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루저의 나라 - 독일인 3인, 대한제국을 답사하다
고혜련 지음 / 정은문고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습니다. 모든 문화 흐름이 조선을 통해 중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왔을 것이라는 개연성을 보입니다. 현재 조선이 중국, 특히 일본보다 문화 수준이 훨씬 높다는 것은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독일인 3인방이 쓴 글을 토대로 그 이전과 이후의 문헌들을 살펴서 대한제국의 이야기를 쓴 <우아한 루저의 나라>를 읽으며 내가 가지고 있었던 대한제국의 이미지를 수정하게 되었다.

독일은 시대의 흐름을 읽고 결정적인 순간에 우리의 도움 요청을 거절했다.

그때 독일이 우리 편을 들어서 뭐라도 했다면 우리의 역사는 바뀌었을까? 라는 아쉬운 생각이 든다.

하지만 독일은 다른 식으로 지금 우리에게 그때의 모습을 알려주고 있다.

 




크노헨하우어는 조선에서 금광채굴권을 딴 세창양행이 금광을 찾기 위해 본국에 의뢰하여 온 산림청 직원으로

1898년부터 1899년까지 약 1년 반 동안 대한제국에 머물며 광물 지질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수차례 답사하였다.

그는 독일에 돌아와 [Korea]라는 강연을 하였다.

 

유럽인들은 이러한 양면성을 가진 조선인에게 이루 말할 수 없는 호감을 느낍니다. 모든 예를 갖춘 신중함, 비록 형식적이었으나 사랑스러운 친절함,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법의 경직된 모습에서 빠져나와 환호하는 천진함이었습니다.

 

 

그는 대한제국의 관공서나 궁정에서 지켜야 하는 예의범절과 관리들의 공적인 모습과 사적인 모습들을 잘 캐치했다.

그가 조선에 머문 동안은 한국 호랑이들이 많았던 모양이다. 사냥 당한 호랑이 두 마리를 앞에 두고 사진을 찍은 사냥꾼들의 사진과 호랑이 가죽이 깔린 곳에서 찍은 크노헨하우어 부부의 사진이 담겨있다.

 

그 당시 조선 사람들은 퀴라소의 단맛을 좋아했고, 베를린 큄멜 곡주인 길카를 세상에 존재하는 최고의 알코올이라고 말했다 한다.

조상님들의 술 취향까지 알게 되는 책^^

조선 여인들이 가슴을 노출시켰고 대부분의 기혼여성들이 치마를 더 아래로 내려 입었다는 건 처음 알게 된 사실이다.

 

 

기혼 여성들은 치마 허리띠를 약간 아래로 착용하여 상상하는 대로 가슴이 노출됩니다. 목덜미와 목은 가리고 가슴은 노출합니다. 조선의 부인들은 매우 민감한 이런 부분이 노출되는 것에 이미 익숙한 듯합니다.

-

이런 복장의 이유는 조선 여인은 자녀가 4세가 될 때까지 젖을 물리기 때문입니다.

-

그들을 잘 아는 사람들은 조선 여인이 동아시아 3국 중에 가장 아름다운 신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황제 소유 인쇄소에는 한글 금속활자체가 들어 있는 오래된 식자 상자가 있었다. 금속활자는 이미 구텐베르크보다 앞서 1400년경에 사용되고 있었다. 중국인보다 수준이 높았던 조선인들은 25개의 모음과 19개의 자음으로 아름다운 한글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예쎈은 아버지가 수공업자를 위한 직업학교의 교장이었다. 수공업을 중시 여기던 문화에서 자랐던 그가 조선에서 수공업자들이 천민 취급받는 것을 보고 안타까워한다.

그는 일본이 고대 왕릉을 수탈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그들이 그것을 자랑삼아 얘기하는 것도 기록했다.

하지만 조선에 대한 인식에 잘못된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 당시 그들이 조선에 대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이나 중국을 통한 것이기에 깊숙이 알기 전까지는 조선은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 정도로만 생각했을 뿐이다.

그러나 예쎈은 조선의 문화가 중국과 일본과 다른 점을 이해하고 조선의 문화가 더 고급스럽다는 걸 인지하고 있다.

 

만주의 강도들은 절반 정도 훈련받은 정규 군인과 일반 중국인(조선인도 포함한) 집단이며 일본의 무력 진압에 대항하는 반일본 게릴라 집단이다.

 

 

라우텐자흐의 백두산 여행기에는 일본에 저항하는 게릴라군이 등장한다.

저자는 이들을 독립군으로 보고 있다. 그들 중에 홍범도 장군도 있을지 모른다는 예측도 한다.

 

독일 3인방의 각각의 시각에서 본 대한제국과 저자가 여러 문헌들을 자료 삼아 쓴 대한제국을 읽으며 이 불운한 근대사에 대한 역사적 탐구가 참 미흡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조선에 머물렀던 이방인들의 시선에서 그 시대 우리 민족의 고단함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에 밴 특성들이 보였다.

중국과 일본을 사이에 두고 양국으로부터 시달리고 수탈당하면서도 자신들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민족.

손재주가 좋아서 중국과 일본 그 어느 것과도 다른 예술품을 만들어낸 민족.

우수한 머리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쇄술을 가지고 자기들만의 글자를 가진 민족.

그러나 변화하는 세상에 대처하지 못해서 이리저리 뜯기고 있는 민족.

 

고종의 헤이그 특사가 실패해서 고종이 하야했다고 배웠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헤이그 특사 3인은 자신들의 임무를 다했고, 차가운 결말 앞에서 안타까워했지만 그들의 그 열정과 우리의 고난을 누군가는 알아봐 주었다는 걸 이 책이 말해준다.

 

지금 우크라이나의 소식을 들으며 이 헤이그 특사들이 생각났다.

전세계가 지켜보며 한 마디씩은 하고 있지만 특별하게 나서지는 않는 상황.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조선이라는 곳을 대한제국이라는 이름없는 나라를 강대국들이 어떻게 처리했는지 이미 겪었다는 것.

그럼에도 누군가는 이름 없고 알려지지 않은 대한제국을 위해 목소리를 냈다는 것을.

 

그 시절에도 백성들은 국가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귀중품을 팔고, 머리카락을 팔고, 아이들의 코 묻은 돈까지 기부하였다.

나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정치가 백성을 배신하여도 백성은 언제나 올바른 길을 갔다는 사실을 다시 깨달았다.

 

그저 독일인들의 대한제국 여행기쯤으로 생각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책을 읽었는데

뜻밖에 근대사를 공부하게 됐다.

그들이 본 우아한 루저의 나라는 이제 승자의 나라로 나아가고 있다.

그렇게 믿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내가, 지금 이 순간이 참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