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도서관 - 세계 오지에 3천 개의 도서관, 백만 권의 희망을 전한 한 사나이 이야기
존 우드 지음, 이명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몇년 동안의 휴가를 묶어 복잡한 일상을 벗아니고파 네팔로 히말라야 트래킹을 떠난 존 우드는 우연히 '바훈단다'라는 마을의 학교에 들르게 되고 그 학교의 도서관에 책이 한 권도 없음에 충격을 받는다. 아니, 낡은 캐비넷 안에 귀하게 간직되고 있는 몇 권의 책은 여행자들이 버리고 간 가이드북 아니면 어린이들에게 적합하지 않은 성인용 책들...앞선 여행자들에게 그랬듯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돌아가거든 책을 좀 보내달라...'는 선생님의 부탁이 마음속에서 지워지지 않았던 그는.....책보내주기에 그치지 않고 결국 다니던 좋은 직장도 때려치우고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 학교와 도서관을 지어주는 일에 나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물론 존 우드, 개인의 행보에 무척 감동??을 받았지만 그보다

사회적 강자, 고위층, 성공한 사람들, 소위 영향력 있는 자들의 역할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새삼, 다시금.... 몹시 뼈저리게...느꼈다. 같은 줄에 서 서 세계 오지에 3천 개의 도서관, 백만권의 책을 전하기....를 요이 땅~!!! 한다면...그래, 확실히 존 우드보다 내가 몇 수십 곱절 많은 세월이 필요한 건 확실하지 않은가........ 가능이나 할까?? ㅡ..ㅡ

파장 효과까지 생각하면 더구나....!

그래서 우리는 강자들에게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요구할 수 있으며, 해야 하고... 그들은 마땅히 실천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물론 나같은 소소한 인생이라고 해서 남을 도울 수 없는 것이 아니고(아....당연히 해야한다 --:;;;), 내 가치에 따라 행복한 만큼 나름대로의 역할에 열심이어야하는 것도 당연하고 말이다.

 또 하나.

존 우드가 3천개의 도서관, 백만권의 책 전달을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그가 매우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사람이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어떤 일이든 그 일이 잘되게 하기까지는 확실히 감성만으로는 어렵다. 

이 책에 대한 언급 중에 가장 내 맘에 드는 것은 "진정한 꿈을 위해 전부를 걸었던 한 남자의 자서전이자 자선과 비즈니스의 환상적인 결합을 보여주는 경영서"라는 한겨례의 평이다. 딱이다!! ㅎㅎㅎ 사실 이 책의 반...은 그가 어떻게 돈을 모았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하다. 좋은 일에도 돈은 마음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현실이고 그것이 어쩐지 말하기 껄끄러운 것이 아님을 그는 강조한다. 이 책 또한 그 돈모으기...의 일환이기도 하고 말이다. 하지만 나는 그것이 결코 밉지 않다. 할 수 있는 사람이 더 잘 할 수 있게 응원 해 주고 싶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