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명한 이치
코니 팔멘 지음, 이계숙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작가의 꿈을 간직한 스물 일곱살의 여대생이 일곱 명의 남자를 만나 사랑한다.
점성술사, 간질병환자, 철학자, 신부, 물리학자, 예술가, 정신과의사.
그리고 그들과의 사랑을 통해 그들에게 던지는 사랑과 인생과 우주에 대한 질문들을 통해 육체적(성적?)이고 지적인 변화를 맞게 된다.
 
국내에는 코니 팔멘의 두번째 작품인 <나의 가장 사랑스러운 적>이 출판됐었고 그녀의 글에서 풍기는 사유랄까 지혜? 아니 재치가 페이지를 멈추게 하지 않는 힘을 가지고 있었기에 <자명한 이치>가 서점에 나오기만 기다리다 입고됐다는 소식과 함께 득달같이 달려가 집어들었던 책이다.
(솔직히 이 책이 그녀의 데뷔작이라는데 대한 엄청난 시기심이 솟구쳤음을 부인할 수 없다. 문학과 철학을 전공했다고 표지에는 쓰여있고 그녀의 사진은 지적이고 냉철한 시니컬하기 까지 해서 범접하기 힘든 멕 라이언을 보는 느낌....)

일상적인 공간과 사랑의 행위들마저 순식간에 철학적 사유의 순간과 행위로 바꿔버리는 그녀의 능력은 탁월한 언어 선택에 있는 듯하다.

소설은  일곱명의 남자들을 각각 하나의 장에서 다루는데 그녀가 어떻게 그들을 만나고 사랑하며 그들을 통해 세상을 다루는 법칙을 이해하려 하는가 풀어나가고 있다.
그녀가 만난 남자들은 각자가 할 역할을 다하고 나면 마치 의무를 인계하듯이 그녀가 다음에 만날 남자들을 직접 소개해주거나 우연한 방식으로라도 인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것은 점성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수호성의 이끔 같은 것. 인디언들의 영혼의 안내자와도 같은 역할이며 그렇게 해서 마리는 점차 자신의 의식과 인생에 대한 사유를 확장시켜 나가게 되고 자아를 찾는 여행을 계속해가지만 사랑은 구원이 아니고 인생의 완성도 아니다. 그녀가 사랑을 찾아 떠나는 여행에서 만나는 남자들은 기실 그녀에게 삶의 주관하는 법칙에 관한 성찰을 안겨주기 위한 선생일 뿐이다.
마리가 마지막으로 만나는 남자는 간질병 환자의 아버지인 정신과의사이다.
책은 그에게 마리가 지나온 생과 그녀가 사랑했던 남자들과의 만남에서 이끌어낸 사랑과 인생에 관한 성찰을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끝맺는다.

-때때로 저는 세계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그 모든 것이 있어야 할 시간에 제 자리를 지키며 각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지, 그리고 어떻게 각자의 인생이 인간이 소유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인지 말입니다. 각자의 인생은 인생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이 만나는 교차점이니까요. 이러한 교차점이 없는 인간은 아무 것도 가진게 없는 인간일 겁니다......자기 자신의 인생을 가진 사람만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삶속에서 하나의 역사를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매 순간의 그 무수한 다양함 속에서도 역사의 일관성을 알아차릴 수 있지요. 그런 인간만이 행복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지나치게 행복합니다....-


*巳足: <호프만의 허기>를 썼던 레온 드 빈터처럼 코니 팔멘도 네덜란드 사람이다. 관념적인 사람들의 나라. 사람이 하나의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천성'과 '환경'의 절묘한 어우러짐이 필요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