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는 기분이 좋아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 알맹이 그림책 23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서정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하면 망설일 것도 없이 순식간에 튀어 나오는 캐릭터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으뜸인 '삐삐'어렸을적에  텔레비젼에서 봤었던 말괄량이 삐삐를 보며 울고 웃으며 이분을 만났다면 우리 아이들은 책으로 이 분을 만나는것 같다.아이들에게 인기 있는 <내 이름은 삐삐롱스타킹>과 더불어 다른 유명한 책들의 주인공들을 보며 아마도 이 분의 팬이 아이들이 한 둘이 아닐텐데 그 중 우리 아이가 그렇다. 우리 아이를 통해서 내 이름은 삐삐롱스타킹을 읽게 됐으니.ㅋㅋ 역시 전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이유가 분명 있다..

이 책도 그래서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선택을 했었다.. 그냥 한치의 의심도 없이 신뢰가 밑바탕에 깔려 있기에 책이 오기까지 다어른이 아이들과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른다..ㅋㅋ
역시 거장의 책이라 고개를 주억 거리며 보게 했던 책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
이 책은 약간의 지식만 가지고 있음 100% 이해를 하게 된다.. 그것은 스웨덴에선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게 부활절이 큰 명절에버금간다는 사실.. 이 날은 학교도 특별 방학을 할 정도로 이 날을 기린다는 것만 알고 있음 된다.


사뭇 '삐삐'를 연상케 하는 주인공 로타는 학교간 언니 오빠가 오기만 목이 빠져라 기다렸는데 학교에서 온 언니 오빠는 로타와의 약속은 무시하고 친구 생일 파티에 간다고 한다.. 급기야  화가 난 로타는 "오빠는 세상에서 제일 멍청해! 언니도 그래.그거 알지?"라며 생떼를 부리는 것으로 화풀이를 한다.. 로타의 입장에선 십분 이해가 가는게 언니 오빠와 부활절 마녀 을 입고 집집마다 돌아디면서 사탕과 초콜릿을 받는 부활절 마녀를 하기로 했는데 그걸 일방적으로 뒤로 미루니 화가 날만 하다..
언니 오빠가 친구 생일 파티에 가고 나자 로타는 갑자기 슬프고 외롭고 화가 나 온 동네를 돌아다녀 보기로 한다..


엄마에게도 가 보고 부활절 토끼가 달걀을 숨길 장소로 물색해 보고 옆집 베르크 아줌마네도 가보고 바실리스 아저씨네 사탕가게도 가 본다.. 그런데 바실리스 아저씨는 "이 나라 사람들은 사탕을 너무 안 사 먹어." 라며 사탕가게 문을 닫았다고 한다. 이런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그럼 어디서 사탕을 사야 하는지 로타는 갑자기 우울해 진다.. 부활절에 사탕은 필수인데..
항상 씩씩했던 로타가 슬퍼하자 아저씨는 "울지마,넌 언제나 기분 좋은 아이가 아니었니" 라며 자신에겐 이젠 필요 없어진 크리마스 천사랑 산타클로스랑 사탕 돼지랑 눈사람을 듬뿍 선물로 주신다.. 


갑자기 급 행복해진 로타는 무거운 줄도 모르고 낑낑 거리며 사탕들을 가지고 집으로 가는데 아무도 모르게 숨겨둘 장소가 마땅치 않아 고민하다 옆집 아줌마네 창고에 숨겨 놓기로 한다..
사탕가게가 문을 닫아 부활절 토끼가 사탕을 숨겨두지 못하면 실망이 클 언니,오빠에게 깜짝 선물을 할수 있어 로타는 너무나 행복하기만 하다.. 자신을 서운하게 했던 언니 오빠를 이렇게 끔찍히도 생각을 한다..
생일파티에서 돌아온 언니,오빠와 로타는 부활절 마녀 옷으로 갈아입고 온 동네를 돌아다지만 너무 늦게 온 통에 사탕 수확이 신통치 않아 언니 오빠는 실망하지만 로타는 기분이 최고다.. 비장의 카드가 있으니..ㅎㅎ

꼭 '삐삐'처럼 로타는 씩씩하면서도 남을 배려할 줄 알고 자신의 욕심만  채우지 않고 남을 위해서 기분좋게 선심을 쓴다..
나눔이 얼마나 행복한 건지 자신의 손길이 필요한 어려운 이웃들에게 서슴없이 다가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줄 아는 로타 그래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는 로타야 말로 비타민 같은 그런 아이가 아닌가 싶다..
보고만 있어도 웃음이 나오고 기분이 좋아지게 하는 매력이 듬뿍 담겨 있는 로타.. 역시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책이 맞다 싶다.
꼭 멋진 캐릭터들로 하여금 힘을 내게 하니 말이다..

다만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아직 어린 아이들 그림책으로 나온것 같은데 글밥 수가 상대적으로 너무 많다는 점이다..
이 책을 볼 아이들의 연령대를 생각해서 장수를 조금 더 늘리더라도 조절을 했으면 더 좋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리고 활자 자체도 너무 작아서 이 연령대의 아이들이 조금은 읽는데 버거워 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된다..
이 것만 빼면 일러스트도 글도 너무 좋았던 그런 책이다..

 
<본문에서 사진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