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넘브라의 24시 서점
로빈 슬로언 지음, 오정아 옮김 / 노블마인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인정할 것은 인정해야 한다. 여전히 종이책은 많지만 그것에 대한 관심은 줄었노라고. 나이가 어릴수록 책보다는 디지털기기에 관심이 많은 것은 어쩌면 당연할 듯싶다. 터치 한 번에 웹사이트, 동영상, 게임, 디지털로 된 책까지 휙휙 바꿔볼 수 있으니 무겁고 빽빽하게 글자가 들어찬 책에 관심이나 있을까. 서점도 마찬가지다. 값싸고 편한 온라인 쇼핑은 동네 서점을 멸종시켰고 대형 서점만 남아 있는 것이 현대의 우리 모습이다. 몇몇의 사람들은 종이책은 죽지 않을 거라고 말하고 나 역시 종이책을 훨씬 더 사랑하지만 시간이 흐른 뒤에는 어떤 모습일까? 특히 유행에 민감하고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흡수하는 우리나라―최신  기술 자체를 흡수한다는 것이 아니라 최신 기술로 생산된 제품을 흡수한다는 것, 그에 반하는 것들은 빨리 사장시켜버리는 것은 우리만큼 빠른 나라가 있을까―에서만큼은 서점이라는 존재 자체가 이미 낯선 것임에 틀림없다. 이미 서점이라는 말 자체가 향수에 가까운 것일 수 있다.

로빈 슬로언의 『페넘브라의 24시 서점』은 어쩌면 이런 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작가 자체도 트위터 회사의 매니저로 일하면서 이 이야기를 구상했다고 하니 오늘날 서점의 이야기로는 딱 맞지 않은가. 실제 이 이야기는 오래된 고서점과 구글러와 컴퓨터라는 디지털로 대표되는 이야기가 맞물려 펼쳐진다. 이렇게 배경만을 놓고 보자면 현실에 너무 가까운 이야기가 아닌가 싶지만 그 내용은 오히려 판타지에 더 가깝다.

평생 <용의 노래 연대기>라는 한 권의 책만을 읽은 클레이 재넌은 디지털 회사에서 실직 후 우연한 기회에 '페넘브라 24시 서점'의 구인광고를 보고 야간 직원으로 일하게 된다. 손님도 오지 않는 이 서점이 왜 24시간 문을 여는지, 정체를 알 수 없는 서점 뒤쪽의 책을 한밤중에 헐레벌떡 달려와 빌려 가는지 궁금해 하던 주인공은 서점의 규칙을 어기고 비밀의 책을 열어보게 되는데, 책은 수상한 암호 같은 글들로 가득 차 있었다. 컴퓨터의 3D 모델링 언어를 이용해 이 암호를 해독해 냈지만 이 일을 계기로 500년 동안 영업을 해 오던 페넘브라 서점을 불은 꺼지고 주인은 행방불명이 되고 만다. 재넌은 친구들과 행방불명된 페넘브라 씨, 그리고 500년에 걸친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이 일에 뛰어든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아날로그적인 활자와 디지털의 이야기가 맞물려 있지만 뒤로 갈수록 판타지 어드벤처 같은 이야기가 펼쳐지며, 그 시작만큼은 흥미가 지속되지는 않는다. 비밀결사처럼 보이는 단체의 암호 해독을 통해 영생을 뒤쫓는 이야기와 그 진정한 의미가 밝혀졌을 때의 그 허탈함이라니, 활자가 가지는 의미를 안다면 이런 뻔한 클리셰였던가 하고 씁쓸한 맛을 느끼게 한다. 그럼에도 이 이야기는 재미있다. 먼지가 훌훌 날리는 고전적 암호로 가득한 고서와 디지털 북스캐너가 등장하는 이야기라니, 우리는 지식에 관한 한 아날로그 최후의 보루인 종이책과 최첨단의 기술 사이를 모두 경험하고 있는 즐거운 세대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활자의 발명만큼은 아니었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