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단련법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박성관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고양이 빌딩’이라는 다치바나 다카시의 엄청난 서고를 보며 부러워했지만 그가 독서에 관한 책에서 밝힌 픽션 무용론을 보면서 정신이 아찔해졌다. 실용적인 독서, 정보의 습득과 축적을 위한 독서를 강조하고 자신의 흥미에 맞는 책만 읽기에도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어 픽션을 거부한다. 이른바 지적 생산형 독서로 책에서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습득해야 하고 재생산을 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독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상상력과 즐거움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치바나의 이런 생각에 동의할 수도 없고 공감하지도 못한다. 내가 고양이 빌딩을 세운다면 4층 중 3층은 픽션으로 채울 것이다. 

이런 다치바나가 『지식의 단련법』을 통해 정보를 수집, 분류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들려 준다. 1984년에 처음 나온 책이니 지금 본다면 그 방법론이 많이 달라지긴 했지만 이 책이 담고 있는 핵심- 저널리스트로서 다치바나의 지적 생산의 기술-은 여전히 효과적이다. 아니 그의 방법론은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시대인 요즈음에 더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자료를 오리고 스크랩하는 과정은 가위에서 마우스로 변한 차이 밖에 없기 때문이다. 도서관의 색인과 차례는 네트워크의 하이퍼텍스트와 검색엔진으로 대체되었으며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또한 과거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중요한 것은 정보를 모으는 도구가 아니라 정보의 가치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이른바 정보의 바다, 정보의 쓰레기라고 불리는 네트워크의 정보과잉 속에서 옥석을 가려낼 수 있는 지혜를 과거의 방법론을 통해 현대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요즈음도 국어책에 실려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하윤의 <메모광>이라는 수필이 있다. 자신에게 떠오른 시문이나 여러가지 생각들을 광적으로 메모하는 자신에 대한 이야기인데 이는 다치바나의 실용적 정보와는 거리가 멀겠지만 정보를 수집하고 입력하는 과정과 별다르지 않다. 개인도 마찬가지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굳이 출간을 염두에 두지 않더라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여건은 네트워크에 널려 있다. 블로그나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도 정보를 출력하는 것인데 그 과정이 너무 손쉬워진 탓에 정보의 입력과정을 생략해 네트워크의 쓰레기들이 양산되는 것도 사실이다. 다치바나의 정보입력의 방법론에는 전부를 동의할 수는 없지만 끊임없는 입력에 의해 축적되고 형성된 풍요롭고도 개성적인 지적 세계야말로 좋은 출력의 토양이라는 그의 말에 공감한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그 가치를 파악하고 왜곡된 정보를 가려 내는 것과 같은 자신만의 방법론을 찾기 위해서는 역시 그의 말처럼 좋은 문장을 많이 읽고 우직하게 발품을 팔아 조사하는 것, 잡념을 떨쳐 내고 정신을 집중해 눈 앞의 문장을 바라보는 것이 최선이다. 굳이 정보를 재생산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더라도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