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불명 야샤르
아지즈 네신 지음, 이난아 옮김 / 푸른숲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내가 직접 서점에 가서 책을 샀다면, 결코 이 책을 집어드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일단 이 책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동화책스러운 일러스트는 전혀 내 타입(?)이 아니었단 말씀. 어쨌거나 이 책이 내 손에 들어오게 된건 아주 우연한 상황 덕분이었지만 나름대로 의외의 즐거움이 있었다.

 

  동사무소 직원의 실수로 공문서상에 '사망'한 자가 되어버린 야샤르는 교도소에 들어와 자신의 꼬이고, 뒤틀리고, 지지리 복도 없고, 지지리 운도 없고, 황당하고, 어이없고, 기가막힌 삶을 매일 밤마다 풀어놓기 시작한다. 태어나기도 훨씬 전 해에 이미 전투에서 전사했다고 기재되는 바람에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지 못한 야샤르의 인생은 초등학교 입학때부터 꼬이기 시작한다. 생사가 확인되지 않으면(반드시 공문서상에서의 확인이라야 한다) 아무것도 할 수 없었지만, '생사불명' 상태는 매 순간 아주 편리하게 적용된다. 초등학교에 입학할 때는 넌 죽었다, 고 하고 군대 갈 때가 되면 넌 살았다, 고 하고 제대할 때는 넌 죽었다, 세금을 내고 빚을 갚을 때는 넌 살았다, 유산을 상속받으려고 하면 넌 죽었다, 정신병원에 수감(?) 될 때에는 넌 살았다, 병원에서 나가려 할 때는 넌 죽었다, 를 반복하는 국가 앞에 야샤르는 지칠대로 지쳐간다.

 

  그들이 야샤르의 이야기에 이렇게나 열광하는 이유는 이야기 속에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야샤르와 비슷한 사건을 경험한 그들 대부분에게 야샤르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공동의 삶이었던 것이다. 야샤르는 마치 모두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으로 체화한 후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 같았다. -p206

 

  그가 매일 밤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때마다 교도소 안의 수감자들은 함께 분개하고, 함께 욕하고, 함께 억울해하고, 함께 슬퍼한다. 야샤르가 겪은 일들은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외진 곳에서, 가장 어두운 곳에서 하루하루 삶을 이어나가는 소시민들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아주 일상적인 경험들의 고농축 엑기스였다고나 할까. 그리고 거기에는 나도 끼어 있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기가막히면서도 한편으론 우습고, 결국 씁쓸해지는 에피소드는 바로 내가, 우리가 겪는 일들이 아니던가.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기 위해, 혹은 잘못된 기록을 바로 잡기 위해, 유산을 상속받기 위해 문턱이 닳도록 관공서를 드나들던 야샤르는 결국 끝없이 이어지는 공무원들과의 질기고, 지난한 싸움에서 두 손을 들고 마는데, 공공기관의 풍경은 어느 시대에나, 어느 나라에서나 다 같은 모양이다. 서류를 작성해라, 어디에 제출해라, 문서 번호를 받아와라, 누구를 찾아가라, 증명서를 떼어 와라, 어디에 가서 승인을 받아라, 어느 과에 가서 누구에게 문의 해라. 야샤르의 이야기에서 공공기관의 까다로운 절차를 묘사하는 부분은 짜증이 날 정도로 과장되고, 우습게 묘사되고 있는데, 이를테면 이런 것이다.

 

  애써 서류를 마련하면 문서번호가 있어야 한다며, 이브라힘 씨에게 제출하라고 하고 문서과의 이브라힘을 찾아가면 그가 아이텐 양을 만나러 갔다고 한다. 이브라힘을 찾기 위해 아이텐 양을 찾으면 아이텐 양은 과장님을 만나러 갔고 과장님에게 갔더니 그는 축구 경기장에 있다고 한다. 거대한 경기장 안에서 미친듯이 과장님을 찾아 헤매면 누군가 경기장 관리과장에게 데려가고 야샤르는 제발 문서 번호를 달라 요청하고, 결국 헛소리를 한다는 이유로 정신병원에 수감되는 식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공무원의 업무속도는 달라진다. 공공기관 안에서 어렵게 큰돈을 들여 마련한 모자를 잠시 걸어 둔 사이, 분실물로 분류돼 순식간에 서류와 함께 문서과로, 과장에게, 관련 부서로, 창고로 사라진다. 그 모자를 되찾기 위해 또 사방팔방 뛰어다니고 몇일을 허비한 후에야 마침내 과장의 확인서와 함께 모자를 찾으러 창고에 가지만, 결국 주민등록증이 없으므로 신분을 확인할 수 없다며 모자를 돌려주지 않는다.

 

  야샤르의 황당무계한 인생사(史)에는 우리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 무기력한 인간의 위선과 불편한 자화상이 그대로 담겨 있다. 그래서 읽는 내내 가끔은 짜증이 확- 솟아 오르다가, 피식피식 웃다가, 씁쓸해지고, 잠시 슬퍼진다. 야샤르의 이야기를 듣는 수감자들처럼, 욕이 절로 나오는 것이다. "에이 씨발!" "이런 제기랄!" "염병할 놈의 세상!" "뒈져버려라!"

  '염병할 놈의 세상'에 대한 풍자와 비판의 시각으로 기가 막힌 이야기를 풀어내는 아지즈 네신은 터키의 작가인데, 알라딘에서 어떤 독자가 "아지즈 네신의 입담을 따라가다 보니 터키와 한국은 정말 형제국가가 맞는가 보다"라고 하더라. 사실 터키가 아닌 어느 나라인들 이런 상황에서 자유로울수 있겠는고? 세상의 온갖 부패한 것들은, 위 아 더 월드여, 씨앙! 

 

  "그러니까 정말이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관리하는 나라는 우리 나라밖에 없을 겁니다. 관공서에서 말입니다. 부하가 상사에게 '아닙니다,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면 상사가 뭐라고 하는지 아십니까? '어떻게 잘 관리해봐'라고 말한다네요. 아마 우리 나라의 관리인보다 더 유능한 관리인은 이 세상에 없을 겁니다. 민주주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민주적인 관리라는 게 버젓이 존재하지 않습니까?" -p292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8-29 1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국가 혹은 민주주의. 그것들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 것들일까요? 최근들어 절실히 느끼는 거지만 최소한 '국민'을 위해서는 존재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망할놈의 현실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