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단장하는 여자와 훔쳐보는 남자 - 서양미술사의 비밀을 누설하다
파스칼 보나푸 지음, 심영아 옮김 / 이봄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성(性)은 욕망이다. 오죽하면 식욕, 수면욕과 더불어 인간의 3대 욕망의 하나로 말할까. 하지만 이런 욕망, 특히 성에 대한 욕망은 쉽게 드러낼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일까? 성에 대한 대부분의 것들은 은밀하고 비밀스럽다. 같은 이유로 이런 은밀함을 훔쳐보는 것에 대한 쾌감은 강할 수밖에 없다. 관음증이란 ‘에로틱한 광경을 몰래 엿보면서 만족을 느끼는 행위’인데 이런 감추어진 것을 훔쳐보고 싶은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맞다. 부끄러워도 어쩔 수 없지만 대부분은 관음증 환자다. 그리고 이런 에로티즘은 여성의 나체―성행위가 아닌―를 훔쳐보는데서 극대화된다.

파스칼 보나푸의 『몸단장하는 여자와 훔쳐보는 남자 : 서양미술사의 비밀을 누설하다』는 제목과 표지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 거울을 보고 몸을 단장하는 여자와 열쇠구멍을 통해 그것을 훔쳐보고 있는 남자, 그림을 보는 행위 역시 관음증과 다를 바 없는 것이라는 책의 서두는 놀라우면서도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이 만든다. 일리가 있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훔쳐보기를 가장 정확하게 되새길 수 있는 방법은 그리는 것이다. 글로 기록된 욕망은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이게 만들지만 그려진 욕망은 상상보다 더 에로틱하다. 사진처럼 적나라한 드러냄도 그 풍성한 색의 욕망을 넘어설 수 없다. 그래서 이 책은 서양미술사의 누드화를 이야기하고 욕망을 이야기한다. 요즈음 같은 성이 넘쳐나는 세상에 누드화 정도로 선정성을 이야기하는 것도 무의미할 수 있겠지만 당시의 누드화는 얼굴과 몸으로 드러나는 욕망을 억지로 잠재우며 감상해야 했을 것이다. 하지만 누드화가 등장하기까지의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다. 종교가 지배하던 서양에서도 나체는 원죄였고 금기였다. 하지만 이후 이교의 조각상들의 무수한 발견과 신학의 새로운 해석―신의 형상대로 빚은 인간의 육신은 아름다운 것이라는―이 등장하면서부터야 여신과 신화에 등장하는 여인들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

파스칼 보나푸의 책은 여성의 몸치장의 과정을 서양사의 누드화로 대입해 보여준다. 마지막 양말 한 짝을 벗고 벌거벗은 채로 물에 몸을 담근 후 몸을 말리고 머리를 빗고 거울을 보며 화장을 하고 옷을 입고 마지막 치장을 한다. 이런 여성의 행위에 대한 그림, 특히 누드화는 욕망의 기록이다. 누드화뿐만이 아니라 그림 자체가 욕망의 기록일 것이다. 이는 서로 상호보완적이다. 미술의 역사, 즉 그림이 욕망이고 욕망을 표현하는 것이 그림이라면 누드화야말로 그 꼭대기에 위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