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과 낮 2023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장재희 지음 / 교유서가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록된 소설 세 작품이 마치 시(詩)처럼 느껴진다. 문장이 시적이라는 뜻이 아니다. 작품이 남기는 인상이 시처럼 고요하고 잔잔하다는 것이다.


우리가 산문을 쓸 때 시적인 문장을 동원하면 오히려 유치해 보일 수 있다. 시적인 문장을 쓴다고 시적 분위기가 감도는 이야기가 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역효과만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서사가 필요한 대목에서, 강물은 밤새 도도히 흘렀다, 라는 식으로 시적인 처리로 마무리하는 작가를 보면 짜증이 날 때도 있다.


장재희 작가는 그런 스타일이 아니다. 소설 문장에 시적인 문장이 별로 없다. 하지만 작품을 다 읽고 난 뒤에, 감동먹고 약간 상기해진 얼굴을 처들며 소설 속 공간에서 막 빠져나올 때, 마치 한 편의 시(詩) 세계에서 머물다 현실로 돌아오는 느낌이다.


고요하고 적막하지만 어딘지 모르게 온기를 지닌 공간과 사람에 대한 이미지가 자꾸 떠오르는 것이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이성복 시인의 <편지>나 이장욱 시인의 <정오의 희망곡> 등이 작품에 일정 부문 모티브로 작용했다고 한다.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는 최가은 평론가의 해설에서는 세 작품을 관통하는 소재가 어쩌면 '편지'일지 모른다고 말한다. 상대를 다 읽어내지 않음으로써 상대의 자리를 마련하려는 마음을 담은 그런 것이라고. 해설 제목이 바로 <빈 편지>이다.


뭐, 시나 편지나 비슷하다. 그런데 작가는 노래라고 표현하고 싶어 한다.


나에게 있어 소설에서 결국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건 정서나 주제, 인물이 아니었다. 그것과 상관없이 소설의 중심에는 어떤 노래가 계속 흐르고 있다는 걸, 내가 글을 쓰는 건 그 노래를 찾기 위해서가 아닐까, 찾아 누군가에게 들려주고 싶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126쪽 <작가의 말>에서)


개인적으로 로맨스나 감상적인 연애 감정을 읽는 것도 좋아한다. 하지만 장재희 작가의 작품이 그런 스타일이 아니라는 게 왠지 기쁘다. 작가의 감수성은 삶과 소통과 공존이라는 철학적인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세 편을 소설을 읽는 내내, 내가 조용한 사람이 된 듯한 착각에 잠시 빠질 수 있었다. 작가가 조용한 사람이고 작품이 고요하고 은은한 문샤인같기 때문이다. 좋은 시간이었다.

문샤인이 어두웠다. 모하는 화분이 놓인 창가로 다가갔다. 토끼 귀 모양의 커다란 잎 하나가 무겁게 축 처져 있었다. 처진 잎에 손가락 끝을 대었다. 은은하게 빛나던 잎은 수분을 머금은 채 검은 빛으로 변해버렸다. 잎이 무르는 건 물을 많이 줬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었다. 역시나 화분 받침대에는 물이 고여 있었다.

모하는 미간을 찌푸렸다. 특히나 문샤인은 물을 적게 줘야 하는 식물이었다. 물이 부족해서 시든 거라면 흠뻑 주면 생생하게 살아나지만, 물을 많이 줘서 뿌리가 썩은 경우는 살려내기가 힘들었다. 모하가 물은 준 건 이틀 전이었다. 아무래도 여자가 오늘 낮에 다시 물을 준 것 같았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