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원한 저녁의 연인들
서윤빈 지음 / 래빗홀 / 2024년 4월
평점 :
미래가 어떤 모습일지,
누가 무엇을 상상하든 그것과 같지 않겠으나 또 완전히 다를 것이라고 단언할 수도 없기에
미래 사회를 그린 소설을 읽을 때는 설렘 반 걱정 반의 마음이다.
서윤빈 작가님의 장편소설 <영원한 저녁의 연인들>에서 그리는 미래 사회는 이렇다.
두피에 버디라는 이름의 확장된 두뇌 같은 소프트웨어를 새겨 컴퓨터 수준의 기억력과 연산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고 육체를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 기관을 임플란트처럼 갈아끼워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며 몇 백 년이고 살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임플란트 장기는 정기 구독을 해야 하는데, 이 구독료가 개인의 나이와 건강 상태에 따라 누진적으로 상승한다. 처음에는 모두가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고 누진1단계까지도 감당 가능한 수준. 그러나 누진2단계부터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현재의 '재벌' 수준이 아니고서는 유지가 불가능하다. 문제는 이 단계가 국가가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 그것은 정치적인 문제였다.
54p. 이 나라는 전통적으로 가점은 적고 감점만 수두룩하다. 부당한 생명 정치라고 반발하는 이들이 없었던 건 아니나, 늘 그렇듯 그건 반발하는 이들이 바르게 살지 않은 탓이라고 비난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게 컸다.
55p. 과연 전쟁으로 폐허가 된 나라를 재건하는 데는 반세기밖에 걸리지 않았지만, 특유의 성과주의와 능력주의에 물든 국민 정서를 바꾸는 데는 그 두 배의 기간을 들이고도 실패한 나라 다웠다. ...(중략)... 물론 양쪽 다 밑바탕에는 구독료 폭탄을 맞는 건 그 개인이 제대로 살지 않은 탓이라는 생각이 있었다.
성과주의와 능력주의가 만연하고 사회적 책임을 개인에게 돌려 불행하게 만드는 분위기가 팽배하고 돈이 모든 결정의 기준이 되는 것이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 섬뜩하지 않은가. 소설은 상상의 세계인데, 그 속에서도 미래 사회는 지금과 똑같다.
주인공 유온의 직업도 그렇다. '가애'라고 불리는데, 가애는 임플란트 장기 유지 비용을 낼 수 없어 곧 죽음이 예정되어 있는 사람을 찾아(그들은 '수애'라 지칭) 연인이 된 후 유산을 받아 금전적 이득을 취한다. 가애는 소설 속 미래 사회에만 등장하는 직업이지만, 잘 생각해보면 예전에 많았던 '제비' 비슷한 거 아닌가. 돈은 있지만 의지할 데 없는 외로운 사람의 심리적 약점을 공략하여 마음을 속이고 돈을 얻는, 비열하고 치졸한 직업. 제비라는 명칭만 바뀌었을 뿐 예전 아니라 지금도 있을 법하다.
그러니까 아무리 세월이 흐르고 기술이 발전해도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런데 바로 그 점 때문에 이 소설이 슬프고 아름답다.
변하지 않는 것은 국가 권력, 자본주의, 생명 경시, 개인주의만이 아니다.
214p. 하지만 아픔은 절대 극복되지 않는다. 다만 썩을 뿐이다. 시간이 아픔을 이기는 것처럼 보이는 건 사람이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악취가 나는 것들에게서 멀어지기 때문이다.
229P. 어릴 때였으면 100년 넘게 살았으면 삶에 별 미련이 없지 않겠냐고 말했을 것이다. 그러나 삶은 살아도 살아도 아쉬움뿐이다. 구체적으로 뭐가 아쉬운지도 모르는 채 그저 아쉬웠고, 억울하기도 했다.
251p. 지금껏 내가 만난 사람들은 죽기 전에 어떻게 그렇게 열정을 불태웠던 걸까. 막상 죽음에 바짝 다가서니 그 무엇에서도 의미를 찾거나 즐거움을 느끼기 어려웠다. 그렇게 많은 시체를 봤는데도 나는 아직도 죽음에 익숙해지지 못했다.
슬픔도, 아픔도, 죽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도 변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랑도.
사람은 아무리 외면하고 무관심한 척해도 본질적으로는 사랑을 그리워하고 사랑을 원하고 사랑을 할 수밖에 없는 존재인 것 같다.
이 책은 미래에 대한 이야기도 시간에 대한 이야기도 아니라 사랑에 대한 이야기다.
#SF소설 #디스토피아 #미래 #서윤빈 #영원한저녁의연인들 #영원한저녁의연인들_서윤빈 #래빗홀클럽 #래빗홀클럽_영원한저녁의연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