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를 부르는 ESG - ESG 경영의 시작 <SURE> 프로세스 완전정복
문성후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9월
평점 :
품절
'ESG'란 무엇일까? 전문분야가 아닌 이상 생소하게 들린다. ESG란 단어를 풀어보면,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인데, 바로 기업이 환경을 지키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자사의 지배구조를 건전한 형태로 유지하여야 한다는 일종의 선언이다. 부를 부른다기에 경제 관련 도서로 착각하기 쉽지만, 뜻만 안다면 <부를 부르는 ESG>는 기업의 경영을 위한 책이란 걸 알 수 있다.

이 사회는 이미 ESG 전성시대라고 한다. 대기업은 물론 공공기업과 지자체, 금융권, 중소기업 등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착한 경영, ESG 경영은 곧 착한 경영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정의롭고 알맞은 기업이어야 투자자는 투자를 하고 소비자들은 선한 영향력에 감동해 돈을 쓰기 때문이다. ESG에 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거 같았다. 그렇기에 <부를 부르는 ESG> 확실한 정보를 주며 제대로 된 가이드를 해줄 것이다.
저자는 미국 변호사에서 경영학 박사로 그리고 국내 유수의 대기업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30년 가까이 ESG 경영을 실행했다고 한다. 그렇기에 총 5장의 챕터 속엔 저자만의 경험과 노하우가 가득 담겨있었다. 가장 눈에 들어왔던 건, SURE 프로세스였다. 이 프로세스에 따라 ESG 로드맵을 그린다면 어느 기업이든 ESG 경영을 알맞게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투자 유치가 늘며 MZ세대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기업은 ESG 경영을 더 활발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착한 경영에 더 빛을 발하는 기업들이 많이 늘어나길 바란다.
'플랜비디자인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적은 리뷰입니다.'
주체에서 객체로, 동시에 다시 주체로 이해관계자들은 모습을 달리하며 기업들에 ESG를 요구하고 있으니 기업들은 그들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이해관계자에 대한 이해가 ESG 경영의 출발점입니다. - P30
기업은 MZ세대를 직원이자 고객이자 투자자로 대면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직장 내에서, 직장 밖에서 각각 피고용인 혹은 투자자와 소비자의 역할을 가지고 있죠. - P163
비즈니스의 위험도를 낮추고 강점을 찾아 차별화해가는 긴 여정이 기업 경영이고, 그 과정 중 하나가 ESG입니다. 그 길을 영리하게 따라가다 보면 기업은 지속가능을 넘어 영속 가능해지게 될 것입니다. - P2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