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소년 1 링컨 라임 시리즈 9
제프리 디버 지음, 유소영 옮김 / 노블하우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가끔 내가 보지 않고 느끼지 않은 것들을 남의 입을 통해 나온

추측들과 소문에 너무나 휘둘릴때가 많다.

이 책은 어찌보면 그런 사람을 대할 때 사물을 대할 때 동물을 대할 때의

선입견이 얼마나 무서운가 그 오류를 범했을때 어떤 결과를 가져올것인가에

대한 경고의 메세지를 주기도 한다.

 

나 또한 이 책을 읽기 시작했을때는 섣부른 결론과 추론을 하고 수사방향을

잡는 나태한 경찰과 형사들 처럼 그 기준에서 사건을 바라보느라 중요하것을

매번 놓치고 말았다.

 

"곤충소년"

만약 이 책에서 곤충을 좋아하는 그 소년이 부모님도 살아계시고 화목한 가정의

아이였다면 아마도 우리는 제 2의 파브르라고 생각하고 그 아이의 곤충에 대한

사랑과 각별한 호기심을 추켜세웠겠지만, 소설 속에 등장하는 아이는 부모도 어

느날 갑자기 돌연사 하고 버림받았다고 생각하는 아이에게 양부모는 너무도 냉정하고

아이는 자기만의 세계에 빠진듯한 생활을 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소년이 어딘가 음침하고 부정적인 생각으로 자신을 두르고 있을꺼라

믿어버린다.

책의 중반을 읽을 때까지도 난 이 선입견의 선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제프리 디버는

그 선을 수 많은 반전을 통해 넘었다.

그렇다 결국 그 소년은 곤충을 너무 사랑한 소년일 뿐이다. 그 소년에게서 부모를

빼앗고 사랑을 빼앗고 평범함을 빼앗은 어른들이 이제 그 소년의 마지막 사랑인

곤충들 까지 악으로 몰아 소년의 생존을 위협한다.

더 이상 얘기하면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을 듯 하니 내용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할까?

 

이 곤충소년은 수많은 반전이 존재한다.

인물의 반전, 장소의 반전, 증거의 반전, 그리고 생각의 반전...

이 모든 반전을 못 느낄 수도 있고 정확하게 느끼며 지나갈 수도 있다.

정확하게 느끼고 추리하기 위해선 한시도 긴장을 늦추어서는 안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