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역사
니콜 크라우스 지음, 한은경 옮김 / 민음사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소설을 읽으면서는 왜 그가 그녀를, 혹은 그녀가 그를 사랑하게 됐는지 납득되지 않아 못내 찜찜했다. 그러나 모든 일이 설명돼야 한다는 강박은 얼마나 끔찍한가? 게다가 그 모든 일에 사랑까지 포함시킨다는 것은 또 얼마나 삭막한가? 니콜 크라우스의 『사랑의 역사』 같은 소설은, 사랑에 이유가 있어야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나이에 남들이 납득할 만한 이유가 없어도 사랑임을 깨닫게 한다.

레오폴드 거스키는 알마 메레민스키를 사랑한다. 니콜 크라우스는 레오가 알마의 어떤 점을 사랑했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고, 오로지 알마를 얼마나 사랑했는지에 대해서만 말한다. 그녀는 그 ‘얼마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하늘만큼 땅만큼’ 두 팔을 한껏 늘여 최대한 크게 동그라미를 그리듯 형용사와 부사로 애써 치장하는 대신, <사랑의 역사>와 <모든 것을 뜻하는 단어들>이라는 두 책을 이야기한다. 이 책들은 일부분 인용되기도 하지만, 안타깝게도 실제로 현실에 존재하지는 않는다. 소설 속에서 레오의 책이지만 그의 이름으로 출간되지 못한 책이니까. 그 두 책에 대한 이야기부터 먼저 꺼내는 이유는 알마를 향한 레오의 사랑에 ‘도대체 왜 그렇게까지?’라고 딴죽을 걸며 판단하려는 이성을 압도하기 때문이고, 무엇보다 이 소설에서 서로 무관한 듯 일어나는 모든 일들의 ‘잃어버린 고리’이기 때문이다.

여기까지 쓰다가 잠시 멈춘다. 그다음에는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까, 막막해졌다. 니콜 크라우스의 책에서 내 머리와 가슴 속으로 스며들며 흩어져 버린, 잃어버린 고리로 단단하게 맞물린 이야기의 조각들을 어떻게 다시 맞춰야 원작의 매혹적인 울림을 조금이나마 더 남길 수 있을까. 80대 노인 레오와 열네 살 소녀 알마를 중심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무난한 선택이겠다. 하지만 그 조각들을 이렇게 정렬하는 것은 소설 고유의 감성과 감동과 울림을 쏙 빼고 줄거리만 단조롭게 나열하는 일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아무리 싱거운 기록일지라도 내가 어떻게 읽었나에 대해서는 남겨질 테니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을 테다.


레오는 고독한 노인이다. 폴란드의 홀로코스트로 부모와 형제를 모두 잃고 사랑하는 여인 알마마저 미국으로 떠나보낸 후 지금까지 홀로 남겨진. 세상천지에 혼자라는 그 고독의 구렁은 짙디짙어 물리적으로는 인간이지만 정신적으로는 유령처럼 자신에게 남겨진 목숨의 시간을 부유한다. 그 시간을 레오가 견뎌온 방법은 자기 아이를 가진 채 다른 남자의 아내가 된 알마, 그리고 다른 남자의 아들로 살아가는 아이작의 곁을 몰래 서성이는 것이다. 레오의 고독이 사무치는 것은 그의 모순적인 존재감 때문이다. 레오는 자기 존재를 간절히 드러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자신을 숨기고, 그가 존재하든 않든 아무 관심 없는 사람들에게는 자신을 드러내려고 기이한 행각도 마다하지 않는다. 레오가 온 마음을 다해 자신이 아직도 살아 있음을, 그리하여 유의미한 존재로 여전히 사랑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은 오로지 알마를 위한 책 <사랑의 역사>와 오로지 아이작을 위한 책 <모든 것을 뜻하는 단어들>이 유일하다.


7년 전 아빠의 죽음 이후 알마의 가족은 여전히 아빠와의 기억에 매달려 있다. 엄마(샬럿 싱어)는 아빠(다비드 싱어)와 사랑했던 기억 단 하나를 붙드느라 다른 생의 가능성을 전부 포기한다. 알마는 아빠의 텐트에서 아빠의 스위스아미 칼을 만지작거리며 아빠처럼 야생에서 살아남는 법에 몰두한다. 자신이 메시아라는 생각에 빠져 있는 남동생 버드는 알마에게 끊임없이 아빠에 대해 이야기해 달라고 조른다. 아빠에 대한 그리움과 상실감에 파묻혀 죽은 아빠를 따라 죽은 듯이 지내는 애도의 나날이 이어지면서 알마는 아빠를 잃고, 엄마도 잃을까 봐, 그래서 동생마저 잘못될까 봐 두렵다. 알마는 자기도 점점 희미해지는 아빠와의 기억을 놓치지 않기 위해 아빠라면 그랬을 법한 추억들을 지어내기까지 하면서 엄마에게 아빠의 자리를 대신할 새 애인을 만들어주려고 애끓는다.


이야기가 길어졌지만, <사랑의 역사>는 이쯤에서 공통점이라곤 상실과 단절뿐인, 결코 마주칠 일이 없을 것 같던 노인 레오와 소녀 알마의 만남을 예비하는 역할을 한다. ‘제이콥 마커스’라는 낯선 남자가 번역가인 엄마에게 오로지 자신만을 위해 스페인어판 <사랑의 역사>를 영역해 달라고 부탁한다. 알마는 이 남자를 엄마의 새 애인으로 점찍는다. <사랑의 역사>는 이 남자에게만큼 알마의 가족에게도 각별하기 때문이다. 아빠는 <사랑의 역사>를 선물하고 엄마와 사랑에 빠졌고, 엄마는 첫딸에게 그 소설 속에서 절대적인 사랑을 받는 여인의 이름을 주었다. 그리고 알마는 이제 자신과 이름이 똑같은 알마의 실존을 확신하고 그녀를 찾아 나선다.


<사랑의 역사>에는 무수한 알마들과, 그 알마들을 사랑하는 무수한 레오들이 등장한다. 각 이야기마다 사랑에 빠진 남자의 감정이 아름다운 상징과 비유, 그리고 고혹적인 환상으로 섬세하게 그려진다. 매혹적인 소설 속 더욱 매혹적인 소설의 단편들은 레오의 히브리어 원작을 스페인어로 옮긴 즈비의 표절 판본과 그 판본을 영어로 옮기는 샬럿의 번역본 중 일부를 인용하는 형태로 감질나게 들여다볼 수 있다. 니콜 크라우스의 『사랑의 역사』를 읽다 보면 사랑의 이유 따위는 망각하게 만드는 레오의 <사랑의 역사>도 읽어보고 싶은 욕심이 솟구친다. 온다 리쿠의 『삼월은 붉은 구렁을』에 따르면, 읽을 수 없는 책에 대한 환상과 탐욕 때문일 것이다. 니콜 크라우스가 온다 리쿠라면 또 다른 <사랑의 역사>도 기대해 볼 수 있겠지만 그것은 아무래도 어렵겠지.


레오 거스키와 알마 싱어 사이에 아주 길게 이어져 있는 ‘줄(<사랑의 역사> 속 ‘줄의 시대’에서 인용)’에는 알마 모리츠와 아이작 모리츠가, 즈비 리트비노프와 로사 리트비노프가, 다비드 싱어와 샬럿 싱어가 그 가닥가닥으로 연결되어 있다. ‘잔인함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인생’이 마련한 ‘영원한 농담’처럼 레오 거스키에게서 시작된 사랑이 ‘불타지 않는 텍스트’로 알마 싱어에게 유의미하게 전해진다. 그 이야기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나는 그저 ‘줄’을 잡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조금 말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