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여행가방 - 박완서 기행산문집
박완서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연인지 필연인지 드는 책마다 기행에세이다. 길고 지리하던 장마도 살짝 들고 나니 들쑤시는 이것은 그 역마란 말인가? 진정 떠날때인가... 아직 계획중인 여행은 멀었는데.. 자꾸만 내속의 그것들이 가자고 난리블루스를 춘다. 비단 여행에서 뿐만은 아닐테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믿는다. 그렇기 때문에 내 여행계획은 신중하게 계획되고 있다. 다만 다른 무엇엔가에 발목이 붙잡혀 또 주저앉아 여행을 포기하는 일이 없기만을 바랄 뿐이다.

박완서 이름만으로 충분히 압도되고도 남는다.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들을 글로도 많이 풀어내신분이다. 지금껏 작가의 글을 읽으면서 나는 꼭 할머니 옛날 이야기 듣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그건 곧 그분이 살아오신 세월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분이 여행지를 읽어가는 시선은 나이만큼 한가하다. 특유의 에두르지 않고 뱉어내는 문장들에 몇번인가 크크거렸다. 할머니적 표현같지 않아서...  이책에서 가장 찡한 문장하나를 고르라면 하동악양면기행 마지막에  '발전이란 이름으로 만신창이가된 국토에 마지막 남은 보석 같은 땅이여 영원하라'는 문장이다. 자신의 고향 개성을 이상향으로 여기고 있는 것 같은 작가에게 뿐만이나라 우리의 바람이기도 할것이다. 경치좋은 곳에 막무가내로 들어서 있는 러브호텔들을 볼때면  착찹해진다. 분명 잘 못흘러가고 있다는 생각이 내게도 미치는데 시대의 산역사인 작가에게는 오죽해보일까.. 

티벳으로의 여행은 언제나 꿈꾸는 일이다. 티벳 네팔 인도를 도는 성지순례를 꼭 하고 싶다. 이런 소박하고 순박하기까지한 정직한 여행을 해보고 싶다. 그 여행지에서 이 노작가에게 작은 엽서한장 띄우고 싶다. 하하. 아주 소박한 바람이다. 언제가 될지모르니 그때까지 왕성한 활동을 기대한다.

작가는 잃어버린 여행가방을 자신이 언젠가는 두고가야할 육신을 빗댄다. 언제나 여행을 하기 전에 자신의 나이를 걱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그곳을 떠나오면서 살아생전 다시 올일이 없을 것 같다는 말들을 남기는 걸 보면서 나는 왜 이토록 가슴이 저리는 걸까. 박완서님은 이제 일흔 중반에 들어서 있다. 나는 그분의 글을 읽는 게 아깝다. 이 책에서도 군데군데 언급되다시피 그분의 연치가 이제는 죽음을 생각치 않을 수 없는 나이기 때문이다. 오래오래 그분의 글을 보고 싶은 독자로서의 욕심이 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집필활동하셨으면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