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종 경고 : 6도의 멸종 - 기후변화의 종료, 기후붕괴의 시작, 2022 우수환경도서
마크 라이너스 지음, 김아림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2년 1월
평점 :
6도의 멸종이란 책은 이미 예전에 한번 출판되어 인기를 끌었던 책으로 알고 있다. 이미 한번 책으로 경고를 했던 저자는 다시 한번 최종 경고라는 이름을 앞에 붙여서 다시 한번 독자들에게 강한 경고를 하고 있다.
요새 각종 뉴스나 신문을 보게 되면 심심치 않게 기후이상, 기후변화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다. 기후이상으로 인해서, 기후변화로 인해서 사람들의 생활이 혹은 자연환경이 혹은 재난이 닥치고 있다는 기사들을 우리는 종종 접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하지만 사람들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지금 나의 삶에 있어서 당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나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혹은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고 해서 이런 현실을 무시하고 살아가도 되는 것인가?
당장에 우리는 은연중 기후변화로 인해서 불편함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우리나라에 여름이나 가을마다 오는 태풍의 위력도 점점 강해지고 있으며, 여름에는 예전보다 심한 폭염이 겨울에는 예전보다 독한 추위가 찾아오고 있다. 이런 점들도 모두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일종이며 우리의 현실에 영향을 주는 환경들일 것이다. 현재도 점점 재난이 강해지고 있는데 우리가 이런 기후변화를 무시한 채 방관자의 입장으로서 지켜보기만 한다면 어떤 현실이 우리를 덮칠 것인가?
「'기후 행동 추적자'의 최신 보고에 따르면, "현재의 정책이 계속될 때 21세기 말까지 온난화 상승폭이 4도씨를 초과할 가능성이 10~15퍼센트이다."하지만 이것은 북극 영구 동토층이 녹고 아마존 열대 우림이 붕괴하는 것 같은 되먹임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다. 이런 영향을 추가했을 때, 현재의 정책으로는 이번 세기가 끝날 때까지 5도씨 상승의 영역으로 끌려 들어갈 위험이 높아진다.」(6도의 멸종 책 중 일부분 발췌하여 인용하였습니다.)
지구는 우리들만의 공간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또 우리의 아이들이 살아가야할 공간이다. 물론 지금 지구의 과학자들은 지구가 아닌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지만 쉽게 지구를 대체할 수 있는 공간을 찾을 수 없을 것이며, 또한 찾는다 하더라도 그 공간으로 전 지구인이 옮겨서 터를 잡는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일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 우리 모두 지구의 경고에 대해서 다시 한번 신중하게 생각하고 지금이라도 노력하여 지구의 변화를 서서히 막아야하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