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번째 배심원 스토리콜렉터 72
스티브 캐버나 지음, 서효령 옮김 / 북로드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믿고 보는 북로드의 신작 열세 번째 배심원이 출간되었다.

좋은 기회에 가제본으로 먼저 읽게 되었다.

 

스티브 캐버나는 인권 변호사 겸 작가이다.

나는 처음 접하는 작가인데 변호사 출신이라 그런지 법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묘사가 현실감 있다.

 

법정 스릴러는 언제나 좋은 이야기 거리이다.

늘 스릴 있고, 반전이 있으며 항상 긴장하게 만드는 무엇이 있다.

범인과 변호사

범인과 검사

때론 검사와 변호사와의 접전은 법정 스릴러의 묘미이다.

 

바비 솔로몬과 아리엘라 블룸은 지금 가장 핫한 영화배우 커플이다.

어느 날 바비가 늦게 귀가하고 보니 아내와 경호원 칼이 같은 침대에서 숨져 있었다.

하지만 경찰은 바비를 범인으로 지목한다.

마치 치정이 얽힌 살인사건처럼 보이는 이 사건을 맡은 잘 나가는 로펌의 변호사 루디 카프가 플린을 찾아와 변호인단에 합류하라고 제의한다.

 

에디 플린.

변호사 이전에 사기꾼이었던 전력이 있다.

절대 유죄인 사람은 변호하지 않는다.

아내와 별거 중이다.

경찰들과 사이가 좋지 않다.

 

그다지 특별할 거 없는 변호사인데 그에겐 산전수전 공중전까지 다 겪은 과거가 있다.

그것이 그를 변호사가 되게 만들었고, 그가 죄가 없는 사람들의 편에서 변호하기로 결심하게 되는 계기가 됐다.

 

모두가 그렇게 말하면 어떡합니까? 다른 사람이 할 거라고 기대하면서 아무도 어떤 사람을 옹호하지 않으면 어떻게 하죠? 누군가는 선의 반대편에 서 있어야죠. 제가 넘어진다면, 누군가 나타나서 제 자리를 가져가야겠죠.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한 가급적 오래 서 있으면 됩니다.

 

 

케인.

살인의 쾌감을 가진 연쇄 살인범으로 분장을 통해 다른 사람의 삶을 빼앗는 특기가 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죄를 다른 사람에게 뒤집어 씌우면서 범죄에서 빠져나온다.

자신의 특기를 이용해 그는 배심원이 되고, 자신이 저지른 범죄의 누명을 쓴 범인에게 유죄 판결을 내리게 배심원들을 조정해왔다.

누명 쓴 이들은 사형을 언도받고 처형되었다.

그리고 아무도 그것을 알아채지 못했다. 지금까지는.

 

 

 

꽤 치밀하고 인내심 많은 범인을 만났다.

게다가 영리하기까지 하다.

 

이야기는 플린과 케인 두 사람의 시선이 왔다 갔다 하면 전개된다.

그래서 더 애간장이 탄다.

 

케인은 사람들에 대한 동정심을 느끼지 않았다. 연대감과 공감도 없었다. 케인의 마음속에는 그러한 것들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는 어느 누구와도 같지 않았기 때문에 누군가를 위해 아무것도 느낄 필요가 없었다. 그들은 모두 그의 밑에 있었다. 그는 특별했다.

 

 

 

첫 장부터 등장하는 케인은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그래서 이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될지 알 수 없었다.

내가 누굴 응원하게 될지도 알 수 없었다.

케인이 덱스터 같은 범인일 수도 있지 않을까?

 

재판이 진행되고 바비에게 불리한 증거품과 증인들이 난무하는 가운데 바비의 숨겨진 비밀이 폭로되고

영화사의 지지를 받던 로펌은 더 이상 바비를 지원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루디는 떠나고 플린은 남았다.

케인은 자신의 일을 잘 마무리하기 위해 무죄 판결을 내릴 가능성이 있는 배심원들을 하나 둘 처치하기 시작한다.

 

플린의 활략으로 절대 불리하던 바비의 재판은 그를 궁지로 몰아넣었던 증거들과 증인들이 플린 앞에서 연거푸 무너지면서 균열이 생긴다.

그리고 플린은 20년 가까운 시간 동안 자행되어 왔던 연쇄 살인 사건의 실마리를 찾게 되고 바비에게 누명이 씌었다는 걸 파헤치게 된다.

배심원 석에서 그것을 고스란히 지켜봐야만 하는 케인.

FBI가 개입하고 금방 유죄 판결을 받을 거 같았던 바비의 재판은 반전을 맞이하게 된다.

 

이 이야기의 끝은 어디로 갈까?

 

설정이 참 인상 깊은 작품이었다.

자신의 죄를 뒤집어 씌운 사람의 배심원이 되어 유죄 판결을 유도하다니.

영리해도 보통 영리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게다가 그는 조력자도 있고, 무엇보다 무통각증으로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몸도 마음도 고통이 없는 사람이 남의 고통을 알리 없음이다.

 

 

"자기가 아메리칸 드림을 죽이고 있다고 생각하는 군요."

 

 

케인은 그렇게 운이 좋지 않았다. 그의 어머니도 마찬가지였다. 증오는 그것의 한 부분이었다. 아마도 복수. 주로 그는 동정을 느꼈다. 돈이나 가족, 기회, 힘지어 사랑이 무엇이든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가난한 영혼에 대한 동정. 그것은 모두 거짓말이었다. 케인에게는 위대한 미국의 거짓말이었다.

 

 

 

불운한 영혼이 만들어낸 사건들.

아무리 노력해도 무언가를 가질 수 없는 사람이 한순간의 행운으로 모든 걸 다 갖는 사람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편할 수 없었다.

그것이 아메리칸 드림을 뜻하는 거라면...

 

케인의 고통은 그것이었다.

 

이야기를 끝내고 잠시 생각해본다.

우리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어쩜 축복일 수도 있다고.

고통을 모르는 마음은 고통을 이해할 수 없고

고통을 이해하지 못하는 마음은 결국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할 테니까...

 

 

스티브 캐버나.

이 작가의 책을 더 읽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