다.

자연으로 돌아간다는것은 많은것을 놓아야하는 동시에 자연에서 많은 것을 배우게 된다. 책 한권으로 자연을 배우면서 스스로를 내려놓음을 알게되고면서 진정한 숲속의 자본주의자가 되는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 - 슬픔을 껴안는 태도에 관하여
박애희 지음 / 수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

슬픔을 껴안는 태도에 관하여

사람들마다 슬픔을 대하는 방식은 각양각색이다. 그런 슬픔을 이 책을 통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는 좋은 시간을 만들었다.

책의 저자는 어쩜 나랑 같은 생각을 하지?

책 한 권을 읽고 덮으면서 난 내 일기장을 훔쳐 읽었나 하는 생각을 했다.

체리새우의 작가도 강연을 다니다보면 저자의 책을 아이들이 "이거 내 이야기인데 선생님 누구한테 전해듣고 책을 쓰신건가요?"라는 질문을 받곤 한다고한다. 이런게 공감가는 글이라고 하는거지?

세상에서 가장 큰 위로는 공감해주는거다 그런 공감하는 글이 가득한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 작가님의 책 제목부터 찐~~ 끌리는 이유이다.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

음~~ 그냥 위로가 되고 힘이 되는 말인것 같다.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이란건 이건 많이 견뎌본 사람들만이 아는 문장같다. 이 문장이 주는 위로와 용기는... 사람들 관계속에서 지치고 힘들게 버티고 견디는 사람들이라면 공감할 수 있다.

있는척, 아닌척하면서 살아가는 요즘 세상은 미치지 않고 살아갈 수 없는데 그런 사회에서 건강하게 살아남기 위해 셀프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세상에 상처받지 않고 살아가긴 힘들다. 그럼 그 상처를 스스로 치유해야한다. 누군가는 퇴근길 집에 있는 아이들이 좋아하는걸 사가면서 아이들의 웃음을 생각하며 하루를 버티고, 육아와 살림에 지친 엄마들은 드라마 한편과 캔 맥주 한 잔으로 스트레스를 풀며 하루를 버ㅣ틴다.

각자 셀프치료를 하면서 인생을 견뎌가고 유지하는게 아닐까?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이란 책의 구절구절이 양념이 되어 삶의 위로를 받기에 좋은 책이다.

읽으면서 나만 외롭고 힘든건 아니야 다만 다들 견디고 참고 살아가는거지.


책을 읽어가는데 정말 정말 나랑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많다는걸 새삼 느끼게 된다.

내 삶의 모토가 "아니면 말고"인데 박찬욱 감독의 가훈이라고하니 반갑기도하고 다 고만고만한 생각을 갖고 산다 싶으니 잔잔한 미소가 지어지기도한다. 무슨 일을하든간에 아님, 말고~~

한 번 시작한 일은 최선을 다해 열정을 쏟아 진행한다. 하지만 실수해도 틀려도 된다. 내가 그만큼 노력했으니 후회는 없다. 그래서 항상 맘 속에 "아니면 말고~~" 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으니 후회는 없어!!

그런 생각을 한다.


매번 속는 기분이면서도 이번엔 다르겠지,

하는 마음을 품던 날들,

무채색의 일상이 다시 무지개색으로 변하던 순간들.


분명 작가는 내 일기장을 훔쳐 본게 맞는것 같다.

ㅋㅋ

내 SNS에 프로필에 담긴 문장이랑 닮았다.

빈센트 반고흐의 글을 이용한 말인데,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무채색의 삶에 매일 채색하며 살자! 무지개빛 삶을 위하여...

매일 매일 수묵화인 내 삶을 내가 알록달록 색채를 입히는 맘으로 살자는 나의 프로필 글과 닮아 있는 작가의 글을보며 견디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모르게 닮아있는것 같기도 하다.


책의 구석구석 작가의 세심한 마음이 그대로 담겨있어 책을 읽는 동안 행복했고, 셀프치유가 되어가고 있었다.

힐링에세이라는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은 진정한 힐링에세이였다.

읽으면서 치유되고 읽고 난후 따스함에 삶을 버티는게 아닌 진정 견딜 수 있게 도와주는 책같다.

누구나 할 수 있는 휴식이며, 힐링이지만 그렇다고 모두가 다 스스로 치유하면서 살아가지 않는다. 아니 스스로 치유하는 방식을 모를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혼자 셀프치유가 힘든 분들이 있다면 견디는 시간을 위한 말들을 읽으면서 소소한 웃음을 자아내기도하고, 눈물도 흘릴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면 좋을 것 같다. 진정한 위로와 격려는 거창하게 아닌 옆에서 작은 목소리에 귀기울여주는것, 같은 아픔을 공감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그런 공감하는 맘을 만들어 주는 책이 필요하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의 감정 - 최상위 부자가 돈을 대하는 6가지 태도
이보네 젠 지음, 조율리 옮김 / 다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은 나를 비추는 가장 완벽한 거울이다.



돈의 감정 책띠지에 나온 말이다.

돈이 나를 비추는 완벽한 거울이라고? 그래서 열심히 천천히 읽어봤다.

현재 나의 모습을 알아보고 싶어서... 돈의 감정은 다산북스에서 출판한 책으로 개인적으로 책들이 너무 맘에 드는 출판사이다.

아지까지는 다산북스 책을 읽고 별로라는 생각이 들지 않기에 출판사를 믿고 보게 된 책이다.



이보네 젠Ivonnes senn은 지난 10년간 백만장자부터 프래랜서, 회사원, 아르바이트생까지 다양한 사람의 재정적인 고민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삶의 문제까지 해결해준 독일의 자산관리 전문가이자 라이프 코치이다.

책을 접한 내가 바라본 이보네 젠은 심리학자같다는 느낌을 받게 한 책이기도 하다. ㅋㅋㅋ



돈의 감정은 전체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머니 코칭으로 몸과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돈과의 관계 유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2장에서는 존중이란 주제로 돈은 모든 관계를 비추는 완벽한 거울로 나를 존중해야 돈도 나를 존중한다.

돈에 대하는 자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다.

3장에서는 공감이라는 주제로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돈을 대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동정이 아닌 공감으로... 돈과 감정의 관계 및 돈에 대한 솔직한 감정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4장에서는 사랑은 돈을 내것으로 만드는 최고의 결정으로 사랑과 돈은 보이지 않는 에너지가 있다고 말하면서 돈을 사랑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돈을 현명하게 사랑하고 사랑의 선을 긋는 방법이나 마음을 여는 명상에 대해 이야기한다.

5장에서는 관심으로 돈을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기둥은 무엇인지 돈을 어떻게 유용하게 사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돈에 대한 관대한 관심을 이야기 해 주고있다.

6장은 가까워지기... 돈과 친해지는 법!!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내용이다. 하지만 일확천금을 얻는 방법이 아니다. 돈은 만질수록 돈과 친해지며, 만원을 몸에 지니고 다니기등 돈과 가까워지는 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7장은 실험정신이란 장으로 삶의 즐거움을 발견하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루틴에서 벗어나라. 생각의 선순환, 기어모델, 관점 바꾸기등등으로 돈에 대한 생각을 바꾸고 돈과 친구처럼 사귀다보면 돈도 저절로 나에게 친근함을 느끼게 된다는... 돈을 부정적인 감정으로 대하지말고, 긍정적 감정으로 바라보면 돈이 눈에 보이며 나에게 다가오지 않을까?



돈의 감정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생각한건 돈도 사람도 살아있는 생물체나 물건들도 다 감정이 있는거구나!

진정한 마음으로 주의깊게 바라보고 사려깊게 볼 수록 나와 더욱 친근해지면서 뭐든 내가 원하는 쪽으로 흘러가는구나!! 돈의 감정을 다 덮을쯤엔 난 돈을 벌기위한 수단이 아닌 평생동반자로 대한다면 돈도 나를 동반자로 대할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돈은 쓰기위해서 버는 수단으로만 생각하지말고, 어떤 이유에서 왜 돈이 필요하면 그걸 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향으로 돈이 들어올지를 생각하며 돈과 함께할 수 있는 방향을 생각해보라는게 작가의 의도가 아닐까? 요즘은 다들 돈돈돈~~ 돈때문에 울고 웃는 세상이 되어지만, 그런 와중에도 우리가 잊지말아야하는것들을 다시금 되돌아보게해 주는 책인것 같다.

이 책은 돈을 버는 수단을 이야기하는 책이 아닌, 돈에 대한 감정과 함께 내가 돈에 대한 감정이 긍정적이면 돈도 나를 바라보는 감정이 긍정적으로 다가온다... 암튼 경제쪽보다는 심리학적인 내용이 가득한 책인것 같다.

살면서 돈뿐만 아니라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적용하면 좋을것 같다.


최상위 부자가 돈을 대하는 6가지 태도

존중 Respect, 공감 Empathy, 사랑 Love, 관심 Attention, 가까워지기 Touch, 실험정신 Experiment 이라는 여섯가지 요소가 긍정적이고 깊은 관계의 기초가 된다.

첫 글자를 조합해서 '연결하다' REALTE라는 단어가 된다. 이 요소는 사람 상이의 좋은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나 자신과의 관계, 그리고 돈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돈의 감정의 엑기스를 뽑아낸 부분이다. 우리는 REALTE를 적절하게 잘 활용해서 돈의 감정을 읽고 돈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면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래된 질문 - 내 안의 두려움을 마주하는 인생의 지혜를 찾아서
다큐멘터리 〈Noble Asks〉 제작팀 외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질문이란 책의 제목이 너무 맘에 들어요.

오랜된 질문... 내 안의 두려움을 마주하는 인생의 지혜를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서 같아요.

이 책은 옥스퍼드 생물학 대석학이 한국 사찰에서 찾은 고통과 두려움, 나와 삶에 대한 통찰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면서 다 못나눈 이야기를 책으로 역어낸 책이라고 하네요.

삶이 왜 괴로운가?

나는 누구인가?

마음을 어덯게 다슬릴 것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크게 4가지 화두를 가지고 데니스노블 교수와 한국을 대표하는 큰스님들의 생각을 통해서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을 만들수 있었답니다.

저또한 요즘 가장 많이 생각하는 주제로 나는 누구인가? 내 마음은 어떻게 다스릴것이며,

어떻게 살아야하는지에 대해 많은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책이였답니다.

책을 접하기 전에는 스님과 과학자의 만남은 뭔가 어색하고 안 어울린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것조차 색안경을 끼고 바라본 내 생각이라는점...

과학과 종교 특히 불교의 가름침은 잘 어울리는 것 같다는걸 배웠답니다.

저는 무교인데 이 책을 접하면서 만약 내가 종교를 갖게 된다면 난 불교신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생각을 하면서 한 권을 다 읽으면서 마음에 울림을 많이 느끼게 되었답니다.

책 속에 좋은 구절들이 너무 많은데 다 담을 수가 없어서 이렇게 영상으로 만들어봤어요.

ㅋㅋ

오래된 질물이란 책은 책이라는 느낌보다는 읽으면서 줄을 치고 내 느낌을 적을수 있는 생각노트, 일기장 같은 느낌의 책이랍니다.

누구나 개개인의 은밀한 고민이 한 두개쯤은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 고민중 삶에 대한 고민들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살아갈것인가? 삶은 뭐지? 이런 생각들을 누구나 종종하는데, 큰스님들도 그렇고 데니스 노블교수도 그렇고 삶은 거창한 것도 아니고 자연의 일부라는것 그래서 자연에서 스스로 융합되어야한다는 그런 느낌의 책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삶에서 고통을 느끼고 삶을 버거워하는데 그런 마음은 자신의 욕심이 아닐런지.

삶이 괴롭고 두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내 마음을 정화시키지 못함은 아닐까?

책을 완독후 출근길에 길가에 예쁘게 핀 꽃을 보며 "이쁘다"

그러면서 "집에 옮겨놓고 싶다" 생각을 했다. 우리집에도 이쁜 이 꽃들을 심고 싶다. 이런 이기적 생각에 깜짝 놀라게 되는데요. 그냥 자연스럽게 모든이가 보는것으로 참 좋다라는 생각이 성인이라는데 아직 전 깨달음이 부족한 중생인가봅니다.

오래된 질문은 저처

럼 마음이 혼란스럽거나 아직 깨달음이 부족한 중생들...

삶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싶은 분이나 어떻게 살면 좋을까 생각하는 분들이라면

읽으면 많은 도움을 받을 책이라 생각해요.

개인적으로는 어른들도 위로받고 싶을때 있잖아요. 그럴때 위로 받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해요.

분명 그들의 대화를 읽고 있을 뿐인데도 내 옆에서 나에게 따뜻한 위로의 말을 전해주는 느낌의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