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 - 오래된 사물들을 보며 예술을 생각한다
민병일 지음 / 아우라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사소하고 작은 사물에도 어느덧 감성적으로 다가올 때가 있다. 기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고향을 떠나 이국에서 보내는 삶이라면 더더욱 그러한 사물에 향수를 느낄 것 같다. 그래서 제목보다는 부제인 '오래된 사물을 보며 예술을 생각한다'라는 말이 더 와 닿는다. 저자가 독일에 머물면서 작은 사물을 통해 바라본 그의 감정과 예술적 감각을 읽노라면 나 또한 무엇인가를 그리워하는 몽상가가 되는 기분이다.

 

 



 

독일이란 나라에 대해서 아는 것이 많이 없었는데 이번 기회에 사소하지만 그들의 문화와 마음 씀을 느낄 수가 있어서 친근하게 다가왔다. 우리는 마음으로는 우리의 것이 좋고 최고라고 여기지만 실천적으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 독일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사소한 사물도 아끼고 수십 년 보관하면서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저자가 벼룩시장과 앤티크 시장을 다니면서 골동품 등을 모으는 게 낙이었지만 그보다 인간의 정을 느끼고 그들의 삶과 추억을 함께 공유하는 느낌도 참 좋았으리라는 생각을 해본다. 시장에 나와 물건을 파는 이들은 단추 하나하나도 모아서 팔고 있었고 몽땅 연필도 내놓고 팔고 있음을 보면서 검소한 생활을 엿볼 수 있었다.

 

 

 





 

책 처음부분에 유겐트슈틸 램프 이야기를 시작할 땐 독일 문화에 심취하여 독일 문화와 예술에 대해서만 논하겠구나 하는 오해를 했으나 몽땅 연필, 양은 도시락, 독일 고서인 고요한 아침의 나라이야기를 보면서 한국에 대한 그리움과 외로움을 느낄 수가 있었다. 더군다나 나도 좋아하는 김광석의 서른 즈음에를 흥얼거리는 부분에서는 가슴이 뭉클해지면서 고국에 살고 있다는 것이 참 고마운 일임을 새삼 느꼈다. 그가 단순히 골동품을 모은다고만 생각했지만 때론 문화재적인 작품도 수집하는 것처럼 보였다. 바로 독일 고서인 '고요한 아침의 나라'라는 책인데 독일 신부 노르베르트 베버가 1911년 조선에 머무는 몇 개월 동안 한양, 평양, 만주일때까지 다녀오며 컬러사진을 300여 컷 실은 사진인데 그 당시 외국에서 우리나라의 문화와 생활상을 이야기한 책이 참으로도 신기했다. 책에 새겨진 문양이나 사진들이 당시의 생활상을 나타내는 귀한 것이란 생각이 들었는데, 거금을 주고 구입한 책인 만큼 앞으로도 소중히 잘 간직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자 민병일이라는 사람을 잘 몰랐지만 책을 발간하면서 소설가 박완서 선생님을 추모하는 헌사를 적은 글을 보면서 마음이 뭉클해지고 따뜻한 마음으로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사실 나는 예술에 대한 관심은 갖고 있지만 교양 및 학문적 지식이 부족하다 보니 지식적인 부분보다는 감정적인 부분에만 공감을 할 수 밖에 없어서 살짝 아쉬웠다. 하지만 예술에 조예가 깊은 사람이라면 이 책에 대한 글을 적극 공감했으리라 본다. 저자의 음악과 미술에 대한 폭넓은 감각에 감탄을 하면서 첼로의 거장 로스트로포비치와 찍은 사진을 바라보며 사람과의 정, 사물과의 정 이런 것이 참 좋구나 하는 생각을 갖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