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뉴요커는 되지 못했지만 - 나는 나답게 살기로 했다
곽아람 지음 / 아트북스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1년간 죽 나와 함께 있었다. 내가 짊어지고 있는 내가 너무 크고 무거워서 종종 버겁기도 했지만, 그리하여 나는 나를 좀 더 잘 알게 되었다. 내가 나를 데리고 다닌 1년이었다.

 

 

1년간 회사에 나가지 않고 해외에서 살아보는 꿈은 누구나 생각해 보는 꿈일 것이다.

나는 가끔 나를 아는, 내가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곳에서 살아 보고 싶었다.

그렇게 새로운 곳에서 내가 아닌 '나'로 살아 보는 것이 나의 꿈이었다.

<결국 뉴요커는 되지 못했지만>을 읽으며 그것이 나의 꿈으로 끝난 것에 일종의 안도감이 들었다.

어쩜 내가 그만큼 도전을 두려워하는 나이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1년간 뉴욕으로 연수를 떠난 곽아람 기자의 뉴욕 생활은 낭만과 거리가 멀어 보였다.

뉴욕이라는 거대 도시는 뉴욕이라서 모든 게 가능하고, 뉴욕이라서 모든 것이 불편한 곳이었다.

영화에서 보던 뉴욕의 풍경이 세련되고, 자유로워 보였지만 그게 다가 아니라는 걸 이제는 안다.

안전과는 거리가 먼 곳이라는 것도 안다.





곽아람 기자의 글에서 느껴지는 뉴욕은 어떨 땐 새롭고, 어떨 땐 두렵고, 어떨 땐 생각지 못한 변수를 보여준다.

하지만 그 모든 것에 '미술'이 담겨 있다.

풍경, 그림, 배경, 자연, 건물, 사람, 공간 등에서 느끼고 깨달은 마흔을 앞둔 뉴욕의 이방인의 모습은 그만큼 쓸쓸하면서도 그만큼 당차 보인다.

 

저자의 뉴욕 생활에서 가장 부러웠던 건 미술관이었다.

미술관에서 보는 그림들, 우리에겐 무슨 전시회나 개최되어야 겨우 만날 수 있는 작가들의 그림을 볼 수 있는 환경이 부러웠다.

저자의 많은 사유들이 바로 그 미술관의 그림 앞에서 일어났으니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청강한 알브레이히트 뒤러의 수업 풍경이 너무 부러웠다.

노년의 나이에도 끊임없이 배우려는 그들의 모습이, 나이 불문하고 서로의 생각을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이 누군가의 돈이 가치있게 쓰이는 현장을 보며 우리도 저런 문화를 본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춤은 완벽하게 춰야 하는 게 아니라 즐기는 거라는 걸 알려준 댄스 선생님.

서울에서는 추지 못하는 춤을 뉴욕에서 자유롭게 출 수 있는 것도 바로 그런 환경과 사람들 때문이라는 걸 또 느꼈다.

저자의 뉴욕 생활 곳곳에서 느껴지는 우리와는 다른 방식, 방법들..

우리 사회가 경쟁 일색으로 물들어 있는 시점에서 경쟁의 구도 자체를 다르게 보는 발상은 배우고 싶었다.

 

그녀가 1년간 누렸던 음악회와 발레, 오페라들은 한국에서라면 몇 년이 걸렸을지도 모를 일이다..

바쁜 일상과 남의 눈이 걸려서 하지 못했던 것들을 1년간 채우고 온 시간이었다.

더불어 한국에서라면 당하지 않았을 일들도, 만나지 않았을 사람들도, 겪지 않아도 될 일들이 앞으로 저자의 삶에 어떤 자양분으로 공급될지 모를 일이다.

 

인생을 살면서

전혀 알지 못하는 곳에서의 삶을 살아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거 같다.

그곳에서 살아남는 법을 배운 사람들은 어디에서든 살아갈 방법을 찾아낼 것이다.

'젊어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은 그런 뜻일 게다.

회복력과 흡수력이 빠른 시기에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나아가라는 뜻.

 

책에 담긴 그림들과 사진들로 눈이 즐거웠다.

나에게도 이런 경험이 주어진다면 나는 어떤 게 살게 될까를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1년간 뉴욕 생활이 내게 가져다준 가장 큰 선물은 세상에 다른 방식의 삶이 있으며, 굳이 이 삶만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걸 깨닫게 된 것이라고. 이 방식의 삶이 잘 풀리지 않는다 해서 좌절할 필요는 없다. 다른 방식의 삶을 찾아 떠나면 되는 거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