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끔찍한 살인 현장을 본 사람들은 사형 존치론자가 되고 처연한 사형집행을 목격한 사람들은 사형 폐지론자가 된다고 한다.˝

조갑제 할배가 명민하고 부지런했던 시절에 쓴 논픽션. 꼼꼼 집요하게 취재하고 기록을 검토한 흔적이 행간에 묻어있다. 민중의 몽둥이 경찰, 엘리트 검사 영감님, 근엄한 판사 나으리가 힘없고 돈없는 사람을 고문하고 바보 만들어 목 매달아 죽이는 이야기를 파헤쳤다. 10년 가까이 묵은 사법살인사건이었지만 글로 공소시효를 정지시키고 소추했다.

책은 나같이 부족한 인간을 달래고 겸손하게 만드는 매체다. 감정에 휘둘리는 나를 붙들어 매어 다독인다. 조갑제 할배가 내 면전에 있다면 그가 아무리 옳은 말씀을 찌껄여도 나는 귀를 막을 것이다. 하지만 그가 쓴 ‘괜찮은 책‘을 앞에 두곤 ˝한번 읽어볼까? 아니다 싶으면 덮으면 되지.˝하고 한걸음 물러서 받아 들이기도 한다.

경북대 김두식 교수님이 이 책을 저서와 자신이 진행한 팟캐스트에서 자주 추천했었다. 1986년에 초판을 찍었고 2015년에 재출간되었다. 인터넷서점에서 찾아보니 재출간본도 절판상태였다. 그런데 이 레어템을 올해 집 근처에 생긴 능평도서관 서가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도서관이나 헌책방을 다니는 묘미는 이런 데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씹히라고 있는 게 사장이야. 잘 씹혀주는 게 사원
복지고. 좋은 소리 들으려고 하지 마. 그럴수록
위선자처럼 보여.˝ (<최은지와 박인수>)

- ˝미국식으로 하겠대.˝
˝원고 안 넘기면 두건 씌워서 관타나모로 데려갈
건가?˝ (<옥수수와 나>)

- 사람들은 감당할 수 없는 불행에 짓눌린 인간의
냄새를 용케도 잘 맡았다. (<아이를 찾습니다>)

읽을 맛 나는 김영하 소설.

유시민은 예능 그만 두고 글을 더 많이 쓰면 좋겠고 김영하는 예능 덕 봐서 글이 더 널리 알려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두리가 뽑은 2016년 올해의 책>

다른 해에 비해 많이 읽지 못한 한 해였다. 이직 준비를 하고 새 직장에 적응하는 데 시간을 들였다. 둘째 출산과 두 아이 양육도 독서시간을 줄게 하는 데 한몫했다. 예전보다 웹툰 보는 시간이 늘기도 했다.

그래도 골라본다. 내가 올해 읽은 책 가운데 이것들은 짚고 넘어가고 싶다.


1. 장성택의 길 (라종일, 알마)

2016년 출간작. ˝역사와 전기물 그리고 소설의 중간 어디쯤에 해당하는 작품˝. 지은이는 숙청 당한 북한권력자 장성택을 ˝정치적인 비중과 함께 소신과 비전을 갖추고 경제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인물˝로 보았다. 김정은 체제에서는 그와 같은 인물이 다시 나오기 어려울 것이다.

2. 어느 아나키스트의 고백 (안토니오 알타리바 / 킴, 이미지 프레임)

그래픽노블. 몇 년 전 창비책다방에서도 다룬 작품이다. 스페인 시골뜨기였으며 내전 때는 공화파였고, 프랑코 독재를 신산하게 겪은 뒤 말년에 노인요양원에서 투신자살한 한 남자의 일대기.

3. 오래된 연장통 (전중환, 사이언스북스)

나는 이제 다른 무엇보다 진화심리학을 틀로 삼아 인간과 사회를 읽으련다.

4. 포르노 보는 남자, 로맨스 읽는 여자 (오기 오가스 / 사이 가담, 웅진지식하우스)

오래된 연장통 덕에 찾은 관련서적. ˝인간이 두뇌에 지니고 있는 성적인 소프트웨어를 자세히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인간 성욕의 진정한 본성을 마침내 제대로 밝혀낼 수 있다.˝

* 올해의 책 역대 선정작
2013년
1. 어떻게 살 것인가 (유시민, 아포리아)
2. 금각사 (미시마 유키오, 웅진지식하우스)
3. 유혹하는 글쓰기 (스티븐 킹, 김영사)

2014년
1. 총, 균, 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문학사상사)
2. 대통령의 글쓰기 (강원국, 메디치)
3.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 민음사)

2015년
1. 모멸감 (김찬호, 문학과지성사)
2. Charlotte‘s Web (E.B. White, HarperCollins)
3. 유시민의 글쓰기특강 (유시민, 생각의길)
4. 소수의견 (손아람, 들녘 ) / 디마이너스(손아람, 자음과모음)
5. 언어의 무지개 (고종석, 알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멀리 떠나가도 변하는 게 없을까. 인생이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무나도 당연한데 15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지지리도 안 지켜지는 말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