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노예 12년 - 체험판
솔로몬 노섭 지음, 오숙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나는 북부의 자유로운 공기를 숨 쉬며 살아왔던 터라, 내 가슴에도 백인들의 가슴에 있는 것과 똑같은 감정과 정서가 있다는 걸 의식하고 있었다. 나아가 나보다 하얀 피부를 가진 사람들, 적어도 그중 일부와는 지능도 다를 게 없다는 걸 똑똑히 의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람이 비참하게 노예로 살아간다는 걸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는지 이해하기에는 너무 무지했다. 아니 어쩌면 너무 독립적이었는지도 모른다. 나는 노예제의 원칙을 지지하거나 인정하는 법률 혹은 그런 종교의 정당성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리고 지금도 자랑스레 말할 수 있지만, 나를 찾아온 어느 누구에게도 기회를 엿보라고, 자유를 위해 싸우라고 조언하지 않은 때가 없었다.     -p.33
 
 
영화가 개봉해서 이런 책도 있었구나 하고 알게됐었던 책이다. 영화를 먼저 보면 책을 읽을때 흥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책을 먼저 읽기 위해 그간 영화도 안보고 책 볼 기회를 노리고 있었는데, 이런 나의 마음을 아는지 열독단 2번째 책으로 딱~보내주셨다.
 
읽기 전 이런 책을...(휴머니즘, 감동 실화 이런 책들) 읽는 것이 사실은 겁이 났다. 어릴 적 이후 음..그러니까 결혼 한 이후에는 나의 감성이 메말랐는지 그런 책을 읽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책을 펴고 순식간에 책에 푹 빠져들었고 게다가 눈물까지 찔끔거리며 책을 읽고 있었다.
나의 감성은 메마르지 않았구나...
 
노섭의 아버지는 노예였지만 좋은 주인을 만난 덕에 자유인이 되었고, 자유인 상태로 노섭이 태어나게 되었다.
노섭이 12년간 노예생활을 했지만 그 노예생활에서 벗어나 다시 자유인이 된 것에는 태생부터 노예로 태어난 사람과 달리 아마도 자유인 신분으로 태어났기 때문이지 않을까.
태생부터 노예인 사람은 자유가 무엇인지조차도 모를테니까.....
하지만 우연히 만난 두 백인이 돈을 벌게 해주겠다고 하자 아내에게 말도 안하고 집을 떠난 것이 화근이었다. 노섭은 너무 순진했던 것이다. 그게 납치라고 생각지도 못했을 것이다. (미국에서 살다 온 오빠의 말로는 흑인들은 정말 순진하고 착하지만 백인들은 앞에서는 갖은 친절을 베풀면서 뒤로는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를 인종이라 했다...)
그렇게 자발적으로 집을 나서 노예 수용소로 끌려와 머나먼 남부에 노예로 팔려갔다.
 
아아! 그때까지 난 <인간에 대한 인간의 잔인함>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인간이 탐욕을 좇아 어느 정도까지 사악해질 수 있는지 알지 못했다.    -p.53
 
그랬다. 노섭은 노예였던 적이 없었기 때문에 노예생활이 어떤 것이지 몰랐다. 하지만 똑똑한 노섭은 자신의 신분을 숨겨야 살아서 집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결국엔 탈출에 성공한다. 그것도 정당한 방법으로......죽음의 고비도 몇차례 있었지만 그래도 착한 백인들도 있었기 때문에 살아돌아올 수 있었다.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까지 12년 동안 얼마나 끔찍했을까...... 나라면 모든 걸 포기해 버렸을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는 동안 [톰 아저씨의 오두막]도 생각나고 르 클레지오의 [황금 물고기]도 생각났다. 이 책은 자서전이란 점에서 좀 더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책을 다 읽고 영화를 봤는데...역시 영화란 책의 모든 걸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긴 하다.
하지만 책의 내용을 대부분 사실적으로 담았고 배우들의 연기도 참 좋았다
주인공 [치웨텔 에지오프]  이름 참 어렵다...노섭 역할에 딱 어울린다.


이 영화를 보고 싶어하게 한 바로 그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 
악역이면 어쩌나 했는데...다행히 친절한 포드씨다


악역에 빛나는 배우 [마이클 패스벤더]  엡스역할을 했다...저 눈빛봐...다 집어삼킬 기세다

 

 

 

이제 나이들어 늙어보이는 [브래드 피트]  주인공의 탈출에 가장 큰 역할을 한 배스역할...나름 잘 어울리는데...



책의 감동이 영화로 모두 전해지진 못했지만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와 내가 상상했던 미국 남부의 목화밭이라던가 사탕수수밭이라던가 광활한 대지를 보면서 많은 걸 생각하게 했다.
 
인간이 인간을 구속할 수 없음에도 지금도 어디선가 자유를 속박당한 채 살아가고 있을 사람들, 그리고 힘없는 아이들을 생각하니 한숨이 절로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의 선물로 어릴적 처음 만났던 작가 은희경의 새 책이다... 궁금하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다른 모든 눈송이와 아주 비슷하게 생긴 단 하나의 눈송이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2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내일 수령" 가능
2014년 03월 03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팽 선생
로베르토 볼라뇨 지음, 남진희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김이 서린 택시 차창 너머로 병원 현관을 바라보았다. 그곳에는 광기를 포함한 모든 것들 위에 고독이 조용히 똬리를 틀고 있었다. 가장 섬세한, 최소한 가장 번득이는 광기로서의 고독이었다.  -p.25

 

 

칠레 출신의 라틴 아메리카 최고의 작가라 불리는 '로베르토 볼라뇨'의 소설이다. 평소 남미 작가들의 책은 많이 읽지를 않아서 볼라뇨의 소설도 처음 읽어봤다. 전에 노벨상 수상자인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책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문화나 역사적인 차이가 있어서인지 생소한 느낌이었다. '팽선생' 역시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작품이었다. 오랜 시간 천천히 읽었다.

 

주인공 '팽선생'은 최면치료를 하는데 몇달 전 자신이 돌봐주었던 레노부인과 연이 닿아 레노부인의 소개로 바예호 씨의 멈추지 않는 딸꾹질 치료를 하기로 한다. 그 약속을 한 뒤부터 아직 환자도 만나지 않았는데 기묘한 일들이 벌어진다. 누군가가 자신의 치료를 방해하고 바예호 씨를 만나지 못하도록 수를 쓴다.

스페인 말을 쓰는 두 사내가 나타나 치료를 하지 않는 대가로 뇌물을 주고 가버린다. 다시 그들을 만나고 싶지만 만날 수가 없고 이상한 일들은 계속된다. 

저 책표지처럼 아무리 환자에게 다가가려 해도  갈 수가 없다.

 

 

[나는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어요. 그러나 당신들이 원하는 것 자체가 아무도 이해할 수 없는 거라고 생각하니 좀 느긋해지는군요. 나에게 돈을 선물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요.]

[사실 나는 잃을 것이 아무것도 없어요.] 나는 변명했다. [당신들은 상상도 못 하겠지만.]

[걱정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돈이 많습니다. 큰 문제는 아니지요.] 갈색 사내가 웃으며 이야기했다.

[뿐만 아니라 상상력을 과소평가하지 마십시오.]

[상상은 글자 그대로 모든 것을 상상해 내는 법입니다.]

[모든 것을요.] 깡마른 사내가 말했다. -p 69

 

 

아..어디부터가 현실이고 어디부터가 상상인지 알 수 없다.

상상은 글자 그대로 모든 것을 상상해 내는 것이라니 주인공의 모든 일은 현실이 아닌지도 모른다

사실 처음부터가 이상하다. 딸꾹질을 멈추지 않는 환자와 환자를 방치하는 저 고독한 병원이라니...

 

작가는 이런 상상을 통해 부조리한 현실을 말해주고 있다.

마치 자기도 모르게 소송을 당해 자기도 모르게 형이 집행되는 카프카의 '소송'속의 요제프k 같다.

팽선생은 자신도 모르게 어떤 사건에 연루되어 있었고 자신도 모르게 그 사건은 끝이 나 있었다.

 

 

잠이 오는 것이 느껴졌다. 꿈속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몇몇 얼굴들이 희미하게 보였다(아마 이 얼굴들이 주는 <무게감>을 이미 지적했던 것 같다). 잠에서 깨자 어떤 소리가 들렸다. 겨우 물 한 방울이 떨어지는 소리였지만, 그러나 그 소리는 내 의식의 한가운데에 떨어졌다. 나는 눈을 떴다. 두렵지는 않았다. 나는 차분하게 기다렸다. -p.107

 

 

물방울이 똑똑 떨어지는 소리를 들으며 어쩌면 팽선생은 최면에 걸렸거나 아니면 최면에서 깨어났거나 했을 수도 있다.

책을 읽으면서 나의 의식의 한가운데에 누군가 물방울을 '똑' 하고 떨어뜨리는 것 같았다.

 

실존 인물인 페루의 시인 '세사르 바예호'를 등장시켜 현실 세계의 부조리함과, 죽음, 그리고 죽음처럼 무의미한 삶을 우리에게 말해주고자 한 듯 하다. 

 

 

<건망증은 낮 동안엔 사막과 같아. 하지만 저녁이 되면 마치 밀림 같아지지. 야생 동물들이 우글거리는 밀림 말이야. 넌 아직도 우리가 행복을 찾을 수 있으리라고 믿어?>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어보고 싶다....중고로 살까...아...고민 넘 비싸다~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Westminster Legacy Vol.2 - Orchestral Recordings Collection [65CD]
크나퍼츠부쉬 (Hans Knappertsbusch) 외 지휘 / Westminster / 2012년 12월
246,400원 → 207,900원(16%할인) / 마일리지 2,070원(1% 적립)
2014년 02월 18일에 저장
절판
Westminster Legacy - Chamber Music Collection [59CD] [세계 최초 한국 1000조 한정반]
바렌보임 (Daniel Barenboim) 외 / Westminster / 2012년 9월
214,700원 → 181,200원(16%할인) / 마일리지 1,810원(1% 적립)
2014년 02월 18일에 저장
절판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 일기
폴 오스터 지음, 송은주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침대에서 나와 차가운 마룻바닥에 맨발을 내딛고 창문쪽으로 걸어간다. 당신은 여섯 살이다. 바깥에는 눈이 내리고 뒷마당의 나뭇가지들은 하얗게 변해 간다. -p.7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작가는 나를 현재의 내가 아닌 6살의 나로 안내했다. 그러고는 천천히 나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고는 현재의 나로 다시 되돌려 놨다. 마치 최면술사가 최면을 걸어 시간여행을 하게 하는 듯했다.
 
나의 여섯살은 어땠을까...
추운 겨울의 아침 6살, 어쩌면 5살이나 7살이었을지도 모를 그 어린 시절 나의 겨울은, 눈이 많이 오던 군산의 어느 동네에 작은 마당을 가진 2층집에서 창밖을 내다 보니 어린 나의 눈으로 보기엔 꽤나 넓은 마당의 한쪽 구석엔 어린아이 한명쯤은 거뜬히 올라갔다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는 눈미끄럼틀이 만들어져있었다.
 
 
 

당신의 이야기는 잠시 밀어 두고 당신이 살아 있음을 기억할 수 있는 첫날부터 오늘까지 이 몸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어떤 기분이었는지 살펴보자. 감각적 자료들의 카탈로그랄까. <호흡의 현상학>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되겠다. -p.7

 

 
 
 
작가는 자전적인 이야기를 화자인 '나'를 통해 하지 않고 관찰자 시점에서 '당신'이란 2인칭 주인공을 통해 서술하는 특이한 방식으로 글을 썼다. 그래서 이 책의 주인공은 폴 오스터도 될 수 있고, 나도,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모든 독자들도 될 수 있는 것이다.
자전적인 이야기지만 폴 오스터만의 특별한 감각으로 글을 쓰면서도 살아온 일대기를 시간의 흐름대로 쓰지 않고 마치 생각난 사건들을 중심으로 쓴 것처럼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들려준다.
 
마치 작가가 되려면 평탄한 인생으로는 글을 쓸 수 없는 공식이 있는 것처럼 폴 오스터의 삶도 굴곡이 많은 인생이었다.
얼굴에 큰 상처가 몇 번인가 생겼지만 다행히도 잘 보이지 않는 곳에 난 것, 터질 듯한 오줌보 때문에 사고가 난 것, 21번이나 이사를 다닌 끝에 지금까지 살고 있는 브루클린에 정착하여 [작가란 무엇인가]에 실린 인터뷰는 그 곳에서 한 것, 첫 번째 결혼에 실패하여 모든 것이 엉망진창이던 그 때 천생연분인듯한 두 번째 부인을 만난 것, 그리고 열네 살 어느 숲에서 친구가 번개에 맞아 죽은 것 등등.
이 중 두번째 부인을 만난 것과 친구가 번개에 맞아 죽은 것은 작가의 인생에 아마도 큰 영향을 줬으리라..
 
 

당신의 아내는 당신의 약점을 받아들이고 불평하거나 비난하지 않는다. 아내가 걱정한다면 그것은 단지 당신이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럴 뿐이다. 당신은 그토록 긴 세월 동안 아내를 곁에 가까이 둔 이유를 헤아려 본다. 물론 이런 이유도 그중 하나다. 인내하는 사랑의 광대무변한 별자리 중에서 빛나는 별들 중 하나. -p.22

 

 
 
 

그 사건이 제 삶을 바꾸어놓았습니다. 그것은 한 치의 의심도 할 수 없어요. 멀쩡히 살아 있던 제 친구가 한순간에 죽었지요. 저는 불과 몇 센티미터 떨어져 있었습니다. 저는 처음으로 무작위로 일어난 죽음과 함께 세상만사가 당황스러울 정도로 불안정하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지요. 단단한 땅위에 서 있다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땅이 꺼지면서 사람들이 땅속으로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작가란 무엇인가 中에서 -p.166

 

 
 
어린 나이에 친구의 죽음을 경험해서일까, 아버지의 죽음앞에서도, 조부모의 죽음 뒤에도, 가장 아꼈던 사촌이 서른여덟의 젊은 나이에 죽었을 때도, 그리고 어머니가 죽었을때도 울지 않았다. 마치 '이방인'의 주인공 '뫼르소'와 같다.
모두 급작스럽게 죽어버렸다.
 
작가는 2011년 예순 네살을 맞이했다.
예순 네살에 쓰는 자서전적 기록이다.
 
아, 나도 나이가 들었을 때 이런 기록을 남길 수 있다면 얼마나 멋질까. 생각해본다.
죽음은 갑자기 찾아올 수도 있지만 서서히 나타날 수도 있다. 만약 나에게도 천천히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면 이러한 글을 남기리라.

 

 

 

 

 

 

<주베르: 삶의 종말은 고통스럽도다.> 틀림없이 지금보다 꽤나 더 나이를 많이 먹었을 그는 1815년 예순한 살의 나이로 그 말을 쓴 지 1년이 채 못 되어, 그는 삶의 마지막에 관하여 다르면서 훨씬 더 도전적인 어구를 적었다. <누구나 사랑스러운 모습으로 죽어야 한다.(할 수만 있다면)>. 당신은 이 문장에, 특히 괄호 속의 말에 감동한다. 그 말을 보기 드문 세심한 정신, 사랑스러워진다는 것이 특히 나이든 사람, 노쇠해져서 다른 이들의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사람에게는 얼마나 어려운가에 대한 힘겹게 얻은 깨달음을 보여준다. <할 수만 있다면.> 어쩌면 그 마지막이 고통스럽건 않건 마지막에 가서 사랑스러워진다는 것보다 더 위대한 인간의 성취는 없을지도 모른다. -p.231 

 

 
작가는 이 글을 <호흡의 현상학>이라 했다.
처음 읽을 땐 그게 뭐지...했는데, 읽으면서 알 수 있었다.
눈을 감고 긴 호흡을 통해 나의 삶을 들여다본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겨울이, 그리고 새로운 문 뒤엔 봄이 들어선다.
 
 

 

 

  

 
침대에서 나와 창가로 걸어가면서 차가운 마룻바닥에 닿는 당신의 맨발. 당신은 예순네 살이다. 바깥은 회색이다 못해 거의 흰색에 가깝고 해는 아예 보이지도 않는다. 당신은 자문한다. 몇 번의 아침이 남았을까?
 
문이 닫혔다. 또 다른 문이 열렸다.
 
당신은 인생의 겨울로 들어섰다. - p.2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