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낭만적 은둔의 역사 - 혼자인 시간을 살아가고 사랑하는 법
데이비드 빈센트 지음, 공경희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2월
평점 :
"혼자 있는 시간은 상상에 지속적으로 강력한 힘을 부여한다. 그리고 인간의 정신을 장악하는 것은 판단이 아니라 상상이다."
18세기 걷기는 '도박'이 원동력이었다.
정해진 시간과 거리를 걸어서 판돈을 받는 걷기 도박은 기록 경신을 이어갔다.
걷기는 신사 남자들에게는 취미이자 인정받는 것이었지만 노동자에게는 고단한 여정이었
산책, 여가활동, 독방, 취미, 회복, 외로움, 당신
이렇게 7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낭만적 은둔의 역사.
제목에 쓰인 '낭만'과 '은둔'이 이 책에 호기심을 갖게 했다.
수 세기에 걸친 인류의 혼자만의 고독을 다양한 시각으로 그려낸 낭만적 은둔의 역사를 읽고 있자니
고독이나 은둔이나 혼자인 시간은 자유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이른다.
자유 없이 반강제로 고독을 느껴야 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가장 가혹한 형벌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그것을 능가하는 대외적인 무언가가 있다면 조금 달라질지도 모르겠지만.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팬데믹 상황이 바로 그런 상황이다.
그리고 그 시간을 슬기롭게 견뎌내기 위해 이 책에 담긴 혼자의 역사는 필요한 이야기였다.
산책은 혼자 하기에 가장 좋은 취미다.
물론 동반자가 있다면 좋겠지만 그것은 온전한 의미에서 혼자 있기는 아니다.
산책하면서 마음과 생각이 정리되거나, 생각지도 못한 것들이 떠오르고, 무심코 보낸 눈길에 새로운 것들이 보이기 때문이다.
관찰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산책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산티아고 순례길을 가보고 싶어 하는 이유는 바로 무념무상의 걷기 때문이 아닐까?
목표가 있는 걷기, 그러나 오랜 여정은 신체와 정신에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한다.
정말 아무런 준비 없이 곧바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산책이기에 혼자이고 싶은 사람이 가장 손쉽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가정 내 단독 여가활동은, 가정생활에 억지로 참여하는 걸 피할 방책이자 다양한 형태의 지성이나 단체 활동에 참여하는 통로가 되었다.
진보적이고 창의적인 여성들이 혼자인 것과 정신질환을 동일시하는 시각에 도전하며 생긴 취미들과 단체 활동.
남자 신사들의 단독 여가활동은 우아한 취미로 봐주면서 여성들의 단독 여가활동은 정신질환으로 의심하는 시대에 뜨개질, 수놓기, 독서, 옷 만들기 등이 점차 확대된다. 남자들은 생산성 없이 산책하면서 혼자인 시간을 갖는데 반해 여성들은 혼자인 시간을 갖기 위해 생산적인 일을 해야 했다는 것에 한숨이 나온다.
지금도 여자들은 혼자인 시간을 위해 뭔가 중요한 핑계를 대고 나올 구실을 찾는다.
그래야 단 한두 시간이라도 가정과 육아와 살림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온전한 독박이다.
'외로움'은 혼자 있는 것의 아픔을 나타내기 위해 생긴 표현이다. 또 그것은 혼자 있는 것의 영광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 '고독'이라는 어휘를 만들었다.
사실 혼자 있는 걸 즐기는 나는 외롭다거나 고독하다거나 하는 말의 의미를 별로 깊게 생각하지 않는다.
어릴 땐 혼자 있는 시간에 그림을 그리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책을 읽었다.
책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다른 세계에 나를 붙들어 놓을 수 있는 좋은 도구였고, 그림이나 노래 부르기는 온전히 혼자 있을 경우에 아무런 눈치와 방해를 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나만의 것이었다.
예전과 다르게 산책에서 얻는 무념무상과 자연과의 교감은 현시대에서는 찾기 어렵다.
고도로 발전한 사회 유유히 걸을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는 도시에서 사람들은 복작이는 공원에서 쳇바퀴 도는 산책을 즐길 뿐이다.
느긋하게 이어온 취미들이 현대사회에서는 재능과 소비로 이어지는 SNS 사회이기도 하다.
각자의 공간이 생겼음에도 우리는 각종 기기를 통해 외부와 접촉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SNS에서 자유롭지 못한 현 인류에게 혼자만의 시간은 그림의 떡일지도 모른다.
아니면 혼자라는 착각이거나.
혼자의 시간에 누릴 수 있었던 사치들이 현대에 들어와 각종 매스컴의 프로그램으로 변질되면서 우리는 혼자의 시간에도 혼자 있지 못하는 병에 걸린 거 같다.
나 역시 혼자 있을 때 TV를 틀어 놓는다.
사람의 말소리는 혼자라는 사실을 감춰주니까.
그래서 나는 늘 공허감에 가까운 고독을 느꼈던 거 같다.
온전히 혼자서 무얼 할 수 있다는 생각보다는 시간 죽이기에 가까운 혼자였으니 말이다.
낭만적 은둔의 역사를 읽으며 나의 혼자 있기에 대해 생각했다.
아주 많은 시간을 나는 책을 읽고, 감상을 정리했지만 온전히 혼자 있지는 못했다.
그렇기에 나 자신이 덜 숙성된 어른이처럼 느껴졌다.
혼자만의 시간을 잘 보내어 내면의 나와 마주하면서 내가 원하는 바를 알아내지 못했다.
그 버려진 시간들을 내가 잘 활용했다면 나의 현재는 더 알차졌을 텐데.
하루에 한 시간이라도 휴대폰을 끄고, TV를 안 튼다면 그 시간에 무얼 할 수 있을까?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이 혼자인 시간에 해왔던 일들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자기 자신과 대면하는 가장 손쉬운 시간이 아닐까?
그런 시간을 조금씩 늘려 나가는 생활이 바로 외로움과 고독에서 나를 덜어내는 일인 거 같다.
인문서라고 생각했는데 다양한 시구와 문장들 그리고 18~19세기 영국 사람들의 생활방식을 엿볼 수 있어서 즐거웠다.
영국 사람들의 1980년대에 즐겨 했던 TV 틀어놓기를 지금 하고 있는 나를 생각하면서 어떤 격차를 생각해 본다.
은둔의 역사는 계속될 것이고 수백 년 뒤 21세기 인류의 은둔은 각종 스마트 기기를 끄는대서 왔다고 적힐지 모르겠다.
낭만적 은둔의 역사.
제목은 낭만적이었지만 그 안에 스며있는 차별적 은둔의 역사는 낭만적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