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총사 1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묘하게도 알렉상드르 뒤마 (Alexandre Dumas)의 소설은 나이를 먹은 후에는 어쩐지 기피하게 되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삼총사>나 암굴왕으로 알려진 <몽테 크리스토 백작> 같은 경우만 봐도 어린이용 축약본이나 애니메이션을 통해 접해 버린 후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라고 은연중 생각해 버려 어른이 되어 관심을 끊는다. 결국 다르타냥(달타냥)이 삼총사중의 하나가 아닌 데다가 지극히 현실적인 인물이며 <삼총사>가 그저 단순하게 정의롭기만 한 모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서야 자신이 어린이용 <삼총사>를 읽고 봤음을 깨닫게 된다. 이렇게 다시 <삼총사>에 대한 관심이 살아났다면 망설일 필요가 없다. 올 가을은 그야말로 <삼총사> 풍년이다. 국내에서 대형 뮤지컬로 공연이 되는가 하면 해외에서는 3D영화로 만들어지고 민음사에서는 영화 커버를 씌워 책을 재출간했다. 그리고 시공사에서 김석희의 번역으로 <삼총사>를 출간했다. 민음사판과 시공사판의 번역의 취향 문제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이번의 시공사판에는 모리스 르루아르의 삽화가 곁들여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런 삽화가 들어간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또한 외국 소설의 경우 역사적 사실이나 낯선 지명 때문에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 뒷부분의 자세한 각주는 큰 도움이 되었다. 물론 클래시컬한 표지도 마음에 드는 부분이었지만 말이다.

다르타냥은 삼총사를 접하면서 가장 익숙한 이름이고 어린 시절의 기억으로는 거의 주인공급 인물이었을 것이다. 당연히 삼총사 중 한사람이었을 거라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다르타냥이 삼총사(아토스, 아라미스, 포르토스)가 아니었음을 알고 얼마나 놀랐던지, 왜 사총사가 아닌거지? 흔히들 같이 붙어 다니는 친한 세 명의 친구들을 삼총사라고 하지만 삼총사 자체가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이 아니라 소설의 원제이기도 한 <세명의 총사>를 일본에서 <삼총사>로 번역한 것이 그대로 굳어진 것이다. '총사'는 총신이 긴 머스킷 총(조총)을 사용하는 근위대(士)를 의미한다. 다시 삼총사의 이야기로 돌아가면 후에 다르타냥 역시 총사가 되긴 하지만 다르타냥에게 삼총사는 항상 동경과 존경의 대상이었고 항상 그들 속에 있고 싶어했지만 사총사가 될 수는 없었다. 결국 삼총사는 다르타냥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다르타냥이 보는 삼총사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삼총사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다르타냥은 물론 삼총사들도 정의롭고 위엄 가득한 모습보다는 자유롭고 불량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추기경 리슐리외와의 대결구도 역시 복잡한 권력투쟁의 모습이 얽혀 있어 흥미진진하다. 어린 시절 삼총사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독자라면 그 환상이 깨질 수는 있겠지만 또 다른 어른의 삼총사를 읽는 느낌이 들 것이다. 그 재미 또한 각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