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나잇 라이브러리
매트 헤이그 지음, 노진선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도시와 같아서 마음에 덜 드는 부분이 몇 개 있다고 해서 전체를 거부할 순 없다. 위험해 보이는 골목길이나 교외 등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있을지라도 다른 장점이 그 도시를 가치 있게 만들어 준다.

 

 

가보지 않은 길은 언제나 미련스럽다.

 

그때 그랬더라면 지금은 이렇지 않았을 텐데...

그때로 간다면 다른 선택을 할 거야.

그때 다른 선택을 했다면 나는 지금 어떤 모습일까?

 

후회를 안고 사는 삶은 만족스럽지 않다.

노라의 선택지는 돌이킬 수 없었고, 많은 관계들을 잘라냈다. 인생에서.

결혼 이틀 전 결혼을 취소했고, 음반회사와 계약을 앞두고 밴드를 탈퇴했다.

도시의 삶을 정리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제 고양이 하나도 제대로 돌보지 못해서 길에서 죽게 만들었다.

게다가 직장에서 해고되고, 일주일에 하루 한 시간 하는 피아노 레슨에서도 짤렸다.

하나뿐인 오빠는 그녀와 단절했고, 친구들과도 모두 사이가 멀어졌다.

 

어디 하나 마음 붙일 곳이 없는 노라는 죽기로 결심한다.

 

갖가지 초록색 책들이 즐비한 도서관에 발을 들인 노라.

그곳에서 그녀는 자신이 가보지 못했던 자신을 삶을 '맛' 보게 된다.

노라는 그 여정에서 만족할만한 삶을 발견했을까?

 

노라의 여정을 따라가면서 나 역시 내가 후회하는 선택들을 생각했다.

그때 그랬더라면 지금보다는 나았을 텐데... 하던 후회들.

 

 

"여기 있는 책들, 이 도서관에 있는 책들은 전부 너의 다른 삶이야. 이 책만 제외하고. 이 도서관은 네 도서관이거든. 널 위해 존재하지. 사람의 삶에는 무수히 많은 결말이 있어. 이 서가에 있는 책들은 모두 네 삶이고, 같은 시간에 시작해. 바로 지금. 4월 28일 화요일 자정에. 하지만 이 자정의 가능성이 모두 똑같지는 않아. 비슷한 삶들도 있지만 아주 다르기도 해."

 

 

후회하는 모든 삶을 나도 살아 볼 수 있다면 나는 어느 삶에서 만족하게 될까?

이 책을 읽으며 나는 지금 내 삶을 선택할 거라고 생각한다.

그 모든 후회들과 선택들은 결국 지금의 나니까.

지금 내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건 누구의 잘못도 아닌 바로 내 잘못이다.

그렇게 만들어 놓은 사람은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나 자신이니까.

 

언제든 사람은 그 순간 자기에게 가장 유리한 결정을 하게 마련이다.

포기하고, 희생했다고 생각하고 있는 그 결정들 역시 그 당시에 내가 감당할 수 있고, 내가 감당해야 한다고 내가 생각했기 때문에 내린 결정이다.

그걸 시간이 지나서 후회한다 한들 뭐가 달라질까?

 

 

좋은 작품이다.

내 삶을 가치 있는 것으로 바꿔주었으니.

노라의 여정을 따라가며 나도 후회되는 삶들을 다시 살아봤다.

지금 내가 만족하지 못하는 것은 바로 내가 고치지 못하는 나의 습관들이다.

그것들을 고칠 수 있는 건 바로 나뿐이라는 걸 또다시 각인하게 된 작품이었다.

 

 

지금 당신 자신의 삶이 만족스럽지 않나요?

지난 과거에 선택하지 못한 결정들을 후회하고 있나요?

그럼 노라와 함께 그 후회의 책을 펼쳐 보세요.

당신이 후회의 책을 읽게 되면 지금 당신의 모습이 훨씬 괜찮게 느껴질 겁니다.

 

이 책은 삶의 비밀을 알려준다.

내가 깨달은 비밀은 비밀도 아닌 비밀이다.

모든 건 바로 내 마음에 있고, 내가 행동으로 옮기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의 불만이 쌓인다는 것.

지금 이 순간도 내가 선택한 나의 삶이다.

그러니 삶이 힘들어서 죽음이 생각난다면, 그 죽을힘으로 나를 바꾸는 노력을 하면 어떨까?

 

하루에 한 가지

내가 평소에 선택하지 않았던 선택을 해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

그렇게 하나씩 나를 바꿔 나가다 보면 나는 지금보다는 좀 더 내가 원하는 나로 살게 될 것이다.

노라가 내게 그걸 알려주기 위해 그렇게 고생스러운 여행을 한 거 같다.

 

나의 자정의 도서관에 있는 후회의 책이 얇아지도록 노력하며 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