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글쓰기 - 혐오와 소외의 시대에 자신의 언어를 찾는 일에 관하여
이고은 지음 / 생각의힘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을 변화시키려면 나뿐만 아니라 나를 둘러싼 환경을 바꾸어야만 가능한 문제가 많다.

자기 안과 밖을 들여다보고 얻는 답이 있다면, 이제 세상에 목소리를 내는 일이 필요하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분명하게 꺼내어 말하는 일에서부터 문제는 풀리기 시작한다.

 

 

기자 경력의 작가여서 그런지 글들이 명확하고 논리 정연하다.

기자로서의 삶에서 엄마로서의 삶으로 이직 한 이후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 내내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던 작가의 평소 글쓰기에 대한 생각들이 담겨 있다.

 

자아를 찾아가는 글쓰기

진실을 찾는 글쓰기

결핍과 충족의 글쓰기

사회, 연대, 글쓰기

 

이렇게 4개의 챕터로 이어지는 글들에서 기자로서, 작가로서, 엄마로서, 여자로서, 인간으로서의 시선으로 보는 사회가 담겨있다.

처음에 책을 읽을 때는 단순하게 여성으로서의 글쓰기에 대한 글이라 생각했다.

경력단절의 여성으로서 자신을 찾기 위한 맹렬하고 치열한 글쓰기에 관한 이야기라고만 생각했다.

 

이 책을 읽어가며 단순하게 생각하고 잘 보지 않았던 사회의 문제점들이 보였다.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들과 우리가 무심히 보고 지나쳤던 문제점들을 날카롭고 정직하게 던져 놓은 글들이

눈에 들어 왔다.

 

 

 

 

 

 

페미니즘의 열풍이 우리나라에서 이상하게 변질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문제의 답처럼 보이는 글이 있었다.

 

페미니즘은 여성운동의 전유물이 아니다.

사회로 부터 소외된 자들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페미니즘인데

우리는 이것을 너무 '여성' 이라는 틀에 고정시켜서 생각하는 것에서 문제가 삐져 나오는 중이었다.

소외된 자들. 그 중엔 소외된 남성들도 포함된다.

그런것들을 잘 포착해낸 이유도 기자로서의 눈썰미가 있었기에 가능한 거 같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이 책을 읽고 드는 생각은 그랬다.

그래도 이분은 무언가가 갖추어져서 이렇게 글을 쓰고 책도 내는 거라고.

많은 경력 단절된 여성에게는 탈출구가 많지 않다.

누구나 글을 쓴다고 다 작가가 되지는 않으니까.

 

그럼에도 쓰기는 멈추지 말아야 한다.

적어도 누군가에게 내보이는 글이 아니라 내가 나를 덜어내는 일이기 때문에 글쓰기는 계속되어야 한다.

 

간결하고 정확한 문장이 아름답다. 단번에 그런 문장을 써내지 못한다고 좌절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의 글쓰기는 나의 생각을 적확하게 표현해줄 단어와 문장을 찾아 헤매는 탐험과 고난의 연속이다. 계속해서 찾고, 쓰고, 고치면 될 일이다.

 

 

찾고, 쓰고, 고치는 과정이 되풀이 되는 것이 글쓰기다.

나 자신의 글

나 자신의 문체

나 자신의 이야기

이것들은 무수히 실패하지 않으면 내것이 될 수 없는 것들이다.

그래서 써야한다.

열심히, 늘, 계속.

 

지금 쓰고 있는 내 글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이 책의 문단 사이사이에 남겨진 정리된 글을 읽으며

자신의 글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일을 해보면 좋을 것이다.

오늘도 쓰기를 멈추지 못하는 분들

쓰려고 마음 먹고 있지만 한 글자도 못 쓴 분들

쓰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 지 알 수 없는 분들에게

여성의 글쓰기는 방향을 알려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