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 위한 변론 - 우리가 잃어버린 종교의 참의미를 찾아서
카렌 암스트롱 지음, 정준형 옮김, 오강남 감수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이 나라는 밤거리 풍경 속에 붉은 네온사인 교회 십자가가 너무나 많이 보이는 나라다. 명동 한복판에서는 '예수천국 불신지옥'을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로 외치고, 지하철에서 하루에 한 번은 '주 예수를 믿으라'고 소리치는 사람을 볼 수 있다. 나 역시 기독교 신자이지만, 그런 풍경을 보며 선교가 아닌 '장사'를 떠올렸다. 게다가 최근의 '봉은사 땅밟기'라는 사태를 보며 저들이 믿고 있는 것이 기독교인지 어느 지방의 원시종교인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런 생각도 든다. 살기가 힘든 만큼 마음을 둘 곳이 없어 그렇게 종교에 의지하는 게 아닌가 싶다. 단순히 '예수 믿으면 천국간다'고 믿는 단순한 사람이든, 그런 건 안 믿지만 '인맥을 만들기 위해' 교회에 나가는  돈 많고 야심 많은 사람이든 절대적인 존재에게 무언가를 빌고 싶고,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있을 테니까.

이 책은 그렇듯 어딘가에 의지하고 싶고, 마음을 가다듬고 싶은 사람들에게 본래 종교의 역할이 그런 것이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책이다. 꾸준히 마음을 가꾸고 비우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영혼을 돌보는 것. 불교든 기독교든 이슬람교든 가장 본질적인 종교의 기능은 '영성 수련'이었다는 것이다. 교회에 가 기도를 하거나 절에서 불공을 드리는 것도 현대인들이 관심을 가지는 명상이나 요가처럼 자기 수련을 하는 행위와 결국은 통한다는 이야기다.

요즘은 종교 간의 분쟁이 엄청나게 심하기도 하지만, 반면에 옛날보다 종교 간의 구분이 유연해지는 경향도 보이는 것 같다. 가령 사찰에서 진행되는 템플스테이에 기독교인들도 종종 참가하고, 기도할 때 오체투지를 활용하기도 한다는 것. 현대인들이 신앙이란 결국 자기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라는 결론으로 점점 다가가고 있는 것일까.  

"오늘날 서구의 헬스클럽에서 가르치는 것과는 달리 원래 요가는 유산소 운동이 아니라 본능적인 행동과 통상적인 사고방식을 체계적으로 무너뜨리는 훈련이었다. (...) 머릿속을 어지럽히는 생각들을 잠재우고 몇 시간 동안 어느 한 가지에만 집중하는 법도 익혔다. 이런 훈련을 꿋꿋이 해내다 보면 일상의 의식이 해체되면서 생각으로부터 ‘나’를 뽑아낼 수 있었다." 종교라는 것은 '행하는 것, 실천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저자는 이런 구절에서 현대의 '말만 난무하는 신앙'과 대비되는 고대의 종교, 즉 '실천과 자기 수련'이라는 종교의 모습을 보여준다. 종교를 가졌든 가지지 않았든 열린 마음과 사고를 위해 한 번 쯤 새겨들을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