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연 그대로의 자연 - 우리에게는 왜 야생이 필요한가
엔리크 살라 지음, 양병찬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6월
평점 :
자연을 사랑하는 법을 잊은 우리에게, 다시 듣는 생명의 언어
책을 둘러보다 보면 우연히 눈에 확 들어오는 책이 꼭 있다. 별다른 생각 없이 인터넷 서점을 둘러보며 마음에 드는 새 책을 발견하는 재미로 독서 취미를 이어오고 있기도 한데(!) 최근에는 이 책이 내게 그랬다. 강렬한 야생의 표지와 그 안에 담긴 자연계는 몹시 흥미를 끌었고, 실제로 책을 받았을 때 두툼한 질감에 더 마음이 끌렸다. 하지만 무엇보다 『자연 그대로의 자연』은 그 내용이 인상적이다. 단순한 생태학 보고서나 환경 보호 캠페인을 넘어 지구의 모든 생명체를 향한 깊은 사랑의 고백이 담겨있는 덕분이다.
책은 ‘바이오스피어 2’라는 인간이 만든 인공 생태계의 실패로 시작한다. 생존 가능성을 실험하기 위해 조작된 닫힌 공간은 산소 부족과 생태계 붕괴라는 결말을 맺었고, 저자는 이를 통해 실제 자연의 정교함과 불가해성을 강조한다. 이 서두를 통해 우리가 자연을 단순한 주변 풍경 혹은 자원으로 보는 시각을 재고하게 된다. 자연은 보다 복잡하고, 유기적이며,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존재라는 점을 되새기게 된다.
이 사례를 시작으로 책은 생태계란 살아있는 유기체와 그들이 상호작용하는 모든 공간이라 정의하며, 심지어 우리가 사는 도시나 실험실 속 미생물도 각각의 생태계임을 말한다. 그리하여 자연과 인간은 분리되지 않고, 우리는 겸허히 생태계의 일부임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저자는 생태계의 과학을 다루면서 경쟁 배제 원칙, 핵심종, 생태적 천이 등과 같은 과학적 용어들을 둘러보며 개별 생명체가 어떻게 기능을 수행하는지 치밀하게 설명한다. 이 같은 친절한 설명 덕에 생태계의 원리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이 책의 강점은 생태 보존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있다. 자연을 보존하는 일이 단지 ‘좋은 일’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생존과 직결된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점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며 여러 실험과 데이터를 근거로 든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우리가 자연을 돕는 일이 결국 우리 스스로를 돕는 일임을 납득하게 한다.
그렇다면 우리-인간은 생태계에 나쁜 존재일까? 저자는 그렇다고 말하지 않는다. 훼손된 자연을 보여주며 독자에게 죄책감을 얹는 대신, 오히려 생태계의 회복력이 얼마나 위대하고 그 회복에 우리가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재야생화, 보호 구역의 과학적 관리,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 등을 설명하며 지구를 위한 실용적인 로드맵을 소개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책은 과학적 설명에 더해 생명 자체에 대한 깊은 존중과 경외를 담고 있다. 야생이 필요한 이유는 단지 우리의 이익 때문만이 아니라, 존재 그 자체로 존엄하며 인간이 결코 계산할 수 없는 생명의 고유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연을 잃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을 잃는 일과 같다. 이 책을 읽으며 더 많은 이들이 자연과 사랑에 빠질 수 있기를 바라본다.
이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_
“자연은 서두르지 않지만 언제나 일을 해낸다.”
p.47
“나는 지도자들이 자연 보호에 헌신하도록 영감을 주는 비결을 터득했다. 그건 바로 그들로 하여금 자연과 사랑에 빠지게 하는 것이었다.”
p.168
“경외감과 경이로움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연과 사랑에 빠지게 하고, 이전에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방식으로 돌보기 시작하게 만든다.”
p.171
“우리는 지능이 더 높기 때문에 더 많은 책임을 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생물을 지배한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지금은 우리의 지성과 공감을 사용하여, 다른 모든 생물의 존재할 권리를 보호해야 할 때다. 그에 대한 진정한 보상은 금전이 아니라, 이 다양하고 아름다운 세상에서 우리가 누리는 경외감과 경이로움이어야 한다.”
p.202
_
2025.07.01
@lilybooks_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