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저갱
반시연 지음 / 인디페이퍼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제대로 된 형벌이 없는 사회에서,
우리는 과연 우리를 지킬 수 있는가?
"나는 괴물이 아니야. 가끔 괴물로 변할 뿐이지."
출소까지 21일.노남용,
희대의 살인마가 사회로 풀려난다!
◇◆◇
추리, 미스터리, 사건사고,,, 이런 소재의 책들을 좋아한다. 기본적으로 이런 장르의 책을 좋아하는 이유가 범죄자들의 최후를 보는 재미라고 할까. 하지만 대부분의 소설들은 다른 나라의 생활에 밀접해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은 우리나라의 실정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인공인 너무나 한국 독자들에 맞춰진 이야기라 반가웠다. 오히려 주인공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이라 더욱더 이입과 몰입이 높다.
희대의 살인마. 노남용은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알 수 있는 잔혹범죄의 주인공들의 범죄를 모두 저지른 인간이다. 거기에 금수저 집안의 아들이기에 어려운 처지의 범죄자보다 감형이 된. 누가 봐도 죽이고 싶은데 법대로 처벌을 못해 가슴을 치게 만드는 인간. 그런 인간이 출소를 한다.
현실에서는 정말 고구마 한가득 먹은 기분인데... 소설 속은 조금 다르다.
이제 출소를 앞둔다는 그 실존 범죄자들에게 이런 소설 속 주인공이 찾아간다면 어떠한 기분일까...
읽는 내내 잔인하고 험악한 분위기를 띄기는 하지만 마지막에서는 범죄자의 처벌에 강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된다. 거기까지 도달하기 과정의 이야기도 어찌나 맛깔나는지...
마지막 몇 장을 남겨두고도 이 책은 손을 놓을 수가 없다.
그래서 노남용을 어떻게 잡겠다는 것인가??
주인공은 모두 '나'이다.
노남용을 교도소로 돌려놓으려 치밀하게 계획한 사내.
어느 특별한 회사에 입사하기 위해 노남용을 죽여야만 하는 사내.
약물과 가스로 491명을 안락사 시킨 선생님이라 불리는 사내.
그리고 주인공은 사냥꾼이기도 파수꾼이기도 싸움꾼이 되기도 한다.
그런 각자의 주인공은 피해자를 위한 보복을 준비하기도 하고 대신해주기도 한다.
다른 점은 파수꾼은 자살을 원하는 사람의 안락사를 해준다는 것. 하지만 책임져야 할 상황이 남은 자에게는 안락사를 허용하지 않은 다는 것. 어찌 보면 약자의 입장에 서서 복수를 해주는 그들이지만..
각자의 사정을 들여다보면 그들은 또한 가해자이다.
"네가 지은 죄를 말해."
계속되는 폭력, 죽지 않을 정도에서 일어나는 치료, 그리고 고해성사.
이유도 없는 이 행위에 자신이 지은 죄를 이야기하는 사람들.. 처음엔 이유가 없다고 여긴다.
난 죄가 없다. 왜 맞아야 하는지 알 수가 없고 무섭고 두려워진다. 하지만 계속되는 고해 종용에 서서히 자신이 저지를 일들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점점 불어나는 자신들이 저지를 범죄들.
처벌을 받아도 가볍게 끝이 나거나 처벌도 받지 않고 넘어가버린 사람이 그 많은 이유 중 하나로 인해 폭행과 고문을 당하게 된다.
그런 일만 하는 자가 사상 최악의 범죄자를 타깃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고문을 해도 좋아하는 미친놈인 노남용. 괴롭히고 싶어도 괴롭힐 수 없는 존재. 다행히 어렵사리 알아낸 그의 약점은 자유가 사라지는 것. 그 자유를 위해 노남용은 자신의 세계에 누군가가 들어오지 않기를 바라지만 누군가 자신의 세계에 들어온 순간 그는 이성을 놓는다. 지극히 범죄자의 전형적인 자기 변론.
자신이 아닌 타인이 자신에게 돌을 던진 거라는 논리...
읽는 내내 마음이 답답하다. 세상과 현실인 노남용같은 사람들이 가득한데 왜 현실엔 그들을 풀어주는 것인가. 정말 피해자를 위한 법이 아닌 가해자의 인권이 우선인 법들... 그리고 어디로든 돈이면 다 무마가 되는 세상.
작가는 현재 살아가는 우리 시대의 이런 점을 제대로 비꼬는 내용으로 후벼파듯이 이야기를 써 내려갔다.
집안 좋고 돈 많으면 죄도 지가 아닌 게 이 나라 법입니다. -p96
강간범들은 하나같이 하는 소리가 역겨워요. 다른 놈들도 어디서 대본이라도 외운 것처럼 머저리 같은 말을 하던데, 제가 제일 듣기 싫은 말이 '실수로 그랬다'는 거예요. 실수 같은 소리 하네. 길 가다가 모르고 사람 어깨 부딪치는 게 실수예요. 지하철에서 발 밟는 게 실수고요. 강간은 절대 실수로 하는 것이 아니에요. 철저히 의도적인 거야. 한 시간씩 이어지는 실수 같은 건 세상에 없거든요. -p171
사이다. 이런 사이다.~!
왜 이런 생각을 윗분들은 모르는 건지... (크음)
마지막까지 이런 대사들을 보고 있노라면 노남용의 최후와 주인공들의 마지막을 기대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런데 이 책은 마지막에 가서야 또 다른 이야기 속 이야기의 반전을 느끼게 해주는 또 다른 재미까지 선사해준다.
반전. 반전~
이야기는 대부분 반전의 기대 없이 읽어야 재미나게 본 독자이기에 전혀 스포 없이 책을 읽었지만 이 책에서는 반전이라는 이 기대 하나만 가지고 읽어도 마지막까지 재미나게 볼 수가 있다 여긴다. 뻔하지만 뻔하지 않은 반전. 덮고 나서 다시 앞장부터 읽어가면서 작가가 남겨 놓은 실마리들을 보고 있노라니 재탕을 하면서도 즐거웠다고...
여름날 무서운 이야기와 긴장감 있는 이야기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강추를 드립니다.
- 욕. 사투리. 잔혹한 고문 등이 있기에 이점은 유의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