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 스파이크를 보기 전에 인슐린 스위치를 봐야 한다.

인슐린을 증가시키는 것이라면 뭐든 인슐린에 보이는몸의 반응을 약간 감소시킨다. 결국 같은 효과를 내려면 더 많은 인슐린이 필요해진다.
그럼 무엇이 인슐린 분비를 자극할까? (그렇게 해서 TOR를 부추길까?)
무엇을 먹느냐도 이런 요인 중 하나다. 특정 다량영양소는 우선적으로 인슐린 생산량을 늘린다. 탄수화물이 최악이고, 단백질은 차악이다. 지방은 다량영양소 셋 중에서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다.
언제 먹느냐도 인슐린 분비와 관련해서 중요한 문제다. 음식 섭취 자체가 인슐린 저항을 부른다. 자주 간식을 먹으면 TOR가 활성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공복일 때는 TOR가 꺼지고, 인슐린 저항도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노화도 인슐린 저항과 관련 있다. 나이가 들수록 이 호르몬에 우리몸이 보이는 저항성은 커진다. 대학생 시절에는 별 고민 없이 받아들던 밥을 똑같이 먹고도 이제는 배불뚝이 아저씨나 아줌마가 되지 않을까 걱정해야 한다. 살면서 빈번하게 인슐린이 급증했다면 저항성은 증가한다. 인슐린 저항이 생기면 인슐린의 기본 수치가 상승한다. 그러면 몸은 열량을 다른 데 쓰지 않고 지방으로 바꿔 저장하려고 한다. 인슐린을 늘리는 요인들이 또 있다. 그중 일부를 4장에서 살펴보았다. 스트레스, 수면장애, 급성 통증 등등이었다! 뭐든 인슐린을 증가시킨다면 인슐린 저항도 부를 수 있다. - P1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로 콜라가 인슐린 수치를 더 높여 결과적으로 비만에 더 해롭다. -‘비만 코드‘ 재인용

다이어트 탄산음료는 당 함량을 줄이긴 했지만, 비만, 대사증후군, 뇌졸중, 심장 발작 같은 위험은 떨어트리지 않는다. 왜일까? 비만과 대사증후군을 일으키는 진짜 원인은 열량이 아닌 인슐린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그래서 인공감미료가 인슐린 수치를 끌어 울리는가. 수크랄로스는 열량도 없고 당 성분도 없는데 인슐린 수치를 20%나 올린다. 다른 인공감미료도 이처럼 인슐린 수치를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른바 천연 감미료라는 스테비아도 마찬가지다. 혈당에 미치는 효과는 아주 작을지언정 아스파탐과 스테비아 모두 인슐린 수치를 일반 설탕보다도 더 많이 끌어 울린다. 인슐린 수치를 높이는 인공감미료라면 유익하기는커녕 유해한 게 맞다. 인공감미료를 쓰면 열량과 당 성분은 줄일 수 있겠지만 인술린은 떨어트리지 않는다. 인술린이 체중을 늘리고 당뇨병을 부추긴다. - P1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제는 cal가 아니라 TOR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장 모드와 수복 모드가 적절히 오가야 건강한데, 현대인들은 성장 모드만 켠 채로 살아가게 됐다. 이게 성인병의 주요 원인이다.

수렵채집에서 농업사회로 이행한 사건이 인류의 집합적 건강을 해치게 된 세 번째 이유는 식량의 이용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문제가 가장 크고 우리 이야기에서 가장 중요한 지점이다. 농업혁명은 TOR 스위치를 망가트렸다. 식량이 손안에서 주무르는 대상이 되고 수렵채집인 시절에 먹던 일관성 없는 식단이 사라진 뒤로 TOR 스위치는 내내 성장 모드에 가 있다.
그리고 그대로 반고정 상태처럼 되어버렸다.
음식 자체도 TOR가 활성화되도록 부추겼다. 고탄수화물 음식을 먹다 보니 성장 신호가 몸에 흘러넘쳤다. 이렇게 끊임없이 TOR가 활성화되면서 인슐린 저항과 만성 염증을 유발했다. 앞서도 말했다시피 인슐린 저항은 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 암 같은 온갖 질환의 원흉이다. - P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로리가 문제가 아니었다. 지방으로 저장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인슐린의 분비가 문제였다.

체중 증가를 제어하는 핵심은 섭취한 열량 중 얼마를 태우고 얼마를저장하느냐에 있다. 전체 칼로리 숫자가 아닌 우리 몸의 생화학적 신호가 문제를 푸는 열쇠다.
그 신호를 보내는 장본인이 바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다. 인슐린은 열량을 주로 지방으로 저장하라고 세포를 향해 신호를 보낸다.
때 열량이 지방으로 저장되지 않으면 소모되어 사라질 것이다.
그러면 살이 찌지 않는다. 인슐린 신호가 켜져서 지방을 저장하면소모되는 열량은 그만큼 줄어든다.
따라서 인슐린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아무리 많이 먹어도 열량이 지방으로 저장되지 않는다. 살은 찌지 않고. 대신 모든 열량이 태워진다.
비만이 생기려면 인슐린이 있어야 한다.

식단을 구성하는 세가지 다량영양소의 범주가 있다. 이 부분은나 중에 자세하게 다루겠다. 이중 탄수화물은 인슐린을 강하게 자극한다. 단백질은 얼마간 자극한다. 지방은 거의 자극하지 않는다(다음 그래프참조)
탄수화물에서 나온 열량이 단백질 열량보다 인슐린을 많이 나오게 자극하고(그래서 체중이 불고) 단백질에서 나온 열량이 지방 열량보다 인슐린을 더 끌어낸다. 모든 열량이 똑같이 체중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건 아니다. 체중 감소가 단지 칼로리 숫자를 줄이는 문제는 아닌 이유가 그래서다.
체중을 감량(또는 증량)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건 섭취한 칼로리 숫자가 아니다. 인슐린 수치에 영항을 주고 또 우리 몸이 에너지를 지방으로 바꿔서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열량의 유형이다.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