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정말...고래다!
그의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떠오른 말이다.
그의 소설과 딱 어울리는 제목이었다. 그리고 그를 일컬음에 부족함이 없는 단어이다.
그는 고래와도 같다. 깊은 바다 한 복판에서 어느 날 갑자기 떠올라 큰 숨 한 번 쉬니 하늘로 솟구쳐오르는 물줄기.
답답하던 속이 툭 트인다.
처음 몇 페이지를 읽으면서 요 근래 읽을 수 없었던 직설적이고 원시적이기까지 한 거친 생명력이 살아 숨쉬는 한 줄 한 줄을 따라가다가 아! 하기를 몇 번. 그리하여 등에 전율이 오기를 몇 번. 내가 뱀을 패대기친 것처럼 손에 힘이 주어지기도 하고 날것으로 씹는 뱀의 육질이 입 안에 느껴지는 듯도 하고....
그야말로 살아있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묘사는 이야기꾼의 구수한 입담처럼 그칠 줄 모르고 이어진다.
'붉은 벽돌의 여왕'-춘희
그리고 그녀를 낳은 어미- 금복
'평대'에서의 금복의 위대한 성공과 몰락을 있게 한 국밥집 노파
고래는 이 세 여인을 중심으로 이어져나간다.
부드럽고 나의 서정성을 풍부하게 일깨워주는 달콤하기까지 한 단어들. 정제되고 또 절제된 단어들에 늘상 익숙해있던 눈은 생명을 잃은 뒤 바로 벗겨져 무두질 한 번 하지않은 가죽의 상태로 나의 정서의 표피에 와 닿는 거친 단어들에 현혹된다. 어지럽다. 따뜻한 피와 원시적 성의 냄새. 거칠고 뻣뻣한 촉감으로 나의 표피를 쓰다듬는, 아리고 쓰리지만 묘하게 나의 감각을 일깨우는 자극들.
천명관은 그의 소설이 하나의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덩치 큰 여학생과의 스쳐 지나가듯 한 만남에서 그는 고래의 모티프를 가지고 여인 삼대의 이야기를 이리저리 건너뛰면서 그가 눈 앞에 보는 듯 장면들을 그려낸다. 화자는 변사들처럼 수많은 이야기들을 내뱉고 소설의 형식은 리얼리티에서 환타지까지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걸죽한 입담인 것만 같다가도 세상을 향해 내던지는 그의 한 마디에 진지하게 허리를 곧추세우게도 한다.
바나나나 가오리류의 깔끔함, 오정희의 한숨같은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섬세함, 신경숙의 저물녘의 슬픔을 느끼게 하는 문체들, 오스터의 태피스트리 같은 풀롯 같은 것들에 익숙해있던 나는 순식간에 그의 글이 주는 칠리 페퍼와 같은 매혹적인 맛에 푹 빠지고야 말았다. 책장을 덮고 난 후에 그림이 펼쳐진다.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고 난 듯한 느낌이 든다.
창작 수업을 받아본 적도, 대학교육도 받은 적이 없는 .....제도 교육에 물들지 않은 그였기에 저렇게 생생한 인물들이 태어난 것일까?
춘희에게서 느껴지는 것은 대지의 여신 가이아의 이미지이다.
세상 사람들과 달리 그들의 낯을 살피고 그들의 비위를 맞추는 것에는 무디지만 자연의 느낌이나 분위기를 같이 느껴버리는 ...게다가 키는 훌쩍 크고 통뼈이며 체중이 백이십키로그램을 거뜬하게 넘는 그녀는 웬만한 장정을 쓰러뜨릴 수 있는 힘과 혼이 깃들인 벽돌을 만들 수 있는 장인정신을 지녔다. 그녀가 붉은 벽돌-흙과 물과 불과 공기의 혼합물인-을 만드는 것을 보면 그녀를 태모신인 가이아의 현신으로 그려내려 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하나 그는 그러한 의도는 없었다고 말한다.
신화적 메타포를 읽어내려는 이 우둔한 독자의 몸무림은 계속 이어지지만 작가는 그저 빙그레 웃을 뿐이다(한 때 신화를 너무 읽은 탓이다. 모든 것에서 신화적 원형 이나 이미지 찾기의 작업은 아직도 나를 진정한 소설 읽기의 정도를 벗어나 곁길에서 맴돌게 한다).
고래를 읽으면서 생각난 것 하나.
글읽기는 글쓰기의 또 다른 방법이다.
왜냐고?
그건 당신들이 곰곰이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사족 하나. 사실 문학이, 소설이 처음 생겨났을 때, 문학이란 이래야 해 혹은 소설은 이런 것이어야 해 라고 생겨난 것은 아닐 것이다. 문학이나 소설에 의미를 부여한 것은 모든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찾아헤매는 후대의 인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