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 세이초 월드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김경남 옮김 / 모비딕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작가에게 단편소설을 쓰는 것은 어쩌면 장편소설만큼이나 고된 작업일 것이라고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긴 호흡을 가져 여유가 생길 수 있는 장편과 달리 단편에서는 한정된 공간 안에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 내야 하기 때문에 주위를 둘러볼 틈이 없다. 특히 추리단편이라면 사건의 시작부터 결말까지 말 그대로 쉴 새 없이 내달려야 한다. 장편만큼 긴 여운을 주지는 못하겠지만 강렬한 인상은 단편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이다. 단편 추리소설이라고 하면 바로 떠오르게 되는 애드거 앨런 포의 <도둑 맞은 편지>, 코넌 도일의 단편들, 도로시 세이어스의 <의혹> 같은 작품들은 그야말로 단편 추리소설의 정수를 보여 주는 작품들이다.

일본 사회파 추리소설의 거장이라 불리는 마쓰모토 세이초의 단편집인 『잠복』은 그의 소설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본격파 추리소설의 트릭 중심의 이야기에 반발해 등장한 사회파의 거장답게 단편에도 트릭이나 미스터리에 대한 관심 보다는 사람과 사회에 얽힌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작가 자신은 집필 당시 추리소설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그 출발점으로 여겨진다고 했는데 각 단편을 읽어 보면 이 이야기에 충분히 공감이 간다. 추리소설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어두운 면과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본 단편집은 추리물이라는 느낌보다 드라마 쪽에 가깝다. 책의 제목과도 같은 단편인 <잠복>의 경우 인간의 숨겨진 본 모습을 형사의 눈을 통해 보여주는 말 그대로의 드라마다. <얼굴> 역시 마찬가지로 추리물의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한 범죄도 그것이 주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물론 사회파라고 해도 추리소설의 모습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마쓰모토 세이초 본인의 『점과 선』도 열차시간표라는 정교한 트릭이 사용되었다.

추리소설은 인간과 사회의 어두운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해 낼 수 있는 이야기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추리소설이라고 하면 어려운 범죄를 한눈에 해결해 내는 것이 전부이며 화장실용 문학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몇몇 경험한 바에 따르면―이 있다면 마쓰모토 세이초의 이 단편집을 권하고 싶다. 트릭과 해결이라는 본격파를 선호한다면 이 단편집은 구미에 맞지 않을 수도 있겠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던 단편은 <일 년 반만 기다려>였고 불만족스러웠던 단편은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여자>였다. <일 년 반만 기다려>는 인간의 숨겨진 본성을 마지막까지 제대로 보여주는 이야기였다. 생명보험 설계사로 일하는 스무라 사토코는 남편을 죽인 죄로 체포되지만 남편의 폭행과 행실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했던 아내에게 세상은 동정을 보내고 여성 평론가인 다카모리 다키코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집행유예를 받고 풀려나온다. 이 결과에 만족하고 있던 다카모리 다키코의 앞에 한 남자가 나타난다.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여자>는 이야기 시작은 흥미로웠지만 전개되는 과정이 너무 억지스러운 느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