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프티 피플 - 2017년 제50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정세랑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런 생각을 했다.
모두가 주인공이고 모두들 스쳐가는 인연으로 연결된 여러점의 그림을 시간과 장소에 따라 시리즈로 그려보면 재미있겠다. 생각만 하다가 붓과 멀어지고 20년이 흐르고, 그러고도 그걸 그려보고싶다는 생각을 지금도 가끔 한다.
정세랑님도 그런 생각을 했으나 그는 그걸 글로 옮겼다.
피프티 피플은 특정 주인공이 없는, 50명 모두가 주인공인 병원을 중심으로한 50개의 이야기다. 하나의 스토리가 아니라 아무래도 몰입이 다소 떨어지고 끊어읽게 되지만 그래도 따땃한 마음으로 읽을 수 있다. 그들은 소설 속에서 각자의 사연으로 얽혀있다. 남루하든 화려하든 모질든 수월하든 삶의 주인공은 자신이고, 모든 인생은 소설이 될 법한 것이다.
.
. <문우남>편을 읽으며 한대 콕 쥐어박힌 느낌이 들었다. 예민하고 조심시키고 미리 걱정하는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달까. 남편은 내가 애들에게 너무 빈틈이 없어서 스트레스를 주는 것 같다고 했다. 빈틈 많고 허술하며 덤벙대고 사람 좋아하던 예전의 나는 어디로 갔을까? 나에게 주어진 여러 역할들이 나를 잠식한 건 아닌가 순간 두려움이 밀려온다. 문우남의 아내 진선미처럼 '비극을 비극이 아닌 것처럼 처리'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
.
<김혁현>편을 읽다 큰소리로 웃음이 터졌다. 둘째녀석이 왜 웃냐고 옆에서 같이 그 페이지를 읽더니 말한다. 좋아하는 사람 앞에선 부끄러워서 말을 잘 못하지만 표정을 보면 알수 있다고. 이럴 때가 있다. 나는 분명 누군가에겐 위트있는 사람인데 또 다른 누군가 앞에선 "아, 네..." "아, 정말요?" 밖에 말하지 못하고 마는. 정세랑의 이런 세심한 위트 참 좋다.

웃지 않지만 친절한 사람... 저 하이브리드 차 얘기는 내차 얘기인가... 아 여러모로 공감된다.
마지막 이야기에서 모두 만나게 될 줄은 몰랐다. 그들을 한 곳에 두고 하나의 사건을 경험시키고 같은 기억을 공유하게 한다.
읽으며 내내 판타지 없는 정세랑은 처음이군 싶었는데.
판타지 없어도 정세랑스러운 결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