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 뜨거운 기억, 6월민주항쟁
최규석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너므너므 덥하고(덥하고?!) 습하고 덥하고 습하고 덥하고 습합니다.

저의 여름은 언제나, 물 밖에서 숨을 쉬어도 물방울이 뽀골뽀골 올라올 것 같은 습기와 함께합니다. 윽윽. 전 사실 더운 것보다 습한 게 더 싫어요. 습하지만 않으면 더운 것도 참을만 한테 ㅠ_ㅠ 암튼 날씨가 이 모냥이라서인지, 기분이 꾸릭꾸릭해서인지 모르겠으나 하루가 참 길고 시간도 참 더디 갑니다. 

그렇다면! 이열치열이라 했던가! 최규석의 <100℃>를 읽쟈, 라고 생각;;;;

사실 전에도 만화 전두환을 읽다가 피가 거꾸로 솟을 것 같은 분노에 치를 떨고 눈물을 찔끔찔끔 흘렸던 터라, 이 녀석을 선택하는 게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솔직히 '운동권'에 대한 생각이 스스로 잘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기도 했구요. 한때 운동 좀 하셨다는 분들의 거드름과 허세와 근거없는 자부심 따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꼴을 몇 번 보고 나니까, 실제로 학생운동이나 민주화운동에 대해 진지하게 접근해보기도 전에 역겨움부터 느껴버렸달까요. 흐음. 얘기가 딴데로 샙니다만, 암튼.

이 책이 지금 이 시점에서 매우 유효하며 절실하며 절절한 이유는 그저 옛시절의 영광과 아픔, 희생, 열정을 재현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민주주의'에 대해 곱씹고, 또 곱씹도록 만들기 때문입니다. 사실 21세기에도 민주주의를 걱정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끔찍하기 그지 없습니다만.

실제로 <100℃>는 그동안 여러 매체에서 6월 민중항쟁, 5.18 등을 다루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는 지점은 없습니다. 적당한 드라마를 갖고 있고, 적당한 메시지를 갖고 있고, 적당한 정보가 있습니다. 두드러지게 모난 구석도, 편파적인 시각도 없어서 무난하게 읽을만 하달까. 뒷부분에서는 촛불소녀와 (습지생태보고서에 등장하는)사슴 녀석과 (브이 포 벤데타의)브이가 등장해 '민주주의 학습만화'라는 컨셉으로 부록이 실려 있는데, 그게 잘 나가던 작품에 달린 지나친 사족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솔직히 이건 뭥미? 했었는데, 젤 뒤의 작가의 말을 보고서는 끄덕끄덕하였지요.  

   
  그럼에도 작업을 하기로 마음을 먹은 것은 이 작품이 전국의 중고등학교에 배포되기 때문이었다. 똑같은 얘기라 하더라도 그 대상이 청소년이라면 하나마나한 소리도 꼭 해야 하는 소리가 된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이 아무것도 아닌 걸 위해 수많은 사람들-역사 교과서에 등장하는 대단한 사람이 아니라 지금의 우리처럼 터무니없이 약하고 겁 많고 평범한 사람들-이 피와 땀을 흘렸고 제 삶의 기회를 포기했다는 것을 말해주고 싶었다. 그리고 할 수만 있다면 이 아무것도 아닌 것을 지키는 것이 생각보다 무척 어려운 일이고 우리의 민주주의가 안심할 정도로 튼튼하지도 않으며 끊임없이 강화하고 보완하려는 노력 없이는 어느날 사람 좋아 보이는 도둑놈에 의해 순식간에 사라져버릴 수도 있다는 얘기까지 하고 싶었다(이런 얘기는 이 작품이 인터넷에 발표됨과 동시에 집권한 현 정부에 의해 충분히, 현장체험을 곁들여 잘 교육되고 있는 중이다).  
   

 사족같은 '학습만화'에 손발이 오글오글하였지만, 그 내용은 알차기 그지 없고 유머까지 곁들여져 있는 데다 청소년을 위한 것이라면 충분히 납득이 갈 만 했다는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만화를 아주 즐겨보는 편은 아닌데 매번 최규석의 만화가 나올 때마다 자꾸 찾게 되는 건 바로 이런 납득할 만한 '신념' 때문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물론 무엇을 이야기하든 그것을 풀어내는 방식이나 서사의 구조가 촘촘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어내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매일 신문이나 뉴스를 보며 한숨이 늘어가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한숨만 나오는 신문, 뉴스 따위 보고 싶지 않아!를 외치며, 세계에 대한 관심을 끊어버리는 사람들도 많다는 것 역시 잘 알고 있습니다. 어쩌다 열 뻗쳐서 블로그에, 댓글에, 커뮤니티에, 게시판에 분노 폭주하는 글을 썼다가 괜히 이성적이지 못한 사람 취급을 당하기도 하겠지요. 그런 글들을 읽고 다시 회의에 빠져 이 썩을 놈의 세상, 이 지리멸렬한 인터넷의 찌질이들, 하며 혀나 끌끌차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저도 솔직히 2008년 2월 이후로 신문이며 뉴스며 꼴도 보기 싫다, 하며 무관심으로 일관할 때도 있었습니다. 근데, 그게 정말 무섭더라구요. 그거, 그 무관심. 그리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선덕여왕>에도 자꾸 나오잖아요. 뭐라도 하라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제일 나쁜 거라고. 내가 변하면 모든 게 변한다고. "사람도 100도씨가 되면 분명히 끓어. 그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네." 그런데 애초에 뜨거워지지 않으면 99도씨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책을 덮으면서 다시 한번 생각했습니다. 뜨거워져야 겠다고. 다시 등을 돌리지 말아야 겠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