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thirsty > 더블린 사람들 - 원문 텍스트 (3) Araby

“자매(The Sisters)”, “어떤 만남(An Encounter)”에 이은 3번째 단편으로 ‘어린 시절(childhood)’의 마지막이지만, 실제 완성 시기는 1905년 10월로 11번째이다. 이 세 편을 조이스는 ‘자신의 어린 시절(my childhood)’라고 했던만큼 자전적인 성격이 강한 작품들이다. ‘애러비(Araby)’는 ‘아라비아(Arabia)’의 시적 표현으로, 19세기 유럽인들이 꿈꾸는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일탈(逸脫)의 세계(보물, 관능적인 여자, 이국적인 풍물, 세련되었지만 살아있는 야수성)를 의미한다. 소년의 환상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떻게 깨어지는가에 주목해서 읽는다. 소설의 연대는 대략 1894년 부근으로 추정되는데, 바로 앞 단편인 “우연한 만남(An Encounter)”에 이어지는 것이다. 실제 조이스는 1894년(12세)에 더블린의 North Richmond Street에 살았고, 시간상 이 이전이기는 해도, 이 해 5월에 “동양의 대축제(Grand Oriental Fete)”란 이름의 바자회가, Jervis Street Hospital을 돕기 위해 카톨릭 수녀회(the Roman Catholic Sisters of Mercy) 주최로 열렸다고 한다.

 

 

Araby

 

 

North Richmond Street, being blind, was a quiet street except at the hour when the Christian Brothers' School set the boys free. An uninhabited house of two storeys stood at the blind end, detached from its neighbours in a square ground. The other houses of the street, conscious of decent lives within them, gazed at one another with brown imperturbable faces.

 

The former tenant of our house, a priest, had died in the back drawing-room. Air, musty from having been long enclosed, hung in all the rooms, and the waste room behind the kitchen was littered with old useless papers. Among these I found a few paper-covered books, the pages of which were curled and damp: The Abbot, by Walter Scott, The Devout Communicant, and The Memoirs of Vidocq. I liked the last best because its leaves were yellow. The wild garden behind the house contained a central apple-tree and a few straggling bushes, under one of which I found the late tenant's rusty bicycle-pump. He had been a very charitable priest; in his will he had left all his money to institutions and the furniture of his house to his sister.

 

When the short days of winter came, dusk fell before we had well eaten our dinners. When we met in the street the houses had grown sombre. The space of sky above us was the colour of ever-changing violet and towards it the lamps of the street lifted their feeble lanterns. The cold air stung us and we played till our bodies glowed. Our shouts echoed in the silent street. The career of our play brought us through the dark muddy lanes behind the houses, where we ran the gauntlet of the rough tribes from the cottages, to the back doors of the dark dripping gardens where odours arose from the ashpits, to the dark odorous stables where a coachman smoothed and combed the horse or shook music from the buckled harness. When we returned to the street, light from the kitchen windows had filled the areas. If my uncle was seen turning the corner, we hid in the shadow until we had seen him safely housed. Or if Mangan's sister came out on the doorstep to call her brother in to his tea, we watched her from our shadow peer up and down the street. We waited to see whether she would remain or go in and, if she remained, we left our shadow and walked up to Mangan's steps resignedly. She was waiting for us, her figure defined by the light from the half-opened door. Her brother always teased her before he obeyed, and I stood by the railings looking at her. Her dress swung as she moved her body, and the soft rope of her hair tossed from side to side.

 

Every morning I lay on the floor in the front parlour watching her door. The blind was pulled down to within an inch of the sash so that I could not be seen. When she came out on the doorstep my heart leaped. I ran to the hall, seized my books and followed her. I kept her brown figure always in my eye and, when we came near the point at which our ways diverged, I quickened my pace and passed her. This happened morning after morning. I had never spoken to her, except for a few casual words, and yet her name was like a summons to all my foolish blood.

 

Her image accompanied me even in places the most hostile to romance. On Saturday evenings when my aunt went marketing I had to go to carry some of the parcels. We walked through the flaring streets, jostled by drunken men and bargaining women, amid the curses of labourers, the shrill litanies of shop-boys who stood on guard by the barrels of pigs' cheeks, the nasal chanting of street-singers, who sang a come-all-you about O'Donovan Rossa, or a ballad about the troubles in our native land. These noises converged in a single sensation of life for me: I imagined that I bore my chalice safely through a throng of foes. Her name sprang to my lips at moments in strange prayers and praises which I myself did not understand. My eyes were often full of tears (I could not tell why) and at times a flood from my heart seemed to pour itself out into my bosom. I thought little of the future. I did not know whether I would ever speak to her or not or, if I spoke to her, how I could tell her of my confused adoration. But my body was like a harp and her words and gestures were like fingers running upon the wires.

 

One evening I went into the back drawing-room in which the priest had died. It was a dark rainy evening and there was no sound in the house. Through one of the broken panes I heard the rain impinge upon the earth, the fine incessant needles of water playing in the sodden beds. Some distant lamp or lighted window gleamed below me. I was thankful that I could see so little. All my senses seemed to desire to veil themselves and, feeling that I was about to slip from them, I pressed the palms of my hands together until they trembled, murmuring: `O love! O love!' many times.

 

At last she spoke to me. When she addressed the first words to me I was so confused that I did not know what to answer. She asked me was I going to Araby. I forgot whether I answered yes or no. It would be a splendid bazaar; she said she would love to go.

 

`And why can't you?' I asked.

 

While she spoke she turned a silver bracelet round and round her wrist. She could not go, she said, because there would be a retreat that week in her convent. Her brother and two other boys were fighting for their caps, and I was alone at the railings. She held one of the spikes, bowing her head towards me. The light from the lamp opposite our door caught the white curve of her neck, lit up her hair that rested there and, falling, lit up the hand upon the railing. At fell over one side of her dress and caught the white border of a petticoat, just visible as she stood at ease.

 

`It's well for you,' she said.

 

`If I go,' I said, `I will bring you something.'

 

What innumerable follies laid waste my waking and sleeping thoughts after that evening! I wished to annihilate the tedious intervening days. I chafed against the work of school. At night in my bedroom and by day in the classroom her image came between me and the page I strove to read. The syllables of the word Araby were called to me through the silence in which my soul luxuriated and cast an Eastern enchantment over me. I asked for leave to go to the bazaar on Saturday night. My aunt was surprised, and hoped it was not some Freemason affair. I answered few questions in class. I watched my master's face pass from amiability to sternness; he hoped I was not beginning to idle. I could not call my wandering thoughts together. I had hardly any patience with the serious work of life which, now that it stood between me and my desire, seemed to me child's play, ugly monotonous child's play.

 

On Saturday morning I reminded my uncle that I wished to go to the bazaar in the evening. He was fussing at the hallstand, looking for the hat-brush, and answered me curtly:

 

`Yes, boy, I know.'

 

As he was in the hall I could not go into the front parlour and lie at the window. I felt the house in bad humour and walked slowly towards the school. The air was pitilessly raw and already my heart misgave me.

 

When I came home to dinner my uncle had not yet been home. Still it was early. I sat staring at the clock for some time and, when its ticking began to irritate me, I left the room. I mounted the staircase and gained the upper part of the house. The high, cold, empty, gloomy rooms liberated me and I went from room to room singing. From the front window I saw my companions playing below in the street. Their cries reached me weakened and indistinct and, leaning my forehead against the cool glass, I looked over at the dark house where she lived. I may have stood there for an hour, seeing nothing but the brown-clad figure cast by my imagination, touched discreetly by the lamplight at the curved neck, at the hand upon the railings and at the border below the dress.

 

When I came downstairs again I found Mrs Mercer sitting at the fire. She was an old, garrulous woman, a pawnbroker's widow, who collected used stamps for some pious purpose. I had to endure the gossip of the tea-table. The meal was prolonged beyond an hour and still my uncle did not come. Mrs Mercer stood up to go: she was sorry she couldn't wait any longer, but it was after eight o'clock and she did not like to be out late, as the night air was bad for her. When she had gone I began to walk up and down the room, clenching my fists. My aunt said:

 

`I'm afraid you may put off your bazaar for this night of Our Lord.'

 

At nine o'clock I heard my uncle's latchkey in the hall door. I heard him talking to himself and heard the hallstand rocking when it had received the weight of his overcoat. I could interpret these signs. When he was midway through his dinner I asked him to give me the money to go to the bazaar. He had forgotten.

 

`The people are in bed and after their first sleep now,' he said.

 

I did not smile. My aunt said to him energetically:

 

`Can't you give him the money and let him go? You've kept him late enough as it is.'

 

My uncle said he was very sorry he had forgotten. He said he believed in the old saying: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He asked me where I was going and, when I told him a second time, he asked me did I know The Arab's Farewell to his Steed. When I left the kitchen he was about to recite the opening lines of the piece to my aunt.

 

I held a florin tightly in my hand as I strode down Buckingham Street towards the station. The sight of the streets thronged with buyers and glaring with gas recalled to me the purpose of my journey. I took my seat in a third-class carriage of a deserted train. After an intolerable delay the train moved out of the station slowly. It crept onward among ruinous houses and over the twinkling river. At Westland Row Station a crowd of people pressed to the carriage doors; but the porters moved them back, saying that it was a special train for the bazaar. I remained alone in the bare carriage. In a few minutes the train drew up beside an improvised wooden platform. I passed out on to the road and saw by the lighted dial of a clock that it was ten minutes to ten. In front of me was a large building which displayed the magical name.

 

I could not find any sixpenny entrance and, fearing that the bazaar would be closed, I passed in quickly through a turnstile, handing a shilling to a weary-looking man. I found myself in a big hall girded at half its height by a gallery. Nearly all the stalls were closed and the greater part of the hall was in darkness. I recognized a silence like that which pervades a church after a service. I walked into the centre of the bazaar timidly. A few people were gathered about the stalls which were still open. Before a curtain, over which the words Café Chantant were written in coloured lamps, two men were counting money on a salver. I listened to the fall of the coins.

 

Remembering with difficulty why I had come, I went over to one of the stalls and examined porcelain vases and flowered tea-sets. At the door of the stall a young lady was talking and laughing with two young gentlemen. I remarked their English accents and listened vaguely to their conversation.

 

`O, I never said such a thing!'

 

`O, but you did!'

 

`O, but I didn't!'

 

`Didn't she say that?'

 

`Yes. I heard her.'

 

`O, there's a... fib!'

 

Observing me, the young lady came over and asked me did I wish to buy anything. The tone of her voice was not encouraging; she seemed to have spoken to me out of a sense of duty. I looked humbly at the great jars that stood like eastern guards at either side of the dark entrance to the stall and murmured:

 

`No, thank you.'

 

The young lady changed the position of one of the vases and went back to the two young men. They began to talk of the same subject. Once or twice the young lady glanced at me over her shoulder.

 

I lingered before her stall, though I knew my stay was useless, to make my interest in her wares seem the more real. Then I turned away slowly and walked down the middle of the bazaar. I allowed the two pennies to fall against the sixpence in my pocket. I heard a voice call from one end of the gallery that the light was out. The upper part of the hall was now completely dark.

 

Gazing up into the darkness I saw myself as a creature driven and derided by vanity; and my eyes burned with anguish and anger.

 

 

3. Araby

blind

골목/길이 막힌

cul de sac, dead-end

Christian Brothers' School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 아일랜드 여러 곳에 카톨릭에서 설립한 학교

조이스 자신도 1893년 이 학교에 잠시 다닌 적이 있는데 이 사실을 그는 자신의 자서전적 소설들에서 빼버렸다.

drawing room

응접실, 접견실; 기차 전용 객실(compartment)

 

wasteroom

화장실

 

The Abbot by Walter Scott

“아이반호(Ivanhoe)"로 유명한 스코틀랜드 소설가 월터 스코트가 1820년에 쓴 소설

음란하다고 알려진 16세기 스코틀랜드 메리 여왕을 이상화하여 만든 공상적 소설

The Devout Communicant

이 이름으로 된 책은 여럿 있으며, 종교적인 열정에 관한 경건한 문장들로 이루어 짐

모두 18세기의 것들

The Memowoire of Vidocq

19세기 프랑스의 도둑이자 경찰인 비독에 관한 허구적인 전기소설로 1828년 작품

대중적인 스릴러. 몇 년 전에 필자는 이에 관련된 영화를 본 적이 있음

leaf  (pl. leaves)

잎사귀 → 책의 앞뒤 한 장

(2 pages)

 

straggle

흩어지다, 무질서하게 퍼지다; 산재하다

scatter, spread, disorganize, scramble, ramble

career

n. 경력, 이력, 직업; 출세, 발전, 진전(development), 경로(course); 질주, 쾌주,

v. 전속력으로 달리다, 질주하다

run the gantlet

비난이나 질책을 받다; 옛날 두 줄로 늘어선 사람들 사이를 죄인으로 하여금 달리게 하고 여러 사람이 매질하는 태형

gantlet은 gauntlet의 옛날 철자

shook music out of the buckled harness

마부가 마구를 다루다가 내는 소리를, 마술사가 모자 등을 흔들어 무언가를 빼내는 마술처럼, 음악에 비유한 표현

 

area

(BrE) 지하실(부엌) 출입구(채광, 통행을 위한 지하층 주위의 빈터). spaces providing light and air to the basements of houses

(AmE) areaway

Mangan's sister

소녀의 이름은 나오지 않지만, Mangan이라는 이름의 선택은 중요하다. 아일랜드말(Gaelic language)로 'Mangan'의 뜻은 '숱이 많은 머리(abundant hair)'이다. 바로 뒤의 'soft rope of her hair'를 보라.

아일랜드의 시인 James Clarence Mangan(1803-1849)은 아일랜드의 우울한 전통과, Arab으로 대표되는 이국적인 환상에 빠졌던 시인으로, 아랍어도 모르면서 자기 시가 아랍어에서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

pigs' cheeks

돼지의 볼살 (from 돼지머리)

 

come-all-you

유명한 아일랜드  대중 가요(Come all you gallant Irishman and listen to my song)로 노래가사에 그때 그때 하고 싶은 이야기를 집어 넣는다.

 

O'Donovan Rosa

급진적인 피니언 혁명가로 무장 투쟁을 주장했다

Jeremiah O’Donovan (1831–1915), nicknamed Dynamite Rossa; an Irish revolutionary.

troubles

조국의 수난과 애국투사의 투쟁

a euphemism for Irish civil unrest

chalice

성배(the Holy Grail), 성찬배. goblet

 

impinge on

충돌하다; 침범하다

 

Araby

Arabia or Arabian

 

lay waste

황폐시키다

lie waste 땅이 경작되지 않고 놀고 있다; 황폐해져 있다

hallstand

홀 스탠드(거울, 외투걸이, 우산꽂이 등이 하나로 된 것)

현관장 비슷하지만 다르다.

misgive

worry. concern. 근심하게 하다, 신경 쓰이게 하다

 

garrulous

말 많은. talkative

 

gain

reach

 

this night of Our Lord

in the year of Our Lord ~ (서기 ~ 년에)

 

The Arab's Farewell to his Steed

아일랜드 시인 Caroline Norton(1808-77)이 지은 시로 많은 사람이 암송

'Araby' 바자회와는 “아무 관계 없어!”

florin

영국의 2실링(24 pence) 은화

 

girdle

(허리)띠로/띠 모양으로 두르다, 빙 둘러싸다

encircle or surround with sth like a girdle/belt

porter

문지기, 수위(doorkeeper); 짐꾼, 잡역부; 흑맥주

 

Café Chantan

(F) coffeehouse with entertainment(singing)

실제 이름

salver

금속제 쟁반, 명함 그릇

 

fib

악의 없는 사소한 거짓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한국현대사와 신체의 지질학

집에서 라면을 먹으면서도 할 수 있는 일은 이런저런 기사들을 읽고 옮겨놓는 것이다. 더구나 며칠 전에 읽은 기사라면 불은 라면 먹는 것보다도 쉬운 일이다. 얼마전부터 '6월민주항쟁20주년사업추진위원회’가 주최하는 ‘6월 민주항쟁 20년 기념 대토론회-상상변주곡’가 열리고 있는데, 총 9회에 걸쳐서 이루어질 이번 토론회는 현재 두 차례 진행되었다. 도정일 교수에 이어서 발제자로 나선 이는 문화평론가 진중권씨인데, 컬처뉴스의 관련기사와 함께 그 발제문 '신체의 지질학'을 옮겨놓는다. 농경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돌입한 한국사회 정치의식의 변화추이를 '지질학'적 시각으로 포착하고 있는데, 그의 강점이 '진중함'에 있다기보다는 '순발력'에 있다는 걸 다시 확인하게 해준다(그는 담론의 유희가 무엇인지 아는 평론가이다).

6월 민주항쟁 20년 기념 대토론회 ‘상상변주곡’ 두 번째 행사가 지난 5월 3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교육장에서 열렸다.

컬처뉴스(07. 05. 04) 새로운 '몸'을 어떻게 볼 것인가

6월 민주항쟁 20년 기념 대토론회 ‘상상변주곡’ 두 번째 시간(5월 3일)은 진중권 문화평론가의 발제로 시작됐다. 진중권 평론가는 「신체의 지질학」이라는 발제를 통해 농경사회에서 빠른 속도로 정보화 사회로 돌입한 한국사회의 사회적 특징과 변화된 ‘정치의식’을 분석했다.

 

 

 

 

 

 

 

 

 

 

진중권 평론가는 “급격한 지각 변동이 지질학적 지층에 고스란히 기록되듯이, 급격한 사회 변동 역시 한국인의 사회적 신체 안에 고스란히 축적”되는데 “농경사회에서 산업화를 거쳐 정보사회로 변모하는 것이 반세기도 안되는 동안에 이뤄”짐으로써 “한국사회 안에는 농경사회의 신체와 산업화의 신체, 정보사회의 신체가 공존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생존을 걸고 싸우는 처절한 투쟁으로서의 정치와 일종의 퍼포먼스의 성격을 띤 놀이로서의 정치가 공존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시위 모습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같은 두 가지 형태의 정치가 공존하는 것은 압축성장으로 인해 한국사회에는 과거, 현재, 미래가 융합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민중운동의 두 기둥이라 할 수 있는 ‘NL’과 ‘PD’의 대립과 관련해서도 ‘신체의 차이’로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NL은 “산업화 과정에서 몰락한 농민들의 좌절감, 개발에서 배제되어 낙후된 농촌지역의 소외감,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화로 위협받는 농민계급의 위기감 등을 미제에 대항하는 민족주의로 승화시킨 것”이며, PD는 “7~80년대에 이루어진 산업화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으로, 혁명가들이 갖춰야 ‘철의 규율’은 무기물(철)을 유기적 신체의 모범으로 삼는 산업화의 이상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NL과 PD의 대립은 두 개의 다른 이념의 대립이 아니라, 실은 두 개의 다른 신체의 대립”이라는 것이다(*그 신체는 물론 '농민의 신체'와 '노동자의 신체'로 일반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세계적으로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의 이행은 역사의 종언, 서사의 종언, 정치의 소멸, 그리고 주체의 죽음과 같은 문자문화의 종말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미 정보사회로 진입을 완료한 한국 역시 “정보가 재화가 되고, 상품이 비물질화하고, 소비가 기호화하고, 생산이 정신화하고, 노동이 오락화하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정보사회의 특징은 “그저 지적인 유행이 아니라 새로운 생산력의 수준이 과거의 산업적 신체와는 다른 신체를 원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보적 신체를 가진 오늘날의 젊은 세대들의 변화된 정치의식은 이러한 탈문자화를 반영한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오늘날의 젊은 세대들은 더 이상 역사에 최종목표가 있다고 믿지 않”으며 “그들에게 미래는 그저 SF의 시간일 뿐이고, 역사는 그저 퓨전사극의 배경일 뿐”이다. 때문에 “이것을 단지 젊은 세대의 ‘보수화’로만 볼 수 없으며, 진보나 보수의 이항대립을 넘어선, 완전히 차원이 다른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방송 3사의 고구려 드라마를 예로 들면서 “문자로 씌어지는 역사가 사라진 곳에 영상으로 그려지는 신화가 등장하고 있”으며 “텍스트로 무장한 386세대의 역사적 의식은 디지털 영상으로 무장한 젊은 세대의 신화적 의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은 토론에서 손석춘 전 한겨레 논설위원은 “NL이 우리사회에서 설득력을 갖는 이유는 북쪽에 전쟁위협을 가하고 있는 미국의 제국주의 정책이 유지되고 있고 한국사회에 미치는 규정력이 강하기 때문인 것 같다”며 “농경 신체적 특징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비약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정보사회에서의 노동자계급 해체논리와 관련해 “노동자계급의 단결 문제는 새삼스럽게 도달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며, 그 해체논리에는 지배세력의 이데올로기적 공세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준영 문화평론가는 “농경사회 신체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진중권 선생이 말한 요즘 세대가 가진 정보사회의 신체가 불과 10년 만에 확고하게 형성될 수 있는가에 의문이 생긴다”며 “90년대 이후 대학가에서 발견한 변화된 모습은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라기보다는 미래가 불확실한 젊은 세대들이 소시민화되는 경향이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진중권 평론가는 “정보사회가 빠르게 우리사회에 흡수될 수 있었던 것은 문자문화의 전통이 짧고 낙후돼 있었기 때문이며, 농경사회에서 남아있던 구술문화, 다시 말해 소리와 이미지를 기억하는 신체는 바로 인터넷이라는 기술과 만나면서 급속하게 이입됐다”고 답했다. 그 밖에도 ‘황우석 사태’에서 보여준 젊은 세대들의 ‘디지털파시즘’의 문제와 청년실업 문제와 연관돼 산업화 시대로 역행하고자 하는 ‘보수화’된 젊은 세대의 경향성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위지혜 기자)

진중권 (문화평론가, 중앙대 겸임교수),  신체의 지질학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거기서 다시 정보사회로. 이는 세계 모든 나라에서 벌어지는 일반적 변화의 양상으로 보인다.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다만 이 모든 변화가 한국에서는 유례없이 급속하게 이루어졌다. 농경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변모하는 것이 반세기도 안 되는 동안에 이루어진 것은 실로 놀라운 일이다. 급격한 지각의 변동이 지질학적 지층에 고스란히 기록되듯이, 급격한 사회의 변동 역시 한국인의 사회적 신체 안에 고스란히 충적되어 있다.

서구에서 산업혁명은 19세기에 일어났다. 그래서 서구인들에게 농경사회는 아득한 역사 속의 이야기일 뿐이다. 반면, 한국에서는 한두 세대만 거슬러 올라가도 바로 농경사회의 추억과 연관된다. 거의 모든 인구의 가정에 농경사회의 신체를 가진 이가 존재한다. 신체는 늘 자신을 재생산하려는 경향을 보이기에, 산업사회로 이행을 완료한 다음에도 농경사회의 기억이 가까운 사회의 성원들은 몸속에 여전히 농경사회의 습속을 갖고 있게 된다.

다른 한편, 근대화의 흐름에 뒤쳐져 식민통치를 겪었던 뼈아픈 역사적 경험은 한국인들을 미래주의적으로 만들었다. 황우석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에 대한 믿음은 한국에서 거의 종교적 신앙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한국은 사회의 일반적 발전 수준 이상으로 IT 인프라가 발달해 있다. 오늘날 한국인들, 특히 젊은 세대의 신체는 온갖 디지털 기기와 결합되어 있다. 한국인의 몸은 어느덧 세계에서 가장 사이보그화한 신체가 되었다.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한국전쟁 후에 일어난 사회운동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넘어가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 이승만 정권의 붕괴는 신체의 ‘근대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무능에서 비롯된 정치적 현상이다. 신체의 ‘근대화’에는 크게 두 가지 과제가 따른다. 첫째는 사회 성원들을 자율적 판단과 행위의 능력을 가진 독립적 인격으로 바꾸어 놓는 민주화의 과제이고, 둘째는 그들의 신체를 자연에서 떼어내어 기계와 결합시키는 산업화의 과제이다.

이승만 정권은 이 두 과제 중 어느 것도 해결하지 못했다. 비록 미국식 민주주의의 형식을 취했지만, ‘국부’라는 호칭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승만 정권의 통치 스타일은 외려 봉건적 군주제에 가까웠다. 게다가 그 정권은 미래에 대한 아무런 비전도 갖지 못한 채, 그저 부패와 비효율로 점철되어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4.19 혁명은 결국 시민들이 막연하게 느끼던 정치적, 경제적 근대화의 필요성에서 비롯된 시민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4.19 혁명 이후 내각제를 받아들인 것은 나름대로 대통령제의 제왕적 성격을 수정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제도화하려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민간정부에서 수립한 경제개발5개년계획은 4.19가 그저 정치적 혁신의 운동에 그치는 게 않고, 경제적 산업화를 포괄하는 폭넓은 의미에서 근대화 요구라는 것을 그 정부도 의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물론 혁명으로 수립된 준비 안 된 정권이 이 두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기란 불가능했고, 바로 그 좌절에서 탄생한 것이 5.16 쿠데타였다.



민주화 없는 산업화
박정희 정권의 근대화 전략은 ‘민주화 없는 산업화’였다. 박정희가 즐겨 사용하던 ‘인간개조’라는 표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당시의 시급한 문제는 신체를 자연에서 떼어내 기계와 결합시키는 것이었다. 저곡가 정책 등 박정희 정권이 도입한 이농정책은 대단히 성공적이었다. 해방 후 90%에 이르렀던 농민의 비중은 그 후 급속히 감소한다. 자연을 등지고 도시로 올라온 신체들은 군사정권의 군대식 훈육을 통해 폭력적으로 기계와 결합하게 된다.

한편, ‘인간개조’는 남한에서만 일어난 게 아니다. 북한의 김일성 주석 역시 사회주의 건설을 위해서는 사회개조, 자연개조와 더불어 무엇보다 ‘인간개조’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민주화 없는 산업화라는 점에서 북한의 성과는 적어도 60년대까지는 남한의 것보다 더 눈부셨다. 하지만 경제적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체제의 유지를 위해 농경적 신체의 봉건적 충성심을 온존시켰다. 북한식 사회주의가 가진 그로테스크한 특성은 여기서 비롯된다.

산업화의 초기 단계에는 군대식 훈육이 어느 정도 작동한다. 노동력의 단순투입으로 생산력을 제고하는 단계에서는 군대식 충성심을 가진 기계화한 신체야말로 외려 효율적이다. 하지만 사회의 생산력은 결국 사회 성원 개개인의 수행능력(이른바‘노동력의 질’)에 달려 있다. 게다가 노동력의 단순투입에는 절대적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산업화가 어느 단계에 이르면, 외려 군대식 신체가 발전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기 시작한다. 사회 민주화의 요구는 이때 터져 나오게 된다.

박정희의 죽음과 더불어 ‘민주화 없는 산업화’의 시대는 막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전두환 정권은 역사에서 반동적인 현상이었다. 하지만 전두환 정권이 정치적으로는 여전히 폭압적인 통치를 행했지만, 경제의 영역에서만은 국가통제에서 벗어난 자유주의 정책을 편 것은 데에 주목해야 한다. 한 마디로, 당시의 산업의 발전수준에 맞는 개혁을 도입하되, 그것이 민주화로 확산되는 것을 폭압적으로 막으려 했던 것이 전두환 정권의 존재이유였다.

민중운동
하지만 그런 봉합의 시도는 오래 지속될 수 없는 것이었다. 전두환 정권의 폭압정치는 6월 항쟁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6월 항쟁을 주도한 것이 학생과 넥타이 부대였다는 것은 암시하는 바가 크다. 그것은 자유주의를 경제의 영역에만 가두어둘 것이 아니라 정치의 영역으로까지 확장하라는 요구로 볼 수 있다. 물론 민주세력의 분열로 노태우 정권이 등장하고, 이로써 군사정권은 민간인 복장으로 갈아입고 계속되었지만, 이미 그때부터 통치는 연성화하기 시작한다.

이어 87년 6월 항쟁으로 열린 정치적 민주화의 분위기 속에서 그 동안 가장 억압을 받아왔던 노동자들의 투쟁이 시작된다. 이미 운동의 이념화는 80년대에 급속도로 진행되었지만, 그것의 계급성이 본격적으로 나타난 것은 88년 노동자대투쟁 이후의 일이다. 다른 한편, 민주화로 인해 열린 비교적 개방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념적 금기를 깨려는 시도도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때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바로 ‘통일운동’이다.

하지만 80년대 말에 일어났던 동구권의 몰락과, 북한 사회의 답보 내지 퇴보는 너무 늦게 나타난 이런 이념운동의 싹을 잘라 버렸다. 사회주의권의 급작스런 붕괴는 이념세력으로 하여금 자기 혁신을 통해 현대화를 할 틈을 주지 않았고, 역사적 텔로스를 잃어버린 이념운동은 곧 불어 닥친 포스트모던의 탈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자신을 잃어버렸다. 혹은 30년대에나 어울릴 구태의연한 수사를 반복하면서 스스로 박제가 되어갔다.

NL과 농경적 신체
민중운동의 두 기둥은 실은 한국사회가 거쳐 온 두 개의 발전단계, 그 과정에서 형성된 두 개의 신체를 대표한다. NL은 농경적 신체의 이데올로기다.
산업화 과정에서 몰락한 농민들의 좌절감, 개발에서 배제되어 낙후된 농촌지역의 소외감,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화로 위협받는 농민계급의 위기감 등을 미제에 대항하는 민족주의로 승화시킨 것이 바로 NL의 이데올로기다. 게다가 NL 이념에 원형을 제공한 북한 체제 자체가 농경적 특성을 온존시킨 봉건사회주의의 성격을 띠고 있다.

NL적 신체들이 산업화 이전의 농촌공동체 정서를 가지고 있음은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조직화를 하기보다 ‘관계 맺기’를 활용하고, 논리적 설득보다 정서적 ‘감동’을 강조하고, ‘품성’이나 ‘의리’와 같은 전근대적 수사법을 사용하는 것은 문자문화가 이전의 구술문화에 속한 신체들의 전형적 특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걸렸던 신학철 화백의 그림, 즉 농부가 쟁기로 미제 문화를 몰아내는 그림은 NL적 신체의 이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NL의 이상 속에는 미국에 반대한다는 네거티브한 요소와 산업화로 잃어버린 공동체적 삶에 대한 낭만적 동경이라는 포지티브한 요소가 공존한다. 80년대 운동권에서 NL이 주류로 떠오른 것은 흥미로운 현상이다. 그것은 한국인들 신체가 여전히 농경문화에 젖어있음을 말해준다. 해방 직후 한국 사회의 문맹률은 90%에 달했다. 오늘날 문맹자는 거의 없게 됐지만, 문자문화로의 진입이 그렇게 빨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한국인들의 신체는 여전히 구술문화의 특성을 강하게 갖고 있다.

PD와 기계적 신체
PD는 7~80년대에 이루어진 산업화의 정서를 대변한다. 재미있는 것은 군사정권에 대항하는 이들도 역시 ‘군대’의 은유를 즐겨 사용했다는 것이다. “깨어라 노동자의 군대”로 시작되는 인터내셔널가의 번역에는 기계와 결합한 노동자의 군대적 신체가 세계를 해방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담겨 있다. 농업생산과 달리 신체를 기계에 맞춰야 하는 산업생산에는 규율이 필요하다. 그것이 또한 혁명가들이 갖춰야 ‘철의 규율’이 된다. 이 표현에는 무기물(‘철’)을 유기적 신체의 모범으로 삼는 산업화의 이상이 반영되어 있다.

PD는 문자문화의 전형이다. NL이 인간을 믿는다면, PD는 텍스트를 믿는다. 그들은 인간관계보다 사상서적을 더 신봉한다. 이들에게는 품성보다는 논리가 중요하고, 의리보다는 원칙이 더 중요하다. 농경적 신체에게 이런 태도는 당연히 ‘차갑게’ 느껴질 수밖에 없었고, 논리보다 정서를, 원칙보다 인간미를 더 중요시하는 사회에서는 그 영향력이 일정하게 제한될 수밖에 없다. NL과 PD의 대립은 두 개의 다른 이념의 대립이 아니라, 실은 두 개의 다른 신체의 대립이다.

문자문화의 소산인 PD는 세계와 문자의 동일성을 굳게 믿는다. ‘자본주의를 알고 싶은가? 그러면 자본론을 읽으라.’ 이것이 문자문화의 상식이다. 하지만 80년대 말에 있었던 사회주의권의 붕괴가 이들에게 궤멸적인 타격을 주었다. 무너진 것은 사회주의만이 아니다. 더 중요한 것은 ‘세계(자본주의)=텍스트(자본론)’이라는 믿음이 무너졌다는 것이다. 바로 이때부터 텍스트에 대한 불신이 시작되고, 이들은 대거 ‘텍스트 바깥은 없다’는 포스트모던의 정신적 분위기 속에 빠져들게 된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역사주의’는 문자문화의 산물이다. 텍스트는 선형적이어서 거기에는 처음이 있고, 또한 끝이 있다. 창세가 있고, 종말이 있다. 가장 위대한 책인 성서는 창세기에서 시작하여 묵시론으로 끝난다. 마르크스의 역사도 원시공산주의에서 시작하여 발달한 공산주의사회로 끝난다. 포스트모던은 이런 문자문화적 사고방식의 종언을 의미한다. 종교적 의미에서든, 세속적 의미에서든 사람들은 더 이상 역사에 최종목적(telos)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

역사의 종언, 서사의 종언, 정치의 소멸, 그리고 주체의 죽음. 서구 자본주의가 후기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산업혁명기에 형성되었던 문자문화의 역사주의는 종말을 고한다. 이것은 그저 지적인 유행이 아니라, 새로운 생산력의 수준이 이전과는 다른 신체를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담론의 변화는 토대에서 일어난 어떤 변화를--앞서서 혹은 뒤늦게--반영할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굳이 사회주의권 몰락의 충격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어차피 한국사회에서도 ‘탈정치화’는 진행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물론 90년대 이후 한국이 정보사회로 진입한 것과 관련이 있다. 한 사회의 노동인구 중에 재화의 직접적 생산에 종사하지 않고 정보의 생산, 가공, 유통에 종사하는 이들의 비율이 절반을 넘을 때, 그 사회를 ‘정보사회’라 부른다. IT 분야에서 선두권에 속하는 한국은 이미 정보사회로 진입을 완료했다. 정보가 재화가 되고, 상품이 비(非)물질화하고, 소비가 기호화하고, 생산이 정신화하고, 노동이 오락화하는 사회는 당연히 과거의 산업적 신체와는 다른 신체를 요구하게 된다.

미래의 노동자계급
한때 인구의 90%를 차지하던 농민계급은 오늘날 인구의 10%로 줄어들었다. 산업사회로 이행하는 가운데 노동자계급이 농민계급을 해체시켜 버린 것이다. 산업사회에서 다시 정보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노동자 계급 역시 해체의 운명을 맞는다. 노동계급의 힘은 시간과 공간의 동일성에 기반한 조직력에 기초한다. 하지만 미디어는 시간과 공간의 동일성을 사라지게 만든다. 유비쿼터스의 시대에 ‘조직’이라는 말은 고루한 것이 되어가고 있다. 그 대신 새로운 관계맺음의 방식, 즉 네트워크가 등장한다.

산업사회에서는 산업노동자가 세계를 이끌어갔다. 하지만 정보사회에서 주요한 가치는 정보노동자들의 손으로 만들어진다. 이미 산업 노동자의 다수는 비정규직으로 전락하여 주변화하고 있다. 그들의 대다수는 ‘계급’이라는 이름의 집단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위탁업체와 개별 계약을 맺어야 하는 고독한 노마드로 존재한다. 한편, 노동계급 중의 상층부는 일종의 ‘엔지니어’ 혹은 ‘매니저’로 특권화한다. 이런 시대에 ‘노동자계급의 단결’이란 어쩌면 도달할 수 없는 목표일지도 모른다.

미래의 블루칼라는 PC방에서 게임에 몰두하며 정보사회에 필요한 디지털 반사신경을 발달시키고 있다. 미래의 화이트칼라는 고학력을 가지고 대기업의 연구소에서 이른바 ‘R&D’에 몰두하고 있다. 이 새로운 노동자들을 ‘프롤레타리아트’라는 산업사회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이들의 욕망을 과연 산업혁명기에 형성된 ‘계급의식’이라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낡은 좌파 이념을 리사이클링하는 것만으로는 지금 눈앞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보사회의 정치의식
빌렘 플루서는 정치를 ‘저개발의 정치’와 ‘과개발의 정치’로 구별한다. 저개발의 정치는 생존을 걸고 싸우는 처절한 투쟁으로서 정치다. 과개발의 정치는 일종의 퍼포먼스의 성격을 띤 놀이로서의 정치다. 이미 우리는 거리에서 두 가지 형태의 시위를 본다. 파이프와 화염병이 난무하는 투쟁으로서 시위. 그리고 문화 콘서트와 함께 열리는 촛불 집회. 한국에 저개발의 정치와 과개발의 정치가 공존하는 것은, 압축성장으로 인해 한국사회에는 과거, 현재, 미래가 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안티조선 운동은 네티즌들이 즐기는 가벼운 오락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노사모 운동은 온오프를 넘나드는 일종의 버추얼 리얼리티 게임으로 존재했다. 탄핵반대시위는 거대한 종합예술의 퍼포먼스로 진행되었다. 이것이 바로 놀이로서의 정치, 즉 과개발의 정치다. 그런가 하면 여전히 과잉진압으로 농민이 사망하고, 절망한 노동자가 분신을 하고, 시위대와 경찰이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저개발의 정치가 공존한다. 시위를 하는 취향의 차이는 당연히 신체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농경적 신체는 애써 기른 농축산물을 거리에 뿌려대며 절망감을 표현하고, 산업적 신체는 군대를 방불케 하는 조직적 전투로써 항의를 표현한다. 반면 정보적 신체는 비(非)물질적이어서 이런 저항의 물리적 방식에 거부감을 갖는다. 농경적, 산업적 신체에게 정치란 육체의 생존이 걸린 진지한 행위이나, 정보적 신체에게는 정치마저 비(非)물질화한 채로 가상, 유희, 오락의 영역에 편입된다. 저개발의 정치는 사양길에 접어들었고, 과개발의 정치는 이미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지난 대선은 보수신문이라는 활자매체 대(對) 방송과 인터넷이라는 영상매체의 대립으로 치러졌다. 그 결과가 어땠는지 우리는 알고 있다. 인쇄의 정치 대신에 영상의 정치가 들어선다. 공약은 흑백이다. 그것은 하얀 종이 위에 검은 잉크로 적힌다. 반면 이미지는 칼라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대중의 기억 속에 남은 것은 보라색과 초록색의 이미지뿐이다. 그 선거는 철저하게 가상으로 치러졌다. 문자로 공약을 하던 진지한 정치는 이제 시각적 스펙터클을 동원한 판타지의 정치로 바뀌어 가고 있다.

역사에서 신화로
역사는 문자문화의 소산이다. 문자문화의 종언과 더불어 역사주의 의식도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정보적 신체를 가진 오늘날의 젊은 세대는 더 이상 역사에 최종목표(telos)가 있다고 믿지 않는다. 해방된 미래를 위하여 현재를 희생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현재를 위하여 과거에 있었던 피억압의 기억을 조직해야 한다고 믿지도 않는다. 그들에게 미래는 그저 SF의 시간일 뿐이고, 역사는 그저 퓨전사극의 배경일 뿐이다.

시간이 클릭할 수 있는 공간이 될 때, 시간의 선형성에 대한 믿음도 약화된다. 그들에게 세계는 역사의 진행이 아니라, 동일한 이미지의 영겁회귀일 뿐이다. 때문에 정보적 신체를 가진 젊은 세대가 역사의식을 갖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이것이 텍스트 세대의 눈에는 ‘보수화’로 보일지 모르나, 이것은 진보나 보수의 이항대립을 넘어선, 완전히 차원이 다른 현상이다. 진보/보수의 이항대립은 선형적인 역사관을 전제하나, 정보적 신체는 이미 그 지평을 떠났기 때문이다.



문자로 씌어지는 역사가 사라진 곳에 영상으로 그려지는 신화가 등장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정치인과 학자들이 문자로 역사를 고쳐 쓸 때, 한국에서는 PD와 작가들이 미래주의적으로 역사를 영상으로 극화하고 있다. 방송 3사의 고구려 드라마가 일깨워준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역사의식’이 아니다. 판타지로 이루어진 황홀한 환각의 체험이다. 텍스트로 무장한 386세대의 역사적 의식은 디지털 영상으로 무장한 젊은 세대의 신화적 의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07. 05. 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thirsty > 더블린 사람들 (2) 우연한 만남(An Encounter)

 

<범례> * 이 글 시리즈의 처음인 더블린 사람들 (序) - 꼼꼼한 텍스트 읽기 참조.

김병철: 더블린 사람들, 문예출판사, 3판 1쇄, 1999. 2

김종건: 더블린 사람들 비평문, 범우사, 2판 4쇄, 2005. 8

김정환: 더블린 사람들, 창작과 비평사, 2쇄 1995. 9

민태운: 조이스의 더블린: 더블린 사람들 읽기, 태학사, 2005. 4

전은경: 전은경 홍덕선 민태운, 조이스 문학의 길잡이: 더블린 사람들, 동인, 2005. 6

Gifford: Don Gifford, Joyce Annotated: Notes for ‘Dubliners’ and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2n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Brown:James Joyce, Dubliners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Terence Brown, Penguin Classic, 1993에 있는 테렌스 브라운 교수의 서문(introduction) 및 주석(notes).

(대조검토용으로 표시하고 있는 원문의 페이지도 이 책의 것이다.)

Companion: Derek Attridge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James Joyce, 2nd ed. 3rd prin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Gifford, Brown 외국 저자의 책이나 영문 웹사이트의 한글 번역은 모두 필자가 )

 

 

1. 제목의 부정관사 번역

 

부정관사가 들어가는 제목을 가진 단편은 4개이다. 어떻게 번역했는지 보자.

 

구분

An Encounter

A Little Cloud

A Painful Case

A Mother

김병철

만난 사람

구름 한 점

끔찍한 사건

어머니

김종건

뜻밖의 만남

작은 구름

참혹한 사건

어머니

김정환

만남

구름 한 점

가슴아픈 사건

어떤 어머니

민태운

우연한 만남

작은 구름 한 조각

가슴아픈 사건

어떤 어머니

전은경

우연한 만남

작은 구름 한 점

가슴 아픈 사건

어머니

필자 의견

우연한 만남

작은 구름

가슴 아픈 사건

어떤 어머니

 

영어의 부정관사는 단수 가산명사 앞에 쓰여, (1) 대상이 정해지지 않은, 동일 종류의 아무 거나 하나라는 뜻으로 쓰이는 때가 있고, (2) 어떤(a certain, some) 이라는 뜻도 있다. 이는 대상은 정해졌지만 정체를 모를 때나 정체를 밝히고 싶지 않을 때 쓰는 말로, 화자와 청자 사이에 한쪽만 알고 있다고 추정될 때 쓰는 것임에 반해, 정관사 the는 화자와 청자의 인식 공유를 전제로 한다. (부정관사에는 다른 뜻도 있지만, 여기서는 위 둘이면 족하다).

 

우리말에서는 앞에 아무런 수식어가 없이 쓰인 단수명사가 일반적인 총칭이다. 사람을 예로 들어보자. (다른 동물과 구분되는) 종(種)으로서의 일반적인 사람을 말할 때면 사람이라 하지 굳이 사람들이라 쓰지 아니하며, 영어와는 달리 한 사람이라고 하면 틀린다. 반면 영어에서는 복수명사인 people이 총칭의 대표이며, 단수명사인 a person/the person으로도 때에 따라 총칭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어떤 사람은 위에서 설명한대로 당장은 정체가 밝혀지지 않지만 이제부터 차차 설명하려는 단수의 사람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앞에 관형사가 오면 좀 달라지는데, 아름다운 사람만으로 어떤 아름다운 사람의 뜻을 가진다. 즉 우리말에서는 형용사(아름다운)만으로 영어의 관사(어떤) + 형용사(아름다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제목을 보자. encounter보통 만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뜻하지 않은 만남, 우연한 만남, 조우(遭遇)라는 뜻이기에, An Encounter우연한 만남, 뜻밖의 만남, 어떤 조우가 적격이지, 하나의/어떤 우연한 만남, 우연한 조우는 모두 중복이라 어색하다. 그냥 만남만으로는 우연이라는 중요한 뜻이 빠지고, 만남 사람은 괜히 한 걸음 더 나아간 꼴인데, encounter만난 사람이라는 뜻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가 영어공부를 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기억하자. 역자가 번역기교상, 글의 내용을 감안하여 만난 사람을 굳이 썼다면, 그것까지 우리가 뭐라 그럴 계제(階梯)는 아니다.

 

똑 같은 논리를 적용하면 A Little Cloud, 번역상 작은 구름 하나/한 점 식으로 하나란 걸 강조할 수는 있지만, 작은 구름으로 족하다. A Painful Case의 번역에서는 아무도 하나, 어떤이란 군더더기를 붙인 사람은 없다. 또 여주인공이 기차에 몸을 던진 사건만 두고 보면 비록 참혹하다고 할 수 있지만, 전체 스토리 전개 및 주제에 따라 painful가슴 아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A Mother이 일반적인 어머니 이야기도 아니고, 우리 엄마 이야기도 아니고, 아무나 한 분의 어머니 이야기도 아닌 바에야, 왜 어떤 어머니가 좋겠다는 것인지는 이로써 설명된다.

 

 

2. the Wild West (p.11)

 

맨 첫 줄에 나오는 표현이다. 왜 두 군데 W가 하필이면 대문자이겠는가? 회장님의 방침 때문은 아니고, 미국의 서부지방(김병철), 황량한 서부지방(김종건)도 아닌 개척시대 미국 서부(김정환)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미국 서부도 아니고 황량한 서부도 아닌, 변경(frontier) 마을과 농지 개척, 금은의 발견과 채굴, 술과 여자를 둘러싼 보안관과 악당의 총질이 난무하던 미국의 그 서부를 말할 때만 이렇게 쓰는 것이다.

 

 

3. The Union Jack, Pluck, The Halfpenny Marvel (p.11)

 

2의 바로 다음 줄에 나오는 잡지 제목이다.

 

『더 유니온 잭』,『플럭』,『더 하프페니 마블』 (김병철)

《유니언 잭》,《담력》,《하찮은 경탄》 (김종건)

『더 유니온 잭』,『플럭』,『더 하프페니 마블』 (김정환)

『영국국기(The Union Jack)』,『담력(Pluck)』,『반 페니 불가사의(The Halfpenny Marvel』 (전은경)

 

 

영문으로만 적은 것은 괄호로 우리말 뜻을 병기하면(비록 한영으로 순서는 바뀌었지만, 전은경처럼) 훨씬 실감이 날 것이다. 한편 김종건유니언 잭은 번역이 안된다는 건지, 번역할 필요도 없이 알고들 있을 것이라는 건지 모르겠다. 또《하찮은 경탄》의 뜻은 누가 봐도 《별볼일 없는 놀라움》 아니겠는가? 실제로는 《반 페니라는 싼 가격으로 살 수 있는 ‘놀라움’》이라는 잡진데……(전은경, p.88에 이 잡지의 표지 사진이 실려 있다)

 

 

3. He had a little library made up of old numbers of the Union Jack, Pluck, and The Halfpenny Marvel. (p.11)

 

2와 같은 문장으로, 같은 문장을 번역가들이 얼마나 서로 달리 받아들이는지를 보여주고 싶다. 김정환 쪽이 제일 부드럽다.

 

그는 책부스러기를 좀 가지고 있었는데∙∙∙∙∙∙따위의 지난 호의 잡지가 대부분이었다. (김병철)

그는∙∙∙∙∙∙하는 낡은 소년 잡지들로 가득 채워진 조그마한 서재를 갖고 있었다. (김종건)

그는∙∙∙∙∙∙같은 소년잡지의 지난 호들을 한보따리 갖고 있었다. (김정환)

 

 

4. and the peaceful odour of Mrs Dillon was prevalent in the hall of the house. (p.11)

김병철 역본은 마치 딜론 부인의 냄새가 원문과는 반대로 나쁜 듯이 들린다.

 

집 현관방에는 딜론의 어머니가 풍기고 간 냄새가 코를 찔렀다. (김병철)

딜런 부인이 풍기고 간 아련한 냄새가 집의 현관 어디에나 어려 있었다. (김종건)

딜론 부인의 평안한 향기가 현관에 널리 퍼져 있었다. (김정환)

 

 

5. I could understand it( = 수업시간에 위의 소년모험잡지를 보는 것) if you were National School boys. (p.12)

소년들이 드디어 수업시간에까지 숨기고 잡지책을 보다가 신부님에게 야단맞는 장면이다.

 

아일랜드의 교육제도는 우리나라나 미국과 다를 뿐만 아니라 영국과도 달라서 헷갈린다. 아일랜드 사람인 Brown교수에 따르면, 1830년대 초 영국 입법가들에 의해 수립된 아일랜드 교육제도에서 National School은 우리로 치면 초등학교(Primary School)의 개념이라 한다(Brown, pp.246-247). 김병철은 이를 영국의 공립학교로, 사립학교인 public school, independent school, college와 대비되는 개념인 state school로 생각하는 듯하다. 미국의 유명한 조이스 해설가인 Gifford(1919-2000. 전 Williams College 교수) 역시 이를 미국의 public school에 대응하는 개념(Gifford, pp.36-37)이라고 했는데, 이는 일부만 맞는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만 아일랜드의 National School에 해당하고, 공립 중고등학교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국의 어린이들을 상대로 기초교육(a basic education with something of a practical emphasis for the majority of Irish Children)을 하는 학교를, 김정환처럼 직업 교육 위주의 국립학교(마치 국립기술중고등학교 정도로 들리지 않는가?) 라는 것도 이상하다. 영세 교육기관인 공립 초등학교와 비교했을 때, 주인공이 다니는 사립 초등학교 소속이 느끼는 우월감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네가∙∙∙∙∙∙만일 공립학교 아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김병철)

만일 네가∙∙∙∙∙∙등학교 학생이라면 이해할 수 있다만. (김종건)

너희들이 혹시 국립학교(직업교육 위주의 학교 역주) 학생들이라면 (김정환)

공립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본다는 것은 수치스럽다고 (전은경: 물론 이 책은 번역본이 아니고 해설서지만 이런 사실(facts)은, 강의할 때처럼 기억에 의존한다면 몰라도, 책으로 나올 때는 틀리면 안될 것이다. 반대로 해석했다.)

 

 

6. (Joe Dillon) and his fat younger brother Leo the idler(p.11)

and Leo Dillon was to tell his brother to say he was sick. (p.13)

Dillon 형제 중에서 Joe가 형이고, Leo가 동생임을 알 수 있다. 아래를 보라.

 

레오 딜론은 동생한테 시켜 몸이 아프다고 말하기로 했다. (김병철)

 

 

7. 고유명사(地名)의 번역: the Canal Bridge, the Wharf Road, the Vitriol Works (pp.13-14)

 

운하 다리, 부둣가, 유산염 공장 (김병철)

운하교, 부둣가, 황산염 공장 (김종건)

커낼 브릿지, 와프로(路), 비트리올 공단 (김정환)

왕립 운하 다리(Royal Canal Bridge), 부두 도로(Wharf Road) (전은경)

 

이것도 보자: the Pigeon House, the North Strand Road(pp.13-14).

 

피진 하우스 발전소, 노스 스트랜드 가(街) (김병철)

피전하우스 발전소, 노스 스트랜드 가도 (김종건)

피젼 하우스, 노쓰 스트랜드 로 (김정환)

피전 하우스(Pigeon House), 북 해변 도로(North Strand Road) (전은경)

 

책 전체를 통해 나타나는 지명(地名) 고유명사 번역의 혼란 중 일부이다. 번역에 그나마 원칙이 있는 것은 김정환 전은경인데, 나머지 두 사람은 편의대로 그냥 왔다 갔다(의역했다, 음역했다) 하는 데다가 그 혼란한 항목마저 똑 같다(필자가 이 두 번역본을 어디에선가 베낀 것으로 의심하는 이유 중 하나). 필자의 의견은 고유명사는 음역하되, 독자의 이해 편의를 위해 처음 나올 때만 괄호 안에 한글 뜻을 병기하고 그 다음부터는 그냥 고유명사로 취급해서 음만 적는 것이 합리적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예) 처음: 커낼 브리지(로얄 운하의 다리 중 하나), 그 다음부터 계속: 커낼 브리지

 

 

8. Mahony used slang freely, and spoke of Father Butler as Bunsen Burner. (p.14)

번역부터 먼저 보자.

 

머호니는 거리낌없이 상말을 썼으며, 버틀러 신부를 번저 영감이라고 불렀다. (김병철)

머호니는 속어를 마구 사용했으며, 버틀러 신부를 번저 영감이라고 불렀다. (김종건)

마호니는 은어를 거리낌없이 썼고 버틀러 신부를 번써 영감이라고 불렀다. (김정환)

 

셋 다 어디선가 베끼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부분이다. 도대체 원문 어디에 번저 또는 번써가 있단 말인가? Bunsen Burner(분젠 버너)는 1855년 독일의 R.W. Bunsen에 의해 발명된 강력한 가스 버너로, 화력이 좋아 화학실험실에서 사용되었고, 후일 각종 버너의 기본이 되었으며 분젠등(燈)이라고도 한다. 위의 책 역자들이나 그 시대와는 달리 요즘 독자들은 검색창에 분젠 버너라고 쳐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이 버너의 화력을 버틀러 신부의 성질에 빗대고, Butler-Burner의 운율을 맞춘 별명으로, 이윤기 장편소설 하늘의 문에 나오는 별명 불칼 신부라는 말과, 얼추 비슷할 것 같다. 버너(세게 읽으면 빠나) 신부는 조금 우습다.

 

한편 이번 글부터 빼기로 한 임병윤 역본(서문 및 앞의 글 참고)에는 기차 화통 영감이라 되어 있는데 역시 가독성만 앞세운 충실성 없는 번역이기는 해도 베끼지 않았다는 점에서 위의 것들보다는 낫다. 이 우스꽝스런 사태에 대한 필자의 추측은, 일본어 번역본을 포함해서 아마도 그 전 어디선가의 역본에서 (燔)씨(氏) 영감, 또는 가타카나(片假名)로 표기한 분젠 아니었을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번(燔)은 불사를 번이므로 오히려 원문을 그럴듯하게 한문으로 번역한 셈인데, 뒷사람들이 번씨는 아래 따브린처럼 나쁜 영어발음으로 또는 영어의 가타가나 표기(이게 쓰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마다 약간 달라질 수 있다)에 따른 발음상 문제로 간주하여 번저, 번써로 고치고, 그게 전해 내려온 꼴로 생각할 수 있으니 참 민망하다. 예전 우리나라 번역서들, 특히 문학작품이 원본 직역이 아니라 일본어 번역본에 의한 중역(重譯)이 대부분이었다는 것은 이미 다 알려진 사실이다.

 

조이스의 우리나라 번역은 이미 1930년대에 The Boarding House(하숙집, 최정우 역), Counterparts(샐러리맨, 양주동 역), 그리고 역자 미상의 A Little Cloud이 나옴으로써 시작되었다(김병철, 작품 해설, p.308). 또 1960년에 부분 번역본인 『더블린 사람들(여석기, 나영균 공역, 동아출판사)』이 나왔고, 최초의 완역서는 역시 1960년에 나온 『따브린 사람들(박시인 역, 을유문화사)』이라 한다. 특히 이 후 번역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는 박시인 역본의 경우 적지 않은 오역과 원문 누락 등 부정확한 부분이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어 작품 이해에 지장을 줄 정도이며, 가독성과 작품 이해에서도 크게 미흡하다고 한다(영미명작, 좋은 번역을 찾아서,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 창비, 2005. 5, pp. 411-414). 필자의 사정상 이 초기 번역본들을 참조하지 못한 점은 아쉽게 생각한다.

 

 

9. I came back and examined the foreign sailors to see had any of them green eyes for I had some confused notion. (p.15)

 

우선 문법적으로 밑줄 부분을 생각해 보자. (to see) Have they green eyes?(미국식으로는 하면 Do they have green eyes?)를 간접화법으로 바꾸면, (to see) if any of them had green eyes가 되고, 여기에서 if를 생략하고 주어 동사 도치를 일으켰다고 생각하든지(If I were you를 Were I you로 도치하는 것과 같은 문법 현상), 아니면 직간접 화법이 혼합된 조이스 특유의 자유간접화법(free indirect discourse)으로 봐도 좋다.

 

한편 여기서 green eyes가 뜻하는 바를 모르면 문장의 속뜻 이해가 어려울 것이다. 호머의 서사시 주인공이자, 바로 조이스 필생의 테마인 오디세이(율리시스)가 바로 녹색 눈을 가졌다고 하며, 이는 항해와 모험을 암시한다는 것이 통설이지만, 역주를 단 책은 없다. 뒤에 다시 괴짜 영감이 암록색 눈을 가진 것까지 합해서 두 권의 해설서(민태운, 전은경)에는 언급이 된다.

 

 

10. All right! All right! (p.15)

김병철(p.28)의 번역이 재미 있고 옛날 생각이 나게 해서 옮겨 본다. 오라이! 오라이!

 

옛날하고도 옛날, 전철이라고는 없던 시절, 시내 버스에 안내양(그때는 차장이라 했다)이 있었고, 버스가 대중 교통의 주종이라서, 출퇴근길, 등하굣길 버스는 엄청 붐볐다. 요즘 지하철 한창 붐빌 때는 저리 가라 할 정도였고, 차비 받는 것 외에도, 일본 지하철에서 사람 밀어 넣고 문 닫는다는 push man 역할을 이 안내양들이 겸했었다. 마지막 승객을 다 밀어 넣은 안내양은 자신이 올라타기 직전에 꼭 차체를 손바닥으로 두들기며 외쳤다. 오라이! 오라이! 요즘도 가끔 차량과 관련된 곳에서는 이 용어를 들을 수 있다.

 

 

11. when we reached the field we made at once for a sloping bank over the ridge of which we could see the Dodder. (p.16)

 

(우리는) 들판에 다다라 곧 경사진 둑 쪽으로 향했는데, 그 산마루 너머로 저만치 도더 강이 보였다. (김병철)

(우리는) 들판에 도착하자 이내 경사진 둑 쪽으로 향했다. 그곳 산등성이 너머로 도더 강을 볼 수 있었다. (김종건)

우리는 즉시 경사진 둑을 향해 갔고, 그 등성이 너머로 도더강(리피강의 지류 중 하나 역주)이 보였다. (김정환)

 

원래 문장을 둘로 쪼개보자(관계사절은 머리 속으로 이렇게 해보면 이해가 쉽다).

We made at once for a sloping bank.

We could see the Dodder over the ridge of the sloping bank.

sloping bank가 두 번 나오므로 관계사를 이용하면 한 문장으로 만들 수 있다. 전치사 of의 목적어이므로 of which로 바꿀 수 있다. 의미단위인 over the ridge of which가 앞으로 나가면 원래 문장이 된다. 즉 무엇의 ridge(능선)냐 하면 경사진 둑의 마루/등마루/능선/등성이(ridge)란 말이다. ridge를 경직되게 산마루로 해석하니까, 이런 번역이 나오는 것이다. 도대체 둑에 웬 산마루, 산등성이란 말이며, 그것도 똑 같이 틀리고 말만 살짝 바꾼 것이 앞의 두 책이다.

 

 

12. He was shabbily dressed in a suit of greenish-black and wore what we used to call a jerry hat. (p.16)

둑 경사면에 앉아 쉬고 있는 두 아이들 앞에 괴짜 영감이 나타난 장면이다.

 

(그는) 푸르스름한 검은 양복의 초라한 차림에, 제리모라고 우리가 늘 부르던 꼭대기가 높은 모자를 쓰고 있었다. (김병철)

그는 푸르스름한 검정 양복을 초라하게 입고 있었고, 우리가 보통 제리 모자라 부르는 춤 높은 모자를 쓰고 있었다. (김종건)

그는 꾀죄죄한 검은 녹색의 옷을 입었고 우리가 보통 날림 벙거지라고 부르는 춤 높은 모자 쓰고 있었다. (김정환)

중절모에 초라한 검푸른 빛 양복을 입고 (전은경)

 

 

Jerry hatround, stiff felt hat (Gifford, p.39. Brown, p.250), 즉 모양이 둥글고, 속에 심을 넣어 춤(모자의 꼭대기 = crown), 챙 또는 테두리(= brim) 등이 일그러지지 않고 단단하며, 양모, 동물의 털, 합성 섬유 등을 섞어 겉에 보풀이 일도록 짠 펠트 천으로 만든 춤이 높은 모자로 우리말로는 중산모(中山帽)라고 한다. 이는, 원래는 실크(silk)로 만들고 품이 아주 높으며 귀족들만 쓰던 최고급모자였지만 요즘은 주로 마술사들이 재료보다는 모양만 흉내 내어 쓰는 top hat(실크 해트)보다는 격이 낮은 모자다. 설명은 길었지만 찰리 채플린 모자가 이 jerry hat이었으며, derby hat, bowler hat도 이와 같은 것이다. 앞의 두 책은 그런대로 직역해버렸지만, 이번에는 김정환이 이상한 번역을 했다. 벙거지는 원래 우리나라 옛날 장수들의 전립(戰笠)을 말하였지만, 그냥 요즘은 모자라는 뜻으로도 쓰이며, 날림이란 모자를 머리 한쪽에 비뚜름하게 쓴 모양을 일컫는다. 벙거지를 삐딱하게 쓴 외국사람은 우리나라 민속촌에서나 볼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모자의 중간이 딱딱하지 않고 가장 격이 낮은 중절모(中折帽 = soft felt hat, fedora) 따위야 날림으로도 쓰겠지만, jerry hat은 딱딱해서 날림으로 쓰기 어려울 뿐더러 원문에도 날림이란 말은 없다. 더구나 벙거지춤이 높은 모자도 아니다. 우리말 사용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글이란 앞뒤 전체가 호응을 해야 한다는 말이다. 김정환이 이렇게 불쑥 순 우리말을 쓴 다른 예를 들면, 가납사니(gossip, p.37), 흘게 늦은(slatternly = 몸가짐이 헤픈, p.70) 외에도, 찬장(safe, p.8), 살강(sideboard, p.13), 찬장(sideboard, p. 233) 살강(sideboard, p.233)처럼 같은 영어표현이 왔다 갔다 한 경우도 있다.

 

 

아래 사진은 앞에서부터 차례로 전립(벙거지), jerry hat(중산모, bowler hat, derby hat), 중절모(fedora), 그리고 실크 해트(top hat)이다.

 









 

 

 

 

 

  

 

13. I had to suggest going home by train before he regained any cheerfulness. (p.16)

이런 문장은 물론 뒤에서부터 해석하여 ~하기 전에 ~ 했어야만 했다라고 해도 되지만, 문장에 따라 앞에서부터 해석하여 ~ 해야만 했고 그러자 ~ 했다라고 하지 않으면 우스꽝스러울 때도 있다. 예를 보자.

 

그가 쾌활한 생각을 되찾아 장난을 하기 전에, 나는 갈 때는 기차를 타자고 제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김병철)

나는 그가 쾌활한 기분을 되찾기 전에 기차를 타고 집으로 가자고 제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김종건)

 

이 두 번역은 마치 그가 다시 쾌할 해질까봐 겁이 나서/두려워(lest he should gain any cheerfulness, for fear that he should gain any cheerfulness, for fear of his regaining cheerfulness) 미리 기차 탈 것을 제안한 것처럼 들린다. 이 걱정이 기우가 아닌 것이 실제 그런 역본이 있다. 우리가 논의에서 빼버리기로 했지만 위 8에서 언급한 임병윤 역본을 한번만 더 보자.

 

녀석이 다시 놀 기분이 생기면 안된다 싶어 갈 때는 기차를 타고 가자고 재빨리 말했다.

 

 

제대로 된 자연스러운 번역과 비교해 보자.

 

내가 전차를 타고 가자고 제안하고 나서야 (그는) 기분이 조금 나아졌다. (김정환)

 

 

기차 대신에 갑자기 전차(?)*가 나온 것은 조금 이상하지만(이 번역본 다른 어디도 train을 전차로 번역한 곳은 없다. 전차는 tram, streetcar, trolley car이다.) 어쨌든 문장이 무슨 뜻인지는 명확해졌다.

 

, 기차나, 전차나 그게 그거 아니냐?고 할 사람들을 위해 이 시기 더블린 근처의 전차(電車)에 대해 알아보자면, 우선 더블린 시내의 tram(궤도 마차) 189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 사이에 전차로 바뀌었으며(Gifford, p.162), 시 외곽의 경우 더블린 중심에서 남동쪽으로 향하는 더블린-킹스타운-달키(Dublin-Kingstown-Dalkey)를 잇는 간선도로인 the Rock Road의 한복판에 tramtrack(궤도길)이 있었고, 말이 끄는 궤도차가 운행되다가, 1896년부터 전차(electric tram/tramcar)가 운행되었다는 기록이 있다(Gifford, p.161). 하지만, 지금 어떤 만남 이야기는 대략 1890년대 초, 더블린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가는 철도선인 The Great Northern Railway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다(Gifford, pp.24-25, 35). 증기기관이 산업혁명을 선도했던 만큼 1834년에 이미 건설이 시작된 아일랜드의 철도에서는 석탄을 연료로 증기기관차가 이끄는 열차가 다니고 있었다. 위 마차나 전차의 궤도(tramtrack, tramline, tramway)는 선로나 폭(幅)에서 철도(railway)와는 물론 다르다.

 

한편 Portrait 2장 앞에 보면 바로 이 tramtrack 이야기가 나오는데, 시간상 이 때도 역시 1890년대 초이지만 위의 이야기보다는 순서상 앞선 시기이므로, 이 궤도 위로 말이 이끄는 마차가 다니던 때였다. “…he heard the mares hoofs clattering along the tramtrack on the Rock Road (James Joyce,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edited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Seamus Deane, Penguin Classics, 2003, p.67). 이상옥 역, 젊은 예술가의 초상, 민음사, 1판 21쇄, 2007. 3, p.102에는 위 문장이 암말의 발굽이 로크 로(路)의 철길*을 뚜벅뚜벅 걸어갈 때라고 번역되어 있다.

* 철길은 보통 철도(railway)를 말하지만, 마차 궤도 역시 쇠로 되어 있었으므로 철길로 간주할 수 있다. 로크 로의 궤도를 뚜벅뚜벅은 좀 이상하다.

 

또 바로 뒤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from the window of the railway carriage, in which he had sat with his redeyed mother, Stephen had seen them( = 스티븐 가족의 이삿짐을 실은 마차) lumbering heavily along the Merrion Road.(James Joyce, 위 책, p.68). 울어서 눈이 벌겋게 된 어머니와 함께 타고 있던 객차의 창을 통해서 스티븐은 그 마차들이 메리온 로(路)를 따라 무겁게 덜컥거리며 지나가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다.(이상옥 역, 위의 책, p.103). 가세가 영락한 스티븐( = 조이스) 가족이 드디어 한갓진 중산층 교외 주택가인 Blackrock을 떠나 더블린 시내 빈민가로 이사를 가는 장면이다. Merrion Road는 위 단락의 Rock Road가 계속 이어지는 길로 해변과 철길 사이를 지나가기 때문에, 이삿짐은 짐마차에 실어 Merrion Road로 보내고, 철도로 가고 있는 주인공의 눈에 마침 차창을 통해 그 마차들이 보이는 우울한 풍경이다.

 

 

이야기가 너무 옆으로 흘렀다. 다시 번역으로 돌아가서 다른 걸 하나만 더 보자.

 

I had to call the name again before Mahony saw me and hallooed in answer. (p.20)

 

머호니가 나를 알아보고서 어, 하고 대답하기 전에 나는 또다시 그 이름을 부르지 않을 수 없었다. (김병철)

머호니가 나를 보고 어이하고 대답하기 전에 나는 다시 그의 이름을 부르지 않을 수 없었다. (김종건)

내가 이름을 다시 한번 부르고 나서야 마호니는 나를 보았고 대답으로 큰 소리를 질렀다. (김정환)

 

 

14. 너무 비판만 하는 것은 한쪽 눈을 감은 것과 마찬가지이니, 필자 생각에 번역이 잘됐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한 군데 소개토록 하겠다.

 

하루 학교를 땡땡이치고 놀러 가기로 한 주인공 소년이 아침 일찍 약속장소인 다리에 와서 친구를 기다리는 장면이다. 비록 오후가 되면 엉망이 되겠지만 이 시점에서는 얼마나 기분이 부풀었겠는가?

 

It was a mild sunny morning in the first week of June. I sat up on the coping of the bridge, admiring my frail canvas shoes which I had diligently pipeclayed overnight and watching the docile horses pulling a tramload of business people up the hill. All the branches of the tall trees which lined the mall were gay with little light green leaves, and the sunlight slanted through them on to the water. The granite stone of the bridge was beginning to be warm, and I began to pat it with my hands in time to an air in my head. I was very happy. (p.13)

 

때는 6월 첫 주의 따뜻하고 맑은 아침이었다. 나는 다리 난간 꼭대기에 올라앉아 내가 밤새도록 열심히 백토칠을 한, 해지기 쉬운 운동화를 보면 감탄하거나, 또 일하러 가는 사람들을 가득 실은 마차를 언덕 위로 끌고 가는 유순한 말들을 쳐다보고 있었다. 산책길을 따라 쭉 늘어선 키 큰 나무들의 모든 가지들은 작고 연초록빛 나는 잎들로 반짝이는 듯 보였고, 햇빛은 비스듬히 그들 사이를 뚫고 물 위를 비추고 있었다. 다리의 화강암이 따뜻해지기 시작했다. 그러자 나는 머리 속의 곡조에 박자를 맞추어 두 손으로 돌다리를 가볍게 두드리기 시작했다. 나는 사뭇 행복했다. (김종건)

 

 

*          *          *

 

 

소년의 나이는 첫 단편의 소년보다는 연장자로 보이는데, 나이는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8살이나 9살 정도로 추측된다. (전은경)

 

이 단편에서 소년들이 다니는 학교의 모델은 조이스 자신이 다녔던 벨베데어 칼리지(Belvedere College)로, 예수회에서 운영하는 주간 학교(day school: 기숙 학교가 아님)이다(Gifford, p.36, Brown p.246). 비록 가정 형편 때문에 2년 정도 교육의 공백이 있었지만, 조이스가 이 학교에 입학한 것은 11세(1893년) 때였다.

 

 

독자 여러분께 자매와 이 우연한 만남의 주인공 소년의 극중 나이는 몇 살로 보이는지?

필자는 앞의 것에서는 7-8세, 뒤의 것에서는 10세 전후로 생각한다.

 

물론 위의 물음에는 의견은 있어도 정답이 있을 리 없고, 각자의 상상에 맡기는 것이 맞지만, 사람들은 조이스 책을 볼 때는 유난히 이런 걸 따지기 좋아하여, 어떤 책에 나오는 어떤 사람이 뒤의 어떤 책에 다시 나오며, 어떤 상점도 나오더라, 어떤 표현이 나오더라 등등 이러다 보니, 아무리 자서전적 요소가 강하다 하더라도 조이스의 유명한 책들이 주로 소설이라는 걸 잊어먹는 경향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조이스 산업(Joyce Industry: 조이스 책의 판매, 해설, 해설서의 판매, 대학에서의 학위 따기 및 수여, 관련 논문, 관광산업에 이르기까지 조이스와 관련된 사업을 흔히 이렇게 부른다)은 오늘날 너무 번창해서, 그 상품인 수많은 주석들이 오히려 온전한 독서를 방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무를 너무 열심히 보면 숲을 놓치는 법이다. 우리가 다른 작가의 책을 볼 때도, 이렇게 많은 해설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라. 물론 여기에는 조이스 자신의 기법인 self-referentiality(자기참조성)과 극도로 설명을 아낀 점도 작용하지만, 조이스 산업계가 부추긴 점도 있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제임스 조이스 하면 엄청나게 어려운 책을 쓴 괴물이나 돌아버린 천재 정도로 아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제임스∙∙∙, 누구?라고 할 사람도 많다는 점에서 조이스 붐은 없다고 본다. 필자도 위와 같은 현학적인 경향에 빠지지 않도록 영어공부에 주력하고, 주석은 꼭 필요하든지 틀리게 알려진 부분만 언급하도록 노력하겠다. 이런 점에서 아래 시(詩)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시를 쓴 Patrick Kavanagh(1904-1967)는 조이스와 같은 아일랜드 출신으로, 어떤 조사에 따르면 예이츠(Yeats)에 뒤이어 아일랜드 사람이 좋아하는 시인 2위로 뽑힌 적이 있다고 한다.

 

 

Who killed James Joyce?

(누가 조이스를 죽였나?)

I said the commentator.

(내가 그랬어, 라고 평론가가 말했다.)

I killed James Joyce

(내가 그를 죽였다네)

for my dissertation.

(내 학위 논문을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未知生焉知死 > [퍼온글] *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와 정보사회(1)

* 자율평론 제 2호

 

이글은 닉 위데포드의 'Autonomist Marxism and the Information Society'를 번역한 글이다. 닉 위데포드는 현재 미국에서 자율주의를 소개하는 대표적인 인물중의 하나이다. 그는 이글에서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 하에서 자율주의가 등장하게되는 배경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네그리를 중심으로한 이러한 자율주의가 탈근대 사회이론과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전문이 번역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다음호에 후반부가 완역되어 실릴 예정이다. 미숙한 번역이라, 영어본을 링크시켜야 했으나 불행히도 인터넷 상에서는 이 글을 찾아 보기가 어렵다. 이 점 양해해 주시길 바란다. ■ 역자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와 정보 사회(1)




닉 위데포드



이 논문은 컴퓨터화된 자본과 탈근대적 문화의 시대에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의 적절성을 주장한다. 대략적으로 말해서, ‘자율주의적 맑스주의’는 노동계급의 자기-활동성을 그것의 중심에 놓는 맑스주의의 전통(깊은 역사적 뿌리와 폭넓은 국제적 확산의 전통1))을 나타낸다. 하지만 아마도 그것의 가장 발전된 동시대적 표현은 1960년대와 70년대 동안 이탈리아 노동자들, 학생들 그리고 페미니스트들의 투쟁의 발생이며, 내가 여기서 초점을 맞출 점은 라니에로 판찌에리, 마리오 뜨론띠, 세르지오 볼로냐, 마리오로사 달라 꼬스따, 프랑코 베다디, 안토니오 네그리와 같은 혁명적 지식인들의 저작 내에서 공식화 되었다는 점이다.2)1979년 이탈리아 신좌파의 소요가 붉은 여단에 반대하는 반-폭동이라는 구실 하에 폭력적으로 진압되었을 때, 이 혁신적 이론체의 발전은 돌연 중단되었고, 그 후에 그 신좌파의 입장이 갖고 있는 이교도적인 방향(신자유주의자, 소비에트형식의 노멘클라투라, 사회민주주의자들같은 것에 대한 증오)은 심지어 좌파 내에서 조차 그 이론을 위해서 은밀한 실존을 확보했다.3)그러나 그 이론이 원래 기초하고 있던 운동의 파괴에도 불구하고,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의 끈은 새로운 변이를 겪으면서, 그리고 새로운 관계를 만들면서 계속 발전하였다.4)

사실상, 이탈리아 자율주의적 전통을 파헤치는 나의 목표는 고고학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나는 이 이론들이 만일에 혁명적인 좌파들이 있다고 가정해 보면 그들의 전망을 둘러싼 오늘날의 논쟁에 중심적인 쟁점을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특별히, 그것들은 우리가 자본주의적 발전의 변별적인 새로운 시대(‘후기-산업주의’,‘포스트 포디즘’,‘탈근대 자본주의’와 같은 문구로 폭넓고 다양하게 논의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는 전망에 직면한다. 이 국면의 두드러진 특징은 공장 자동화, 지구적 이동성 그리고 사회감시의 전례없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정보기술(컴퓨터와 통신) 자본이 방대하게 배치되고 있다는 것에 일반적으로 동의되고 있다. 지난 20년간에 걸쳐, 일부 이탈리아 자율주의자들의 작업, 특히 네그리의 작업은 이 거대한 정보적 기구의 의미에 더욱 많은 주의를 기울여 왔다. 그들의 분석을 특히 중요하게 만드는 점은 단지 자본주의적 지배의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노동계급 투쟁의 잠재적 자원으로서 지식과 소통의 새로운 형태에 관하여 열어놓은 전망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네그리와 그의 동료들이 논의되는 것은 >정보사회>에 대해 전복적인 반-해석자로서이다. 이러한 독해는 하이테크놀러지에 대한 여타의 매우 다른 맑스주의적 반응들 간의 쟁점을 그리고 새로운 사회운동과 탈근대적 문화에 대한 일부 유행적인 분석들간의 쟁점을 필연적으로 다룬다(그리고 실로 이탈리아 자율주의자들의 작업에 대한 독해가 맑스에 대한 하나의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독해라는 점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그것의(비유행적인) 논지는 >맑스를 넘어선 맑스>(네그리 1984)까지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의 지속적인 연구가 공동체와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적으로 대안적인 시각으로 정보화시대 자본과 직면할 수 있는 21세기 코뮤니즘의 재구축을 향한 길을 열었다는 점이다.

정보사회와 자본의 승리


자본의 지구적 승리에 대해 최근의 유행하는 찬사 내에서, 두가지 주제가 서로 얽히면서 상호옹호하고 있다. 그것은 정보사회의 부흥과 맑스주의의 붕괴이다. 우리는 하이테크놀러지가 컴퓨터와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편재(遍在)에 의해, 과학기술의 전례 없는 속도에 의해, 지식기반의 경제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문명화의 새로운 단계를 향하여 지구를 끌고 가고 있다고 이야기된다. 사회주의권의 불명예스런 붕괴는 지금 출현하고 있는 현실을 따라 잡을 수 없는 절망적인 맑스주의 세계관내의 의고주의의 탓(고성능 기계의 시대에, 상징적 데이터의 물질적 중요성을 가려버린 ‘토대/상부구조’의 시대에, 늘-확산되고 있는 전자 매체의 억압에 예속된 ‘프롤레타리아 독재’시대에 ‘노동가치론’을 고수한 대가)으로 돌린다(예를 들어, Brzezinski 1988; Toffler 1990; Ohmae 1991). 반대로, 북아메리카, 일본, 유럽의 선진 자본주의는 그것의 기업체, 개방성 그리고 민주주의의 덕택으로, 정보화 시대의 풍요한 이득을 뿌리고 거둬들이기에 적합한 독특한 사회의 형태로 간주된다.

그러한 생각들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1960년 후반, Daniel Bell(1973), Zbigniew Brzezinski(1973) 그리고 Peter Drucker(1968)와 같은 이론가들이 처음 ‘탈산업’사회, ‘전자기술시대’ 사회, ‘지식’사회의 도래를 예고했을 때, 그들의 연구는 자본주의가 격렬하게 그것의 내부적 모순에 압도되고 말 것 이라는 맑스주의적 테제에 대한 반박으로 명백하게 짜여졌다. 기술적 성장에 대한 무한한 지평을 선언하면서, 그들은 산업주의의 변천을 넘어 풍요함과 안정성의 화려한 새로운 세계로의 평화로운 진화를 예견했다. 반면, 신좌파와 학생운동이 연합된 탈산업사회이론의 좀더 비판적인 흐름이 있는데(알랭 투랭의(1971) ‘프래그램된 사회’에 대한 반-과학기술 중심주의적 생각과 같은), 두 판본은 프롤레타리아 투쟁을 쇠퇴하고 있는 중공업의 시대의 더러운 유물로 간주하면서, 근본적으로 맑시즘과 결별하였다.

70년대 경제적 위기의 예기치 않은 회귀는 맑스주의를 단순한 유행으로 취급하려한 그러한 미래학이나 격앙된 맑스주의자들을 간단히 고사시켜 버렸다. 그러나 수년 내에 탈산업주의의 기본적인 명제들은 배가된 힘으로 소생하였고, 현재 그것은 ‘정보 사회’라는 일본식의 상표를 달고 다시 출현하고 있으며, 정신적 삶과 생물학적 삶의 기본적 요소들을 재구성하기 위해 극소 전자학과 유전공학의 놀라운 능력에 집중되었다. (Bell 1979; Beniger 1986; Dizard 1982; Masuda 1980; Nora and Minc 1981; Oettinger 1980; Porat 1977,1978). 국가와 기업 후원자들에 의해 길러지면서, 초소형 컴퓨터의 대중판매에 끌려가고, 토플러(1970; 1980; 1990)나 내스벳(1982)과 같은 인기인들에 의해 넓게 확산되면서 정보기술 비트의 매력은 1980년의 문화 속으로 스며든다.

‘사회주의로부터 사회적 변화의 언어를 빼앗기 위한’(Webster and Robins 1981, 250) 손쉬운 방법으로 제공된 ‘정보 혁명’의 개념과 상승하는 신자유주의와의 즉각적인 절합이 있다. 국내적으로, ‘피할 수 없는’ 과학 발전의 요구가 기술적 변화에 대한 노조의 저항을 호되게 꾸짖기 위해 전개된 반면, 국제적으로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에 대한 주장은 시장의 지구적 재조직화에 사활적인 요인이 되었다. 1990년대, 냉전 승리에 격앙되어 실리콘선동가들은 테크놀로지가 마침내 계급 갈등의 유령을 몰아내 새로운 행성의 질서의 비젼을 창조하기 위한 『역사의 종말』(후쿠야마 1992)의 기대와 융합하였다.

미래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의 이러한 상을 가로질러 하나의 붉은 선이 그어진다

자율적 테크놀러지와 자율적 노동자


정보화사회이론은 정보기술을 미래의 경제, 문화 그리고 정치를 추진하는 주요한 추동자로 제시하는 ‘자율적 테크놀러지’(Winner 1977)의 교의이다. 만일 어떤 맑스주의가 그러한 결정주의와 논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이는 확실히 그 전제 안에 부분적으로 연루되어 기 때문이다. 생산력을 시대착오적인 사회관계를 가차 없이 분쇄하는 역사의 동력으로 인식하는 ‘과학적 사회주의자들’은 사회주의 그 자체를 진보의 행진을 만드는 기계에 대한 족쇄로 묘사하면서, 그들의 논리를 전유하여 반발하는 대항이론에 답하는데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몇몇 탈산업주의적 스승들이 >멧돌은 당신에게 봉건영주들의 사회를 제공하며, 증기동력은 당신에게 산업자본가들의 사회를 제공한다>는 맑스(1963, 109)의 아포리즘을 너무나 잘 배웠을 뿐인 과거 사적 유물론적 학생들이었음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그리고 그들은 초소형 컴퓨터와 통신위성에 기반한 새로운 시대를 외삽하듯이 추론해 내는데 주저하지 않는다.5)

그러나 자율주의적 맑스주의는 인간의 자율성과 관계가 있지 기계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것은 생산력의 기술적 진보가 아닌 창조하는 자들과 전유하는 자들 사이의 갈등에 집중하는 맑스주의이다. 그것의 핵심에 노동과 자본의 관계, 즉 생산수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자본가의 잉여가치를 뽑아내기 위해 산노동력을 팔 것을 강요받는 노동자들의 착취관계에 대한 맑스의 정통한 분석이 놓여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을 정교화하면서 대부분의 서구 맑스주의자들은 단지 지배적이고 냉혹한 자본의 논리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왔다.6)

자율주의자들이 재발견한 것은(물리에가 그것을 전후 맑스주의내 에서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이라고 칭할 만큼 놀라운 것은) 맑스의 분석이 자본의 힘이 아닌 노동의 힘을 긍정하였다는 것이다.

자본주의적 계획의 수동적 객체이기는 커녕, 노동자는 생산의 능동적 주체이며, 자본이 끌어내야만 하는 기술과 혁신 그리고 협동의 원천이다. 더욱이 노동하는 주체는 능동적일 뿐만 아니라, 적대적이다. 자본은 >절대적>으로나(노동일을 늘임으로써), >상대적>으로나(노동의 강도나 생산성을 향상함으로써) 착취를 최대화 할려고 한다. 그러나 노동자들은 일상의 실천과 조직된 투쟁 속에서 그들 자신의 매우 다른 계획들을 끊임없이 개시한다. 단지 노동력으로 환원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안전하고, 충분한, 충만한 삶을 추구하면서 그들은 임금 수준을 올리거나 노동일의 기간이나 속도를 줄임으로써 자본에 도전하는 대항논리를 전개시킨다. 노동자들 스스로가 생산한 가치를 되찾기 위한 그들의 이러한 노력은 단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노동력을 지배하고 있는 자본의 정치적 명령에 대한 타격이다. 그들이 가리키는 전망은 자본으로부터 노동의 분리이다. 궁극적으로 자본은 노동을 필요로 하지만, 노동은 자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생산의 근원으로써의 노동은 임금 관계없이도 살 수 있다. 그것은 잠재적으로 자율적이다.

이런 전제로부터 자율주의자들의 가장 독특한 교의 즉, 마리오 뜨론띠가 처음 공식화 했던(1979) >투쟁의 역전>에 대한 교의가 나왔다. 이는 실제로 자본주의적 발전의 동력을 제공하는 것은 노동자들의 투쟁임을 제안한다. 자본은 그 자체의 원초적 본체로부터 새로운 기술들과 조직을 짜내면서 일방적이고, 비분할된 자기-함의적인 논리에 따라 전개시키지 않는다. 오히려 자본은 불가결하고 적대적인 병합된 타자의 항상적인 압력에 반작용하면서 내적적대에 의해 추동된다. 자본이 그 스스로 발전하여 완성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는 것은 이런 적들 내의 점점 커가는 힘들을 제압하고, 분쇄하여 좌절시키기 위해서 이다.

중심적 심급은 기술적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그것의 충동이다. 판찌에리는 훨씬 뒤의 테크놀러지 비판에 전조가 되는 선구적인 논문에서 객관적이고, ‘진보적인’ 경향성으로서의 기술-과학적 발전에 대한 좌파적 관점들과 단호하게 관계를 끊는다. 오히려『자본』에서 기계류에 관한 초기 도입부의 장으로 돌아가, 그는 자본주의가 끊임없는 기술적 혁신을 노동계급에 맞서는 ‘무기’로서 의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생산 과정내에 포함된 산 혹은 ‘가변’자본에 비교하여 죽은 혹은 ‘불변’자본의 비율을 증가시키려는 경향성이 전자가 잠재적으로 경영진이 전장에 휩슬려 있는 전복적인 요소이며, 그 전복적 요소는 각각의 지점에서 통제되고, 파편화되고, 축소되고, 궁극적으로 제거되어야만 한다는 사실로부터 정확하게 발생한다고 주장했다.7)

단순하게 기술적 합리화의 과정을 승인하는 것은 이 과정 내에서 강화되고 있는 것이 자본주의적 합리성이다는 것을 무시하는 것이다. 이는 기술적 변화가 노동계급을 위한 근본적이고 정치적인 기회를 열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보게 되겠지만, 자율주의자들은 이런 장내에서의 용감한 실험가들이다). 그러나 이는 그러한 변화가 자동적으로 해방이다는 개념을 거부하는 것이다. 기술적 발전이 ‘기계의 사회주의적 이용’에 어떤 가능성을 끝까지 지지한다 할지라도 그것은 노동계급의 불복종이 ‘총체적으로 전복적인 성격’을 실현 한다(Panzieri 1980, 57; 1976, 12)는 정도만큼 만이 포착될 뿐이다.

정보 기술 대 대중 노동자; 신-러다이트 운동


이런 전망으로부터, 정보 테크놀러지의 확산은 선형적이고 보편적인 과학적 진보로서가 아니라 자본과 노동사이의 투쟁의 순환내에 하나의 계기로서 나타난다. 전투원들의 상대적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자율주의자들은 단지 노동에 대한 기술적이고 사회적인 분할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문화적 환경, 조직 형태들 그리고 정치적 방침에 의해서 결정된 ‘계급 구성’의 개념(각각의 편의 내부적 통일성, 자원들, 의지의 척도)을 도입한다.8)

노동계급의 응집력이 성장함에 따라, 자본은 그것에 반대하는 조직화를 ‘해체시키기’위해 경제력, 기술력 그리고 국가권력을 배치하는 공격적인 재구조화로 대응해야만 한다. 그러나 자본은 잉여가치의 원천으로서의 집합적 노동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신의 적을 완전히 파멸시킬 수 없다. 각각의 공격은, 아무리 성공적이라 할지라도, 노동력의 ‘재구성’을 그리고 새로운 능력들, 전략들, 조직형태들을 지닌 노동의 상이한 층위들에 의한 새로운 저항의 출현을 수반한다. 한번 형성되고 끝난 존재라기보다, 노동계급은 항상 증대하는 갈등의 ‘이중적 나선’ 속에서, 서로가 뒤쫓고 있는 노동 계급 재구성과 자본주의적 재구조화의 부단한 변형의 동학 내에서 계속적으로 개조된다(Negri 1980, 174).

‘정보 혁명’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런 나선내의 세 번의 연속적인 전환에 대한 역사적 관점이 필요하다. 첫 번째는 ‘전문 노동자’(20세기의 1사분기에 러시아 볼셰비즘과 평의회 운동의 핵심이 된 고도로 숙련된 공장 노동자들)의 시대이다(bologna 1976; Moulier 1986; Negri 1992). 이런 혁명적 운동의 위협에 직면하여 자본은 노동력의 탈숙련화와 전위적 행동주의의 제거를 목표로 생산의 급격한 재구성에 착수했다. 이 기획의 구성요소는 노동과정의 조직화와 관련하여 테일러리즘, 노동일과 임금의 구성과 관련하여 포디즘, 경제 정책과 관련하여 케인즈 주의, 정부와 관련하여 자율주의자들이 “계획자 국가”(포괄적인 사회적 경영을 목표로 하는 정부적 복지 프로그램과 산업 전략들)라고 칭하는 것의 도래이다(Negri 1988, 205). 이런 조치들을 통하여, 자본은 서구에서 자국 내부의 반체제적 세력들을 봉쇄하고, 이차대전 뒤에 축적의 ‘황금시대’를 위한 조건들을 안정화 시킨다.

그러나 이런 재구조화는 새로운 노동계급 주체를 창출하였다. ‘대중 노동자’는 이탈리아 상황의 피아트의 피고용인들에 의해 그밖에 영국의 포드, 프랑스의 르노, 미국의 GM의 자동자 노동자들에 의해 전형화된 산업 생산의 핵심에 있는 거대한 공장들내에 집중된 반-숙련 조립라인의 노동자들로 구성되었다. 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에 케인즈 주의의 제도화된 한계내에 임금 요구를 억제하는 것에 대한 혹은 기계화된 대중 생산의 비인간적 조건을 묵인하는 것에 대한 노동자들의 거부는 계획자 국가의 안정성과 전후 안정의 의문을 제기케 하는 파업과 사보타지, 그리고 결근의 파고를 명백히 하였다.

이러한 호전성에 대응하여, 자본은 그 자신을 다시금 재구성하였다. 레이거니즘과 대처리즘에 의해 전형화된 이런 대항 공격은 몇가지 요소들과 결합하였다. ‘계획자국가’는 복지조항이 긴축에 의한 훈육을 지지하여 폐지되었고, 화폐정책이 실질임금 하락을 유도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가혹한 조치들이 노조에 맞서 제도화됨에 따라 ‘위기 국가’에 길을 비켜 주었다. 동시에 기업들은 네그리가 ‘사회화, 제3영역화, 파편화’라고 명명했던 것을 달성하기 위해 재조직되었다(Negri, 1978, 254). 생산의 초점은 탈중심화되고 산업 공장으로부터 분산된다. 경제의 ‘연성’ 부문과 ‘서비스’부문의 비약적인 발전이 있고, 자본은 노동계급 경직성의 완고함을 회피하기 위해 지리적 이동성과 시간적 유동성의 극대치를 추구한다.

정보과학이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여기서이다. 네그리에 의하면, 1970년대에 컴퓨터화와 원거리 통신에 의해 전제된 두드러진 중요성은 ‘자본 요소들의 유통과 재생산을 통제하는 도구와 과정들의 혁신’을 위한 기업적 욕구와 관련이 있으며 ‘사회화된 노동자의 테크놀로지적 통제’내에 포함된 ‘확산된 기계화’와 관련이 있다(1978, 235, 254). 하이테크놀로지는 ‘소수-노동자 공장’의 전망을 가져옴으로써 대중 노동자의 보루를 침식한다. 즉 원거리 통신은 값싸고 유순한 노동의 유용성에 따라 조절의 국내적 분산과 국제적 분산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컴퓨터화는 산업 현장에서 감시와 분리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사무직 노동의 착취를 강화를 위해 필연적인 자동화와 감시의 새로운 수준들을 허용한다(Murray(1983)를 보라). 정보화 사회의 장밋빛 상 아래에는 ‘노동 비용의 통제와 축소’라는 뚜렷한 목표가 놓여 있다(Negri 1978, 254).
그러한 분석은 자율주의자들에게 결코 독특한 것이 아니다. 사실상, 노동계급에 대한 신자유주의자들의 공격 속에서 정보과학의 역할에 대한 자각은 의사(擬似)맑스주의의 신-러다이즘이라는 영향력있는 노선을 발생시켰다. 대체로 ‘노동 과정’에 기초한 전망들은 ‘노동의 단순화’에 대한 브래이버만의 획기적 연구로부터 유래되었지만, 미디어 연구의 중요한 흐름들과 함께, 이런 연구는 새로운 테크놀러지를 탈숙련화와 ‘정신 관리’(Schiller 1976)를 위한 도구로서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19세기 기계-파괴자들(e.g. Noble, 1983, 1984; Webster and Robins 1986)의 저항전통을 적어도 지적으로라도 되살리도록 하였다.

이런 전망은 정보화사회 유토피아주의에 대한 활력있는 해독제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심각한 한계들을 갖고 있다. 작업장 문제들에 관해서 테크놀로지적 혁신에 대한 비타협적 의심은 이미 명백하게 탈인간화하고 있는 산업 노동 형태의 옹호(그리고 아마도 낭만화)를 초래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노동계급 구성원들이 실질적인 기쁨과 이용가치를 찾을 수 있다는, 혹은 좀더 전복적인 목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러지의 새로운 배열을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할 수 없다. 전체적으로, 신-러다이즘은 혁명적 가능성을 위한 맑스의 연구가 교화, 감시 그리고 자동화의 전능적인 테크놀러지에 의해 지배된 정보과학적 디스토피아의 악몽같은 비젼에 길을 열어준다는 급진적인 비관주의로 향하는 경향이 있다.

테크놀로지에 대한 자율주의자들의 분석, 그리고 사보타지를 노동자들의 힘의 표현으로 보는 그들의 찬사는 신-러다이즘과 강력한 유사성을 갖는다. 그러나 나는 그들의 분석의 실질적인 변별점이 완전히 다른 방향에(자본의 정보적 재구성이 노동계급의 분열의 계기일 뿐만 아니라, 재구성의 계기이다는 일부 이론가들에 의한 대담한 주장에) 놓여있다고 주장하고 싶다. ‘대중 노동자’의 죽음이 새로운 혁명적 주체(‘사회화된 노동자’)의 탄생과 중첩된다는 생각은 70년대말부터 가장 최근의 저작들에까지(1978; 1980; 1988; 1989) 그리고 이제 우리가 살펴볼 탐구에 이르기까지 네그리의 핵심적 이론이었다.9)

사회적 공장과 사회화된 노동자


초기 정보사회론의 공통된 주장은 후기산업적 생산으로의 전환이 그것과 더불어 테크놀로지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인공지능적 테크노크라시에서부터 전자적 목가주의에 이르기 까지 여러 가지 애매하고 모순적인 형태들이 예견되는 ‘후기-자본주의적’사회적 조직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이었다. 보다 최근의 판본들은 시장에 대한 갱신된 이데올로기적 존경심의 찬사 속에서 이런 노선의 생각들을 약하게 한다. 그러나 흉악한 맷돌의 컴퓨터화된 체계로의 대체는 역사적으로 산업공장과 관련된 사유재산, 기업권력 그리고 임노동의 가혹한 성운내에서 최소한 일부 유의미한 완화를 허용할 것이다는 믿음이 남아있다.

자율주의자들의 관점은 정반대이다. 네그리에 따르면, 자본의 ‘정보적’ 재구축화는 맑스가 ‘자본하에서 노동의 형식적 포섭’에서부터 그것의 ‘실질적 포섭’으로의 이행을 이야기 한 『자본』의 ‘미출간된 여섯 번째 장’에 암시된 상황을 나타낸다. ‘포섭’은 노동이 자본의 가치 추출과정에 통합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형식적 포섭’에서(대략 산업혁명의 초기 단계)자본은 장인적 생산이라는 이미 존재했던 양식에 대해 임노동의 형태를 부과할 뿐이다. 그러나 다음 국면, 즉 ‘실질적 포섭’에서, 노동의 대대적인 재조직화로 잉여가치를 발생시키려는 충동은 규모의 경제와 협력으로부터 수확을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학은 체계적으로 산업에 활용된다. 테크놀러지적 혁신은 영구한 것이 되고, 착취는 시간의 ‘절대적인’ 확장보다는 생산성의 ‘상대적인’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소비는 ‘생산을 위한 생산’의 탐닉으로 새로운 산업을 부추기는 새로운 욕구의 양성에 의해 조직된다.

네그리에 의하면, 산업공장의 쇠퇴는, 자본 너머로의 도약을 의미하기는 커녕, 맑스의 예언적인 설명이 암시하는 것보다도 더 깊고 광범위한 ‘실질적 포섭’의 국면을 나타낸다. 탈산업화와 대중노동자의 소멸은 그것의 다른 얼굴이 새로운 지대 속으로 자본주의적 조직화를 가속적으로 전개하는 것인 그러한 과정의 한 측면일 뿐이다. 과학적-테크놀로지적 하부구조내의 간접노동은 작업장에서의 직접노동만큼 중요하게 된다. 유통(마케팅, 소매업, 금융 그리고 은행업)은 정확하게 생산과 맞물리며 그 자체가 이익 추출을 위한 주요한 장소가 된다. 노동력의 재생산은(그것의 교육, 여가 활동, 훈련, 그리고 생명공학이 발전하면서, 그것의 수정과 착상까지) 완전히 상품화된다. 이런 모든 발전들은 초기에 출현한다. 그러나 이제 정보테크놀러지의 통합력과 계산력이 트랙킹에 의해 조성되면, 그것들은 강렬함과 상호연결의 새로운 정점에 도달한다. 사람들은 더 이상 생산의 집중처(공장)를 잉여가치 추출을 위한 특권화된 장소라고 말할 수 없다. 그 대신에 자본의 거대한 신진대사내의 마디들이 확장되어간다. 우리는 배아기 단계의 현상과 마주친다. 1960년대에 뜨론띠(1973)가 ‘사회공장’이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식별하였고, 그것의 좀더 진전된 형태로 자율주의자들은 ‘광범위한 공장’, ‘벽이 없는 공장’(Negri 1989, 204) 혹은 ‘정보 공장’(Collectif a Traverso 1977, 107)으로 명명한다.

‘사회화된 노동자’라는 테제는 단순한 ‘공장주의’가 적절치 않다는 점과 생산에서 이전에는 주변적으로 이해되었던 모든 기능들이 완전히 자본의 유통 속으로 통합되어 가는 맥락 속에서 노동력의 본성을 재규정하려는 시도이다.10)
네그리의 관찰에 따르면, 대체로 페미니스트운동, 청년운동 그리고 학생운동에 의해 드러난 이런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부터의 이행을 표현하는 계급 개념 어휘들의 혁신을 요구하였다.


공장의 직접생산으로 대량화된 노동계급으로부터 이제 생산과 재생산의 전(全)주기에 걸쳐 확장된 새로운 노동계급의 잠재성을 재현하면서 사회적 노동력으로의 이행을 표현하는 계급 개념(사회 및 전체로서의 사회적 노동에 대한 자본주의적 통제의 더욱더 폭넓고, 더욱더 탐색적인 차원들에 좀더 적합한 개념)(Negri 1988, 209).




그런 언어는 테크놀로지적으로 선진 산업내에 자리를 잡은 ‘새로운 노동계급’이라는 말레의 초기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네그리의 이론은 기술적 노동자중에서 선별된 지식인계급의 출현을 개념화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모든 분야에서 기술-과학으로 뒤덮인 체계에 의해 요구된 노동력의 일반화된 형태의 출현을 개념화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다르다.

‘대중 노동자’가 공장의 조립라인에서 일한다면, ‘사회화된 노동자’는 은행 사무원, 건강관리 노동자, 보조 교사(그러나 자동차 공장, 펄프공장, 강철공장를 포함하여 노동의 전영역이, 오늘날 흘러가는 경향이 있는 두드러진 특징을 가리키는 사례들)와 같이 경제의 ‘연성’부문 혹은 ‘제3의’ 부문에서 출현한다. ‘대중 노동자’는 거대한 산업 공장으로 집중됨으로써 ‘대량화’되는 반면, ‘사회화된 노동자’는 가치창출의 훨씬 더 분화되고 확장된 체계내에 참여함으로써 ‘사회화’된다. 왜냐하면 그의 생산성이 노동의 이런 복잡한 분할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며, 그의 노동에서 하나의 중심적인 요소가 소통적이고 협조적인 작업들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것들은 추상적이고 디지털화된 작업들이 직접적으로 생산적인 지적활동이 되는 정보과학적 체계의 정교한테크놀로지적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반면, 동시에 새로운 사이버적 프롤레타리아트화의 정보저장소를 형성하면서 전통적으로 정신노동을 육체노동으로부터 구획 지웠던 특권들을 잠식한다(Negri 1989, 89-101).

사회공장으로의 통합은 생산의 직접적인 장소를 넘어 뻗어 나간다. 유통과 재생산 부분에 대한 자본의 식민지화는 여가활동, 교육, 건강관리, 복지가 기업적 이익의 종합적이고 사회적인 조건들을 유지하려는 세밀한 감시와 조절에 점차적으로 복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장을 넘어 경제적 전략으로 활동성을 철저하게 병합하는 것은 착취의 시간적 척도가 노동일이 아닌 삶 전체로 되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네그리는 말한다(1988, 219). 이런 자본의 계산법의 확장과 정교화에 직면하여 우리는 실제로, 그가 관찰한, ‘맑스를 넘어서게’ 되며, 사회화된 노동자에 대해서 말하지 않고 수행자 혹은 행위자에 대해서 말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맑스주의적 별칭을 유지함으로써 그는 시간과 창조성의 이 포괄적 조직화를 지배하는 원리가 여전히 노동착취임을 강조한다.(1989, 84).

사회화된 노동자에 대한 네그리의 이론은 매우 논쟁적이다는 점이, 심지어 그가 폭넓게 유사한 정치적 기원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조차도 그러하다는 점이 즉각 유념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공장외부에서 사회체(the body of society)로 맑스의 혁명적 주체의 증가에서 ‘몰의 부족’(1980)으로 사회적 갈등의 확산에 대한 중요한 자율주의적 분석을 제공했던 볼로냐는 노동력의 재구축화로부터 발생하는 복잡성을 단 하나의 장대한 이론적 구축내에 포함시키려는 네그리의 시도를 맹렬하게 비판한다.11)

더욱이, 이런 ‘새로운’ 노동계급 주체에 대한 네그리의 열정적인 발견은 종종 일부 ‘오래된것’(‘대중 노동자’의 투쟁들)의 계속된 회복력을 과소평가하거나 기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들은 완고한 자본의 관점에서 매우 불순한 영국과 미국에서의 석탄 광부들의 전투성에 대해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문제적 요소들이 인정되는 반면, 우리는 네그리의 테제들이 받아들여져왔던 것 보다 더 폭넓게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그것이 결함이 없는 구축물이어서가 아니라 지금까지 대체로 실리콘 자본의 옹호자들에 의해 점령되어온 영역속에 전투적이고 혁신적인 탐침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미주


1) 이런 전통을 채택하는데 있어서 나는 클리버(1979)를 따르는데, 그의 저작은 영어권 내에서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에 대한 이론적 입장들과 역사적 전개의 중대한 지도 그리기를 구성한다. 그는 여기서(그의 저작 속에서: 역자) 논의된 이딸리아적 조류의 저작들이 어떻게 미국 존슨-포리스트 경향과 프랑스의 사회주의냐 야만이냐 그룹의 저작에 의해 중첩되고, 이해되는가를 보여준다.

2) 이딸리아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에 대한 이런 개관적인 설명은 필연적으로 그 주제들의 복잡한 역사를 왜곡한다.특히, 그것은 산업 프롤레타리아의 공장 투쟁들 주변에 초점을 맞춘 초기 이딸리아 오페라이스모 혹은 ‘노동자 주의’와 아우토노미아라는 폭넓은 사회적 운동 속에서 등장한 후기 흐름들과의 관계를 다루기에 부족하다(#scants). 뜨론띠와 판찌에리는 전자에는 속하나 후자에는 속하지 않는다. 실제로 뜨론띠는 그의 저작을 대체로 구축했었던 네그리와 같은 아우토노미아 이론가들과 정치적으로 결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모두를 ‘자율주의적 맑스주의’로 분류하는 그들의 사고의 노선 속에서 충분한 연속성을 발견한다. 이딸리아 신좌파에 대한 핵심적인 영어권 분석은 라이트(1988)인데, 그는 오페라이스모와 아우토노미아간의 차이를 강조하며, 운동내의 논쟁들과 투쟁들에 대한 흥미있는 분석을 준다. 또 다른 이론적이며 역사적인 소개들은 Cleaver(1979), Ryan(1989), Moulier(1986; 1989), Negri(1980), Moulier(1986; 1989), Piotte(1986), Bologna(1986), Lotringer and Marazzi(1980), Lumley(1990)를 포함한다. Tahon과 Corten(1986)의 논문은 가치있는 회고적 자산을 제공한다. 중요한 자율주의적 맑스주의 저작선은「레드 노트」(1970)와 Negri(1988)이다. Balestrini(1989)의 소설은 아우토노미아의 흥망성쇠에 대한 생생한 그림을 제공한다.

3) 두가지 사례면 충분할 것이다. 독자들은 서구맑스주의 국가에 대한 Perry Anderson의 주기적인 레포트들(1976; 1983)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Bottomore의 훌륭한『맑스주의 사상사전』이건 간에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들이 경솔한 것임을(in vain) 볼것이다.

4) 네그리와 그의 동료들의 최근 저작의 주요한 전달수단은 프랑스 저널인「Futur Anterieur」이다.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은 두개의 북아메리카 저널은「Zerowork」(현재 폐간됨)와「Midnight Notes」이다.

5) 테크놀로지적으로 동시대적인 결정 주의적 맑스주의를 위해서는 Cohen(1978)을 보라. 정보화사회이론에 대한 맑스주의의 영향은 Bell(1973)과 Toffler(1983)속에서 분명하다.

6) 아마 틀림없이, 이러한 경향성은『자본』을 저술했던 맑스 그 자신으로부터 시작하였지만 임노동에 관한 그의 기획된 책은 그렇지 않았다. 그 결과는 자본이 자본주의 내부의 경쟁을 통해 그 자신의 내부적 논리를 무차별적으로 전개시키면서,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힘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전망이다. 노동자들은 자본의 착취적 기계의 바퀴들 간의 수동적이고 객체적인 기반으로 나타난다. 이 기계는 확실히, 자기 파괴적인 것이다(‘이윤율 하락’의 법칙과 같은 냉혹한 법칙에 의한 재난에 이르게 한다). 결국에, 노동자들의 비참함은 거대한 전환의 계기 속에서 프롤레타리아 반란과 같은 절망의 상태에 다다른다. 그러나 기계는 그 자신의 파괴를 향하여 치닫는다. 그러한 전망의 정치적인 결과는 다양하다. 한편에서 그것은 혁명의 불가피성 내에서 목적론적인(치명적으로 잘못된)믿음을 생성시킨다. 또 다른 한편에서, 경제 붕괴의 ‘법칙’이 예정대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심하는 한에서, 그것은 자본의 비젼을 그것의 일차원적 질서내의 모든 대립을 흡수할 수 있는 지난(至難)한 져거너트(juggernaut)로 기른다. 두가지 견해는 맑스로부터 혁명적 불꽃의 모든 스파크를 소멸시켜, 호전성 대신 운명론을 대체한다. 맑스주의 정치경제학의 ‘일면적’ 측면에 관해서는 Negri(1984), Thompson(1978), 특히 Lebowitz(1992)를 보라.

7) 물론, 이런 관점의 자원은 맑스(1977, 563)이다. 즉, ‘자본을 노동계급의 반란에 맞서는 무기로서 대신하려는 유일한 목적을 위해 1830년대 이래로 만들어진 발명의 완전한 역사를 서술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Cleaver(1981)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자율주의적 맑스주의 이론의 중요한 것을 설명해 준다.

8) ‘계급 구성’의 개념을 위해서는 Cleaver(1992; 1979), Moulier(1986, 48-56; 1989, 41), Negri(1988, 209), Ramirez(1986, 136),「Zerowork」(1975, 3-4)를 보라)

9) Wright(1988, 306)의 지적에 따르면, ‘지적 노동의 프롤레타리아트화와 거대화로 묶여진 계급적 표상’을 가리키는 ‘사회화된 노동자’라는 용어는 Romano Alquati의 학생운동에 대한 분석에서 처음으로 주조되었으며, 그 뒤에 Negri에 의해 발전되었다. 사회화된 노동자에 관한 네그리의 주장의 예견은 Beradi에게 있어서 기술-과학적 노동(1978)으로서도 존재한다.

10) 이런 정식화에 대해 필수적인 서문은 가정에서 여성의 비임금 노동의 자본주의적 경제로의 통합으로 분석한 Tronti(1973)의 저작뿐만 아니라 Dalla Costa and James(1972)의 저작이다. 또한 Cleaver(1978)를 보라.

11) Bologna와 다른 그의 이딸리아 동료들에 의한 Negri의 ‘사회화된 노동자’테제에 대한 비판의 흥미있고 유익한 요약을 위해서는 Wright(1988, 287-339)를 보라. 그러나 네그리의 ‘사회화된 노동자’에 대한 설명은 10년의 과정동안 발전해왔음을 유념해야만 한다. 그것의 가장 최근의 판본(1989; 1992)은 그것의 최초의 발표(1978)보다 훨씬 더 견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thirsty > 더블린 사람들 - 원문 텍스트 (2) An Encounter

번째 단편 어떤 만남(An Encounter)”이다. 소년의 일탈 행동의 원인과 결과에 주의하고, 무렵에 등장하는 이상한 또라이 노인의 정체와 의미, 그리고 무슨 짓을 했기에 소년들이 놀라는지 생각해 보자.

 

 

An Encounter

 

 

It was Joe Dillon who introduced the Wild West to us. He had a little library made up of old numbers of The Union Jack, Pluck, and The Halfpenny Marvel. Every evening after school we met in his back garden and arranged Indian battles. He and his fat young brother Leo, the idler, held the loft of the stable while we tried to carry it by storm; or we fought a pitched battle on the grass. But, however well we fought, we never won siege or battle and all our bouts ended with Joe Dillon's war dance of victory. His parents went to eight o'clock mass every morning in Gardiner Street and the peaceful odour of Mrs Dillon was prevalent in the hall of the house. But he played too fiercely for us who were younger and more timid. He looked like some kind of an Indian when he capered round the garden, an old tea-cosy on his head, beating a tin with his fist and yelling:

 

`Ya! yaka, yaka, yaka!'

 

Everyone was incredulous when it was reported that he had a vocation for the priesthood. Nevertheless it was true.

 

A spirit of unruliness diffused itself among us and, under its influence, differences of culture and constitution were waived. We banded ourselves together, some boldly, some in jest and some almost in fear: and of the number of these latter, the reluctant Indians who were afraid to seem studious or lacking in robustness, I was one. The adventures related in the literature of the Wild West were remote from my nature but, at least, they opened doors of escape. I liked better some American detective stories which were traversed from time to time by unkempt fierce and beautiful girls. Though there was nothing wrong in these stories and though their intention was sometimes literary, they were circulated secretly at school. One day when Father Butler was hearing the four pages of Roman History, clumsy Leo Dillon was discovered with a copy of The Halfpenny Marvel.

 

`This page or this page? This page? Now, Dillon, up. "Hardly had the day"... Go on! What day? "Hardly had the day dawned"... Have you studied it? What have you there in your pocket?'

 

Everyone's heart palpitated as Leo Dillon handed up the paper and everyone assumed an innocent face. Father Butler turned over the pages, frowning.

 

`What is this rubbish?' he said. `The Apache Chief! Is this what you read instead of studying your Roman History? Let me not find any more of this wretched stuff in this college. The man who wrote it, I suppose, was some wretched fellow who writes these things for a drink. I'm surprised at boys like you, educated, reading such stuff! I could understand it if you were... National School boys. Now, Dillon, I advise you strongly, get at your work or... '

 

This rebuke during the sober hours of school paled much of the glory of the Wild West for me, and the confused puffy face of Leo Dillon awakened one of my consciences. But when the restraining influence of the school was at a distance I began to hunger again for wild sensations, for the escape which these chronicles of disorder alone seemed to offer me. The mimic warfare of the evening became at last as wearisome to me as the routine of school in the morning because I wanted real adventures to happen to myself. But real adventures, I reflected, do not happen to people who remain at home: they must be sought abroad.

 

The summer holidays were near at hand when I made up my mind to break out of the weariness of school life for one day at least. With Leo Dillon and a boy named Mahony I planned a day's miching. Each of us saved up sixpence. We were to meet at ten in the morning on the Canal Bridge. Mahony's big sister was to write an excuse for him and Leo Dillon was to tell his brother to say he was sick. We arranged to go along the Wharf Road until we came to the ships, then to cross in the ferryboat and walk out to see the Pigeon House. Leo Dillon was afraid we might meet Father Butler or someone out of the college; but Mahony asked, very sensibly, what would Father Butler be doing out at the Pigeon House. We were reassured, and I brought the first stage of the plot to an end by collecting sixpence from the other two, at the same time showing them my own sixpence. When we were making the last arrangements on the eve we were all vaguely excited. We shook hands, laughing, and Mahony said:

 

`Till tomorrow, mates.'

 

That night I slept badly. In the morning I was firstcomer to the bridge, as I lived nearest. I hid my books in the long grass near the ashpit at the end of the garden where nobody ever came, and hurried along the canal bank. It was a mild sunny morning in the first week of June. I sat up on the coping of the bridge, admiring my frail canvas shoes which I had diligently pipeclayed overnight and watching the docile horses pulling a tramload of business people up the hill. All the branches of the tall trees which lined the mall were gay with little light green leaves, and the sunlight slanted through them on to the water. The granite stone of the bridge was beginning to be warm, and I began to pat it with my hands in time to an air in my head. I was very happy.

 

When I had been sitting there for five or ten minutes I saw Mahony's grey suit approaching. He came up the hill, smiling, and clambered up beside me on the bridge. While we were waiting he brought out the catapult which bulged from his inner pocket and explained some improvements which he had made in it. I asked him why he had brought it, and he told me he had brought it to have some gas with the birds. Mahony used slang freely, and spoke of Father Butler as Old Bunser. We waited on for a quarter of an hour more, but still there was no sign of Leo Dillon. Mahony, at last, jumped down and said:

 

`Come along. I knew Fatty'd funk it.'

 

`And his sixpence... ' I said.

 

`That's forfeit,' said Mahony. `And so much the better for us - a bob and a tanner instead of a bob.'

 

We walked along the North Strand Road till we came to the Vitriol Works and then turned to the right along the Wharf Road. Mahony began to play the Indian as soon as we were out of public sight. He chased a crowd of ragged girls, brandishing his unloaded catapult and, when two ragged boys began, out of chivalry, to fling stones at us, he proposed that we should charge them. I objected that the boys were too small, and so we walked on, the ragged troop screaming after us `Swaddlers! Swaddlers!' thinking that we were Protestants because Mahony, who was dark-complexioned, wore the silver badge of a cricket club in his cap. When we came to the Smoothing Iron we arranged a siege; but it was a failure because you must have at least three. We revenged ourselves on Leo Dillon by saying what a funk he was and guessing how many he would get at three o'clock from Mr Ryan.

 

We came then near the river. We spent a long time walking about the noisy streets flanked by high stone walls, watching the working of cranes and engines and often being shouted at for our immobility by the drivers of groaning carts. It was noon when we reached the quays and, as all the labourers seemed to be eating their lunches, we bought two big currant buns and sat down to eat them on some metal piping beside the river. We pleased ourselves with the spectacle of Dublin's commerce - the barges signalled from far away by their curls of woolly smoke, the brown fishing fleet beyond Ringsend, the big white sailing vessel which was being discharged on the opposite quay. Mahony said it would be right skit to run away to sea on one of those big ships, and even I, looking at the high masts, saw, or imagined, the geography which had been scantily dosed to me at school gradually taking substance under my eyes. School and home seemed to recede from us and their influences upon us seemed to wane.

 

We crossed the Liffey in the ferryboat, paying our toll to be transported in the company of two labourers and a little Jew with a bag. We were serious to the point of solemnity, but once during the short voyage our eyes met and we laughed. When we landed we watched the discharging of the graceful three-master which we had observed from the other quay. Some bystander said that she was a Norwegian vessel. I went to the stern and tried to decipher the legend upon it but, failing to do so, I came back and examined the foreign sailors to see had any of them green eyes, for I had some confused notion... The sailors' eyes were blue, and grey, and even black. The only sailor whose eyes could have been called green was a tall man who amused the crowd on the quay by calling out cheerfully every time the planks fell:

 

`All right! All right!'

 

When we were tired of this sight we wandered slowly into Ringsend. The day had grown sultry, and in the windows of the grocers' shops musty biscuits lay bleaching. We bought some biscuits and chocolate, which we ate sedulously as we wandered through the squalid streets where the families of the fishermen live. We could find no dairy and so we went into a huckster's shop and bought a bottle of raspberry lemonade each. Refreshed by this, Mahony chased a cat down a lane, but the cat escaped into a wide field. We both felt rather tired, and when we reached the field we made at once for a sloping bank, over the ridge of which we could see the Dodder.

 

It was too late and we were too tired to carry out our project of visiting the Pigeon House. We had to be home before four o clock, lest our adventure should be discovered. Mahony looked regretfully at his catapult, and I had to suggest going home by train before he regained any cheerfulness. The sun went in behind some clouds and left us to our jaded thoughts and the crumbs of our provisions.

 

There was nobody but ourselves in the field. When we had lain on the bank for some time without speaking I saw a man approaching from the far end of the field. I watched him lazily as I chewed one of those green stems on which girls tell fortunes. He came along by the bank slowly. He walked with one hand upon his hip and in the other hand he held a stick with which he tapped the turf lightly. He was shabbily dressed in a suit of greenish-black and wore what we used to call a jerry hat with a high crown. He seemed to be fairly old, for his moustache was ashen-grey. When he passed at our feet he glanced up at us quickly and then continued his way. We followed him with our eyes and saw that when he had gone on for perhaps fifty paces he turned about and began to retrace his steps. He walked towards us very slowly, always tapping the ground with his stick, so slowly that I thought he was looking for something in the grass.

 

He stopped when he came level with us, and bade us good-day. We answered him, and he sat down beside us on the slope slowly and with great care. He began to talk of the weather, saying that it would be a very hot summer and adding that the seasons had changed greatly since he was a boy - a long time ago. He said that the happiest time of one's life was undoubtedly one's schoolboy days, and that he would give anything to be young again. While he expressed these sentiments, which bored us a little, we kept silent. Then he began to talk of school and of books. He asked us whether we had read the poetry of Thomas Moore or the works of Sir Walter Scott and Lord Lytton. I pretended that I had read every book he mentioned, so that in the end he said:

 

`Ah, I can see you are a bookworm like myself. Now,' he added, pointing to Mahony, who was regarding us with open eyes, `he is different; he goes in for games.'

 

He said he had all Sir Walter Scott's works and all Lord Lytton's works at home and never tired of reading them. `Of course,' he said, `there were some of Lord Lytton's works which boys couldn't read.' Mahony asked why couldn't boys read them - a question which agitated and pained me because I was afraid the man would think I was as stupid as Mahony. The man, however, only smiled. I saw that he had great gaps in his mouth between his yellow teeth. Then he asked us which of us had the most sweethearts. Mahony mentioned lightly that he had three totties. The man asked me how many I had. I answered that I had none. He did not believe me and said he was sure I must have one. I was silent.

 

`Tell us,' said Mahony pertly to the man, `how many have you yourself?'

 

The man smiled as before and said that when he was our age he had lots of sweethearts.

 

`Every boy,' he said, `has a little sweetheart.'

 

His attitude on this point struck me as strangely liberal in a man of his age. In my heart I thought that what he said about boys and sweethearts was reasonable. But I disliked the words in his mouth, and I wondered why he shivered once or twice as if he feared something or felt a sudden chill. As he proceeded I noticed that his accent was good. He began to speak to us about girls, saying what nice soft hair they had and how soft their hands were and how all girls were not so good as they seemed to be if one only knew. There was nothing he liked, he said, so much as looking at a nice young girl, at her nice white hands and her beautiful soft hair. He gave me the impression that he was repeating something which he had learned by heart or that, magnetized by some words of his own speech, his mind was slowly circling round and round in the same orbit. At times he spoke as if he were simply alluding to some fact that everybody knew, and at times he lowered his voice and spoke mysteriously, as if he were telling us something secret which he did not wish others to overhear. He repeated his phrases over and over again, varying them and surrounding them with his monotonous voice. I continued to gaze towards the foot of the slope, listening to him.

 

After a long while his monologue paused. He stood up slowly, saying that he had to leave us for a minute or so, a few minutes, and,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of my gaze, I saw him walking slowly away from us towards the near end of the field. We remained silent when he had gone. After a silence of a few minutes I heard Mahony exclaim:

 

`I say! Look what he's doing!'

 

As I neither answered nor raised my eyes, Mahony exclaimed again:

 

`I say... He's a queer old josser!'

 

`In case he asks us for our names,' I said, `let you be Murphy and I'll be Smith.'

 

We said nothing further to each other. I was still considering whether I would go away or not when the man came back and sat down beside us again. Hardly had he sat down when Mahony, catching sight of the cat which had escaped him, sprang up and pursued her across the field. The man and I watched the chase. The cat escaped once more and Mahony began to throw stones at the wall she had escaladed. Desisting from this, he began to wander about the far end of the field, aimlessly.

 

After an interval the man spoke to me. He said that my friend was a very rough boy, and asked did he get whipped often at school. I was going to reply indignantly that we were not National School boys to be whipped, as he called it; but I remained silent. He began to speak on the subject of chastising boys. His mind, as if magnetized again by his speech, seemed to circle slowly round and round its new centre. He said that when boys were that kind they ought to be whipped and well whipped. When a boy was rough and unruly there was nothing would do him any good but a good sound whipping. A slap on the hand or a box on the ear was no good: what he wanted was to get a nice warm whipping. I was surprised at this sentiment and involuntarily glanced at his face. As I did so I met the gaze of a pair of bottle-green eyes peering at me from under a twitching forehead. I turned my eyes away again.

 

The man continued his monologue. He seemed to have forgotten his recent liberalism. He said that if ever he found a boy talking to girls or having a girl for a sweetheart he would whip him and whip him; and that would teach him not to be talking to girls. And if a boy had a girl for a sweetheart and told lies about it, then he would give him such a whipping as no boy ever got in this world. He said that there was nothing in this world he would like so well as that. He described to me how he would whip such a boy, as if he were unfolding some elaborate mystery. He would love that, he said, better than anything in this world; and his voice, as he led me monotonously through the mystery, grew almost affectionate and seemed to plead with me that I should understand him.

 

I waited till his monologue paused again Then I stood up abruptly. Lest I should betray my agitation I delayed a few moments, pretending to fix my shoe properly, and then, saying that I was obliged to go, I bade him good-day. I went up the slope calmly but my heart was beating quickly with fear that he would seize me by the ankles. When I reached the top of the slope I turned round and, without looking at him, called loudly across the field:

 

`Murphy!'

 

My voice had an accent of forced bravery in it, and I was ashamed of my paltry stratagem. I had to call the name again before Mahony saw me and hallooed in answer. How my heart beat as he came running across the field to me! He ran as if to bring me aid. And I was penitent; for in my heart I had always despised him a little.

 

 

 

 

 

 

* 아래의 단어 말고도 모르는 것이 많다면, “내 단어는 멀었다”고 생각하세요.

 

2. An Encounter

number

잡지의 호 ( = issue)

 

carry

빼앗다, 적의 요새를 함락하다

 

pitched battle

회전; 대격전, 전면 충돌(대결)

an intensely fought battle in which the opposing forces are locked in close combat in predetermined positions at a chosen time and place (양방이 사전에 선택한 장소와 시간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근접 전투로 교착 상태를 이룬 채 싸우는 치열한 전투)

 

tea cosy

(茶) 덮개(보온용의 솜을 둔 주머니)

(AmE) tea cozy

constitution

체질, 체격; 구성; 정체, 헌법; 설립 규약

 

jest

joke; mockery

 

college

대학; 영국의 사립 학교(public school)

 

National School

아일랜드의 초등학교(primary school)

* 영국의 공립 학교. state school (사립학교는 public school or college)

* 미국의 공립학교는 public school, 사립학교는 private school

miching

영국 방언. lurk out of sight, hide or skulk cowardly. playing hook(e)y/truant. 숨다, 수업 빼먹다.

miche-miched-miched.

coping

난간, 담장의 맨 위, 꼭대기/가로대

 

pipeclay

파이프 점토(담배 파이프 제조용이며 가죽 제품을 닦는 데도 쓰임)

 

the mall

a street on the south side of Dublin’s Royal Canal

 

air

melody, song, tune

 

gas

(俗) fun

 

bob

(英俗) 1 shilling = 12 pence = 1/20 pound

 

tanner

sixpence짜리은화/백통화

원래는 은화, 점점 구리/니켈이 섞임. 이때는 은화.

Vitriol Works

a north Dublin chemical factory

 

swaddler

Dublin slang for Protestants.

예수가 간난아기였을 때 배내옷 또는 강보(swaddling clothes)에 싸인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음

cricket

크리켓. a game associated by the Irish with the English conquest of their country

 

Smoothing Iron

a bathing place on Dublin Bay’s north side

 

currant

건포도. raison

 

right skit

(英俗) great fun.

 

legend

전설; 설명, 범례; 명문(inscription),

새긴 글

 

the Liffey

더블린을 가로 지르는 강 이름

 

green eyes

오디세이(율리시스)가 녹색 눈을 가졌다는 데서 유래되어, 항해와 모험을 암시

 

the Doddler

Liffey강 어귀에서 합류되는 지류 이름

 

jerry hat

a stiff felt hat (펠트를 재료로, 속에 심을 넣어 딱딱하게 만든 운두 높은 모자. 찰리 채플린이 썼던 모자)

bowler hat, derby hat, iron hat과 비슷하다                  

bade

bid-bid-bid, or bid-bade-bidden

 

go in for

좋아하다, 즐기다, 열중하다

 

totties

(영속) girlfriends. 또는 고급 창녀

 

josser

(영속) 사내, 녀석, 놈. lad, fellow, guy.

 

desist

stop

 

box

때리기, 귀싸대기

 

twitch

홱 잡아다니다; 씰룩거리다, 경련하다

 

paltry

하찮은, 사소한, 무가치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