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백의 길
메도루마 슌 지음, 조정민 옮김 / 모요사 / 2025년 1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오키나와.. 19세기까지 류큐 왕국이라는 독립된 국가로 존재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 강제 병합되었고, 태평양전쟁 최후의 전면전이라고 할 수 있는 오키나와 전투를 기점으로 1972년까지 미국의 점령하에 있었던 섬입니다. 일본에 반환은 되었지만 영토의 상당 부분이 미군 기지로 활용되고 있기에 여전히 미일 양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요구하는 원주민들의 목소리도 남아 있는 곳이죠. 오키나와 전투 당시 전 국민 옥쇄를 주장했던 일제의 방침에 따라 정말 많은 희생을 낳은 지역이며 여전히 일본 본토로부터 보이지 않는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 합니다.
우리에겐 관광지로서 더욱 유명한 곳입니다.
이 소설의 작가인 메도루마 슌은 일찌기 일본 최대의 문학상 중 하나인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한 작가이기도 하지만 오키나와가 고향인 인물이죠. 그로서는 어려서부터 들어왔던 오키나와 전투의 비극을 후세에 잊혀지지 않도록 글로 남길 마음의 책무가 분명 있었을 것입니다.
책은 현재와 과거를 오가면서 당시 오키나와 전투가, 아니 전쟁 그 자체가 얼마나 치열했고 비극적이었는지를 5편의 이야기 속에 담아냈습니다. 미군과 일본군 양측에게 모두 적으로 인식되다시피 했던 오키나와 주민들의 희생이 주로 등장하지만 그들의 비극을 통해 다시는 이러한 전쟁이 일어나선 안된다는 것을 주장하는 '반전'소설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표 소설 제목인 '혼백의 길'은 채 돌이 안된 아이를 일본 군도로 찔러 죽여야 했던 오키나와 출신 병사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수십 년이 지난 현재에까지 이로 인해 그의 영혼은 고통 받고 있고 전후 태어난 자신의 세 아이들조차 제대로 안아주질 못했다는 내용에서 그가 받은 참극의 트라우마가 독자에게까지 고스란히 느껴집니다.
물 몇 모금 때문에 중국인 마을 전체를 학살했다는 관동군 출신 병사의 고백이나 아직 어린 소년을 피부에 맺히는 수분을 얻기 위해 희생시켰다는 과거 회상 등은 그야말로 지옥도 그 자체입니다.
여전히 전쟁의 상흔은 오키나와 주민들의 가슴 속에 뚜렷하게 남아 있습니다. 한국전쟁을 치렀던 우리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더욱 전쟁에 가까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볼 수 있죠. 취임 전부터 선제타격을 운운하더니 자신의 권력 강화를 위해 국지전을 유발하고 전면전까지도 감수하고자 했다는 지도자에 대한 증언 또한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어 본다면 감히 그런 생각에 동의할 수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드네요.. 1945년의 오키나와가 지금 우리에게 재현되게 할 순 없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