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친절한 문학 교과서 작품 읽기 : 고대 가요.향가.고려 가요 편 이토록 친절한 문학 교과서 작품 읽기
하태준 지음 / 다산에듀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으로 마스터하는 고전 문학!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 운문 총집합!
시험에 나오는 필수 고전, 한 권으로 끝내자!


 오랜만에 반가운 책을 읽은 것 같다.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만 만나던 그 운문들. 그리고 그 사연.
다행히도 국어 선생님이 이런 사연 있는 이야기를 좋아하시는 분이어서 그런지 각종 시와 노래 구절들의 이야기들을 이야기 형식으로 많이 들려주셨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에서 나온 그 사연들이 어찌 그리 반가운지...

 이 책은 전권 세트로 나왔지만 제가 읽은 책은 
고대가요, 향가, 고려가요 편이 수록이 되어 있다.

 

처음 시작은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죽음과 이별이라는 장면으로 시작이 된 작품.
자주 들어보고 나름 쉬운 소재의 작품이기도 하고 이 작품 제목을 읽는 순간 학창시절로 돌아간 기분이랄까요. 이 책에서는 작품 소개와 작품에 숨겨진 이야기. 그리고 시대별 특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야기 형식의 문학 작품이라 이해하기도 쉽고 감성적인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고대 사람들의 삶이 지금의 우리와 별반 다를 게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어디서나 빠지지 않은 그리움과 사랑, 가족에 대한 이야기들이 소재이기 때문에.. 거기에 또 다음 작품으로 황조가가 나오다 보니..
 이것은 고구려 유리왕의 치정 싸움이 자 삼각관계 후회남의 이야기! 나름의 사연을 더 넣으면 그렇게 재미난 사연이랄까요. 거기에 시 역시 유리왕의 절절함이 담겨 있어 아직까지도 기억에 남는 작품입니다.

 

 

 

 

이렇게 삽화까지 있으니.... 좀 더 느낌이 확 와닿은다고 할까요. 비록 그림 속 주인공들은 쉽게 접할 수 있는 그림체는 아니지만 작품 속에 있는 주인공들의 심정을 이해하기에 충분한 그림이 아닐까 하네요.

 작품들이 가요. 시. 향가이기 때문에 짧기도 하고 그 속에 담긴 내용들은 또 친숙한 우리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계속 읽다 보면 어느새 끝이 날 정도로 몰입감도 좋더라고요. 우리 교과서는 왜 이런 책이 아닌 것인지.. 생각을 하게 되지만...
 요즘 책들을 보면 과거 그 교과서와는 조금 더 컬러플하고 쉽기도 하고 재미있게 나와 있기도 하더라고요. 아직 중고등 교과서를 보지 않아서 하는 말일 수도 있지만 이런 식으로 작품들을 한 번 더 접한다면 딱딱한 문학작품이 아닌 쉽고 재미난 문학작품이라 여겨 지지 않을까 합니다. 

 그 시절엔 휘리릭 지나가길 바랐던 작품들을 다시 보게 되기 새로운 기분도 들고 알고 있지 못했던 작품들의 사연들을 접하다 보니 시야가 확 트인 느낌이 듭니다. 그때는 그 속에 담긴 내용들을 암기식으로 접한 기억이 나는데 이제는 이런 사연과 함께 풀어내 한편의 단편 이야기처럼 풀어서 그림과 함께 보다 보니 눈에 쏙 들어옵니다.

 거기에 다시 만난 고대 문학 속에 숨겨진 언어들.
 대부분 지금은 쓰지 않는 표현들이지만 그때 당시 아이들끼리는 나름? 재미난 언어로 같이 사용했던 기억이 난다. 아흐 동동다리라든지.. 얄리얄리 얄라셩 이라든지.. 요즘의 언어파괴 적인 모르는 단어들 보다는 오히려 이런 쪽이 친숙한 단어라 여겨지네요.
 
 안 쓰던 단어들을 만나 기쁘고 과거의 기억을 들춘 거 같아 기쁜 책.
 아이들에게는 진행 중인 이야기이겠지만 그 시대를 넘어온 세대들이 보기엔 책 제목처럼 이리 쉽고 친절한 책이 어디 있는 싶을 정도의 반가운 책이 아닐까 합니다.

 

 

다시 읽다보니 너무나 그림과 작품이 와 닿아서 ....  

불교에 대한 신앙심이 나타나는 작품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누이를 향한 애정이 담겨진 글이여서 그런지 그림과 작품이 너무나 기억이 남네요. 거기에 작품 초반에 월명사의 개인사로 이야기를 풀기 시작하다보니 이해하는데 편하고 이입도 편해서 그런지 확실히 감성 풍부한 아이들에겐 문학을 쉽게 느낄 수 있게 해줄 거 같아 중고등학생들 추천 도서가 되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