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 유쾌한 심리학 1 - 너와 나, 우리를 둘러싼 일상 속 심리 이야기 ㅣ 만화 유쾌한 심리학 1
배영헌 지음, 박지영 원작 / 파피에(딱정벌레) / 2008년 4월
평점 :
우리 아이들은 만화책이면 모두 저희들 차지인줄 알고 이 책도 받는 순간 냅다 가져가 읽는
것이 아닌가.. 초등학생들이 말이다. 다 읽고 나서는 비록 초등학생이지만, 그저 우리를 둘러싼
일상 속 심리 이야기이기에 또한 청소년을 위해 일상에서 가장 관심을 가질 만한 심리학
주제들만을 세심하게 골라내었기에 우리 아이들도 어느 부분은 공감을 하고 때로는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우선은 만화 형식의 재미있는 캐릭터로 읽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나보다.
또한 이 책의 저자는 우리 청소년들이 이 책을 읽고 나와 다른 사람들의 마음이 어떻게 다른지
알수 있게 될것이고, 또한 훨씬 열린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하게 될 자신들을 발견하게 될거라고,
사람들과의 관계를 즐겁게 받아 들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지었다고..
깊이 생각하자면 어렵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자면 머리 아파지지만, 또 더더욱 궁금증을
자아내는 심리학.. 우리 마음에 돋보기를 들이대는 학문?
때로는 나의 심리를 내가 모를때가 있다.. 또한 상대방이 무슨 생각을 할까. 어떻게 생각할까.
궁금한적도 많아 관련된 책들을 살펴 보려하면 추천사의 말대로 글자만 너무 빽빽하게 차지하고
있어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는 생각은 있어도 손에 가지 않는 경우들이 있다.
이 책은 어려운 내용도 그림으로 풀어주니 너무나도 쉽고, 재미있게 읽히는 거 같아 좋다.
우선은 심리학이란 정의로 정확히 알고 호감, 애정,인상, 기억, 망각, 스트레스, 그에 대처하는
방법, 감각과 지각등 그에 맞는 이야기로 많은 궁금증들을 해소시켜주고, 요점정리를 통해
좀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알고 넘어갈수 있다.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여러가지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로 인해 병을 앓기도 하구 말이다.
그래서인지 스트레스에 더 눈길이 가진다.. 사물을 흑과 백의 딱 두가지 종류로만 보는 경향성과
일시적인 부정적 사건을 반복되는 실패로 생각하고, 좋은 측면보다는 잘못된 부분에 더 집착을
하게 되는것, 과잉확대및 과잉축소, 확실한 증거도 없이 부정적으로 해석하고,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을 사실로 생각하고, 자신에게는 너무 엄격하게 강요하며, 자신이나 타인에게 부정적인 이름을
달아주고, 모든게 내 탓이라고 생각하는것들이 비합리적인 사고에서 오는 스트레스라는 것이다.
그에 대한 대처방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해서 스트레스 상황을 없애는 직면, 타협, 퇴각등의 문제중심적
대처법과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스트레스상황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바꾸는것
즉 '액땜했다고 치지 뭐'라는 식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는 정서중심적 대처법이 있다고 한다..
둘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본인에게 맞는 대처법이 있을거라 생각되기도 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즐겁고, 궁금증이 해소되는 유쾌한 시간을 보낸듯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